KR200358856Y1 -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856Y1
KR200358856Y1 KR20-2004-0012663U KR20040012663U KR200358856Y1 KR 200358856 Y1 KR200358856 Y1 KR 200358856Y1 KR 20040012663 U KR20040012663 U KR 20040012663U KR 200358856 Y1 KR200358856 Y1 KR 200358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wiring
materials
internal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20-2004-0012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에 있어서, 각종 배선등이 서로 엉키거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배선을 분리,보호하는 배선덕트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등과 같은 내부 부자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선덕트 내부에 공간분할과 전선의 취부지지를 가능하도록 격벽등과 같은 내부부자재 설치시 내부부자재가 고정수단으로 인한 강한 결합력을 가질수 있는 부자재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배선덕트와 내부부자재간의 결합상태부분에서 부자재의 측면에 연장된 돌기부가 배선덕트본체 저면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내부부자재의 수평돌기부나 수평돌기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배선덕트본체 저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어 배선덕트의 내부의 전선등을 설치하는 경우 전선의 피복상태를 손상될 우려가 적고, 전선이 내부에 안착할 경우 마찰계수를 높여 안정된 형태로 유동성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Structure for Jointing the Sub-Materials of Wiring Duct}
본 고안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에 있어서, 각종 배선등이 서로 엉키거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배선을 분리,보호하는 배선덕트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 등과 같은 내부 부자재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나 복사기와 같은 사무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인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의 배선 또는 천장에서 전선을 분기하고자 할 때는 전선 보호관이 사용되고 있다.
배선덕트는 이러한 전선 보호관에 대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선 보호관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전기 콘센트, 전화 콘센트, 텔레비전방송을 시청하거나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TV/FM콘센트 등을 내부에 설치하여 전기기기의 전원접속의 역할을 하는등 보호관의 이상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배선덕트 내부로 전선의 취부고정 및 공간의 분할 등을 위해 설치되는 내부부자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선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자재는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지만, 다음에서는 전선을 취부 고정 시키기 위한 격벽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선덕트 구조에 있어서 배선덕트본체(100)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배선기구가 설치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좌,우 측벽과 측벽을 상호 잇는 배선덕트본체바닥면(115)으로 막혀있는 구조와 내부부자재를 설치하기위한 배선덕트본체바닥면(115)에 돌기부 및 요홈(220)들로 배선덕트본체(100)를 구성하되, 배선덕트본체(100) 측벽의 개방단부측 상단에 형성된 덮개(114)를 고정할 수 있는 덮개고정홈(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114)는 배선덕트본체(100)의 개방단부측 상단에서 덮개 고정홈(113)에 소정길이의 고무테나 나사못(112)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배선덕트 본체(100)에서 탈 부착이 가능하여 배선이나 배선기구 교체가 편리하다.
상기 배선덕트본체(100) 측벽 외부에는 상단,하단에 각각 외부접속홈(110)이 구비되는데, 외부접속홈(110)은 배선덕트 이음연결 작업시 사용된다.
배선덕트본체(100) 외벽에 외부접속홈(110)이 설치되어 있어 접속막대(111)를 간단하게 끼우고 나사못(112)으로 고정하면 되므로 배선덕트의 연결작업이 매우신속하면서도 간단한 이점이 있다.
배선덕트의 내부에 다수의 전선을 분리 수장할 수 있도록 요홈(220)을 구비하고 배선덕트 외부에 접속홈을 형성하여 배선덕트간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배선덕트간 연결작업을 수월하게 하는 접속홈이 외부에 구성되므로 내부단면적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220)에는 내부부자재을 설치하고 내부부자재를 고정수단에 의해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종래기술이다.
이와 같은 특징에 따르면 배선덕트 내부에 전선을 취부 고정하기 위해서는 배선덕트 내부의 요홈(220)을 형성하여 여기에 착탈식 내부부자재를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착탈식 내부부자재의 결합과정은 요홈(220)에 내부부자재를 삽입하여 고정수단인 볼트(240)등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선덕트 내부 요홈(220)에 삽입 고정되는 착탈식 내부부자재의 상부에는 배선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배선기구고정판(250)이 구비되고, 이 배선기구고정판(250)을 안정되게 고정하는 U-자형궤지홈(26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착탈식 내부부자재는 부자재 측면에 고정수단인 볼트(240)등과 결합 분리되는 수평돌기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착탈식 내부부자재를 요홈(220)에 삽입 고정할 경우 상기 수평돌기부(210)는 내부부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상부로 돌출되고 고정수단인 볼트등으로 상부에 돌출된 수평돌기부(210)를 결합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식에서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의 한쪽 피고정부가 좌우대칭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에 공백이 생기게 되어 내부부자재에 외부의 힘이 측면으로부터 가해질 때 고정수단이 요홈(220)으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불완전한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로 돌출된 내부부자재의 수평돌기부(210)와 수평돌기부(210)에 결합되지 못하여 공백이 생긴 고정수단의 한쪽 피고정부에 의해 전선등을 배선덕트 내부에 설치시 전선의 피복상태가 손상될 수 있고,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선덕트 내부에 공간분할과 전선의 취부지지를 가능하도록 격벽등과 같은 내부부자재 설치시 내부부자재가 고정수단으로 인한 강한 결합력을 가질수 있는 부자재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덕트의 단면도.
