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117A -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117A
KR20070104117A KR1020060036305A KR20060036305A KR20070104117A KR 20070104117 A KR20070104117 A KR 20070104117A KR 1020060036305 A KR1020060036305 A KR 1020060036305A KR 20060036305 A KR20060036305 A KR 20060036305A KR 20070104117 A KR20070104117 A KR 2007010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ranch
main body
corn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6003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4117A/ko
Publication of KR2007010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는 배선용 덕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본체의 측벽의 절개부에 분기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때 형성되는 본체와 분기체의 사이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상기 본체 및 분기체의 내부에 포설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해 덕트의 내부 모서리에 보호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배선, 덕트, 본체, 보호, 전선, 분기체, TEE, 모서리 보호

Description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protection element for Duct Wi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와 분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와 분기체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보호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보호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보호부재가 덕트 및 분기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의 보호부재가 덕트 및 분기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배선덕트에 보호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배선덕트에 보호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12, 21, 22: 측벽
13, 23: 하단벽 14, 15, 24, 25: 요홈
16: 절개부 17: 보강턱
20: 분기체
51, 52: 제1 및 2모서리
60: 보호부재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되는 배선용 덕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본체의 측벽의 절개부에 분기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때 형성되는 본체와 분기체의 사이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상기 본체 및 분기체의 내부에 포설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 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배선용 덕트는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배선 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복수의 덕트를 직선으로 연결 및 조합하거나 직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덕트에서 다른 덕트를 분기하여 설치하는 종래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05-23328호의 "배선용 덕트의 접속구조"에 잘 나타나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05-23328호에 나타난 기술은,
본체의 측벽에 분기체의 높이 및 폭과 같은 절개부를 절단하여 형성하고,
절개부에 분기체의 일단을 삽입하여 연결하며,
본체의 하단벽 내측과 분기체의 하단벽 내측에 연결부재를 복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본체와 분기체를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본체와 분기체 내에 연결부재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본체와 분기체 와의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후에 접속 부위를 선택적으로 도장 처리함으로서 외관상으로도 접속 부위가 주물 처리된 것과 같은 미려함을 도모한 효과가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본체의 측벽의 절개부에 분기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때 형성되는 본체와 분기체의 사이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해서 본체 및 분기체의 내부에 포설된 전선의 피복이 접촉되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와 같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덕트에서 분기된 덕트 및 분기체의 결합 뿐만 아니라 덕트를 "ㄱ"자 형태로 절곡할 때 상기 덕트의 내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형성된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와 분기체가 결합됨으로써 발생하는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해 덕트의 내부 모서리에 보호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의 본체와, 본체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체를 접속 및 결합하는 구조로서, 본체와 분기체의 단면적이 상이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체 내로 배선된 전선이 분기체를 통하여 분기되므로 본체의 폭 및 높이가 분기체의 폭 및 높이보다 큰 것이 적용된다. 따라서 본체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체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덕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 구성에 따라서는 전선 수용량에 관계없이 본체와 분기체의 규격이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상단이 개방되거나 덮개가 결합되는 형태로서, 좌우로 연속되는 형상으로 내측에 복수의 보강돌기나 요홈 또는 보강턱 등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는 측면으로부터 분기체(20)와 접속을 위하여 소정의 절개부(16)가 형성된다. 절개부(16)는 정해진 규격으로 미리 절개된 형태이거나 접속되는 분기체(20)의 폭 및 높이에 따라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16)는 본체(10)에 접속되는 분기체(20)의 폭과 높이만큼 절개되는데, 본체(10)의 측벽(12)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분기체(20)의 높이만큼 절개되고, 본체(10) 하단벽(1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절개된다. 즉 본체(10)의 측벽(12)과 하단벽(13)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부분에 본체(10)의 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보강턱(17)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단벽(13)의 보강턱(17)까지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10)의 측벽(12)에 형성되는 절개부(16)는 하단벽(13)이 외측으로부터 보강턱(17)이 형성된 위치까지 절개되고, 측벽(12)의 상단 부분은 절개되지 않은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16)가 보강턱(17)을 