도 2는본 고안을 실시한 배선덕트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배선덕트 내부에 구성된 볼트에 의한 고정된 격벽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3b는 ''자 형태의 격벽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에 의한 격벽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3c는 ''자 형태의 격벽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볼트에 의한 격벽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3d는 ''자 형태의 격벽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볼트에 의한 격벽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3e는 ''자 형태의 격벽으로 구성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볼트에 의한 격벽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선덕트본체 110 : 외부접속홈 111 : 접속막대 112 : 나사못
113 : 덮개고정홈 114 : 덮개 115 : 배선덕트본체바닥면 200 : 격벽
210 : 수평돌기부 220 : 요홈 230 : 결합안착부
240 : 볼트 250 : 배선기구고정판 260 : U-자형 궤지홈
270 : 수직돌기부 280 : 고정수단결합홈
본 고안은 배선을 취부 고정하기 위한 배선덕트에 있어서, 배선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부자재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배선덕트의 내부부자재의 일실시예인 격벽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에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덕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 배선덕트 내부에는 전선을 취부하여 고정지지 하기위한 격벽(200)이 설치되고 격벽(200)을 배선덕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에요홈(220)을 구성하고, 격벽(200)의 측면에 연장된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요홈(220) 측면으로는 측면에 형성된 수평돌기부(210)가 안착되는 결합 안착부(230)가 구성되며 결합안착부(230)에 안착된 수평돌기부(210)를 상측으로부터 볼트(240)의 헤드부로 눌러 고정하는 고정수단인 볼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안착부(230)는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평돌기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낮게 단차를 두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선덕트의 결합구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격벽(200)이 요홈(220)에 삽입시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가 요홈(220) 측면에 형성된 결합안착부(230)에 안착되고, 결합안착부(230)상에 안착된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를 볼트(240)의 헤드부에 의해 눌려 고정된다.
상기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가 안착되는 결합안착부(230)는 볼트(240)를 고정수단결합홈(280)에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한후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의 두께 및 볼트(240)의 헤드부 높이를 고려하여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상면으로부터 수평돌기부(210)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낮게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200)은 배선덕트 내부에 전선을 취부 지지하기 위한 부자재의 일종이며, 배선덕트 내부에 쓰이는 부자재는 공간분할, 전선취부 등의 이유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종류는 다양하다. 여기에서는 배선덕트 내부부자재로 격벽(200)을 실시예로 들었다.
상기 배선덕트 내부에 전선을 취부 지지하기 위해서 격벽(200)이 설치될 경우 격벽(200)을 고정하기위한 수단으로 배선덕트 내부에 요홈(220)을 형성하는데 다수의 전선을 분리 수장할 수 있게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요홈(220)을 형성하고 요홈(220)에 의해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200)이 요홈(220)에 삽입되고 전선을 취부 고정한후 배선덕트 외부에서 전선을 움직이거나 배선덕트내부에 있는 전선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을 받는 경우 격벽(200)이 요홈(220)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격벽(200) 측면에 연장된 돌기부를 형성하여 수평돌기부(210)를 볼트(240)의 헤드부에 의해 눌려 고정하면 격벽(200)이 요홈(220)과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돌기부(210)는 격벽(200)을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돌기부(210)는 본 고안에서 도 3a에서 도시된 ''형상으로 구성했지만 도 3b에 '' 형상으로 , 도 3c에 '' 형상으로 , 도 3d에 '' 형상으로, 도 3e에 ''형상등 다양하게 격벽(200)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수평돌기부(210)의 모양도 달라지고, 그에 따라 격벽(200)을 설치하기 위한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요홈이나 결합안착부등의 구조도 달라진다.
상기 격벽(200)의 수평돌기부(2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볼트(240)를 실시예로 들었지만 헤드부를 가진 고정수단으로 부자재를 배선덕트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자 형태의 격벽(200)으로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240)에 의해 고정된 격벽(200)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는 격벽(200)의 구조가 '' 자 형태이므로 격벽(200)의 수직돌기부(270)가 생략되고,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요홈이 생략된 형태이고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평돌기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낮게 단차가 형성된 결합안착부(230)만 있으면 격벽(200)을 설치할 수 있는 점이 본 고안(도 3a)과는 다른점이다.
도 3c는 ''자 형태의 격벽(200)으로 구성된 제3실시예에 따른 볼트(240)에 의해 고정된 격벽(200)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는 격벽(200)의 구조가 ''자 형태이므로 수평돌기부가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배선덕트본체(100) 저면의 요홈이 생략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d는 ''자 형태의 격벽(200)으로 구성된 제4실시예에 따른 볼트(240)에 의해 고정된 격벽(200)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는 본 고안(도 3a)과 동일한 구조로 본 고안이 격벽(200)의측면 일측에만 연장된 돌기부가 형성되었지만 제4실시예는 양측에 수평돌기부(210)가 형성되어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3e는 ''자 형태의 격벽(200)으로 구성된 제5실시예에 따른 볼트(240)에 의해 고정된 격벽(200)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실시예는 격벽의 측면의 수평돌기부가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격벽 하부의 수직돌기부(270)가 수평돌기부(210)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많은 실시예를 들었지만 이외에도 다른 격벽(200)의 모양을 구성할 수 있고 배선덕트의 결합구조의 변경으로 고정수단과의 강한 결합력을 갖게 하는 기능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배선덕트의 내부부자재 결합구조의 간단한 변경에 의한 차이점으로 종래기술보다 더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격벽등과 같은 내부부자재의 수평돌기부, 고정수단인 볼트등에 의해서 전선의 피복상태를 손상할 우려가 적고, 전선이 내부에 안착할 경우 마찰계수를 높여 안정된 형태로 유동성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배선덕트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전선의 분할 설치의 효과와 공간활용 등 발전적인 배선덕트의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내부부자재의 구조는 상기 내부부자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특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형태의 내부부자재를 구성할 수 있고 고정수단도 마찬가지로 볼트와 같이 헤드부를 가진 고정수단이면 어떤것이든 무방하다.

Claims (7)

  1. 고정수단을 통해 배선덕트의 저면(또는 측면)에 결합되어 공간분할을 하는 내부부자재를 포함하는 배선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선덕트내의 공간분할을 담당하는 내부부자재와, 상기 내부부자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선덕트 저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수직돌기부와, 상기 내부부자재와 수직돌기부의 연결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선덕트 저면은 상기 내부부자재의 수직돌기부가 삽입되는 요홈부와, 수평돌기부가 안착되는 결합안착부와,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고정수단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안착부는 배선덕트 저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평돌기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낮게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자재는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자재는 수평돌기부가 양측으로 연장되는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자재의 수직돌기부가 생략된, 상기 배선덕트 저면의 요홈이 생략된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자재는 수직돌기부가 생략된, 상기 배선덕트 저면의 요홈이 생략된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자재는 수평돌기부가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직돌기부가 수평돌기부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자 형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조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연장된 돌기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볼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부자재 조립 방법.
KR20-2004-0012663U 2004-05-06 2004-05-06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KR200358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63U KR200358856Y1 (ko) 2004-05-06 2004-05-06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63U KR200358856Y1 (ko) 2004-05-06 2004-05-06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856Y1 true KR200358856Y1 (ko) 2004-08-11

Family

ID=4943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63U KR200358856Y1 (ko) 2004-05-06 2004-05-06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8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26B1 (ko) 2010-04-14 2011-03-07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101092421B1 (ko) 2010-03-16 2011-12-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다공간 분할 배선덕트
KR200468865Y1 (ko) * 2012-05-30 2013-09-05 조명운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용 연장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421B1 (ko) 2010-03-16 2011-12-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다공간 분할 배선덕트
KR101019126B1 (ko) 2010-04-14 2011-03-07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200468865Y1 (ko) * 2012-05-30 2013-09-05 조명운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용 연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5488B2 (en) Receptacle box for an underfloor system
US5913787A (en) Communications conduit connector mounting device
US7348487B2 (en) Floor box with voltage divider
CA2487750C (en) Flush poke-through fitting
US20060175086A1 (en) Divided raceway with downwardly facing outlet devices
CN1058814C (zh) 电连接盒
KR200358856Y1 (ko)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US6737575B2 (en) Conduit body adapter module
US10278301B2 (en) Retrofit multi-gang electrical box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US10490956B2 (en) Electrical box and bracket with an interface assembly
KR20020749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200274778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200282491Y1 (ko) 분할판을 갖는 배선덕트
KR101019126B1 (ko)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200171332Y1 (ko) 배선덕트
KR20090059869A (ko)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커넥터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KR100982736B1 (ko) 전등용 덕트의 커버 결합 구조 및 보조 결합 장치
KR200171331Y1 (ko) 배선덕트용 배선기구고정구
KR200252766Y1 (ko) 배선 덕트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KR200262937Y1 (ko) 배선덕트
KR100966113B1 (ko) 배선덕트용 콘센트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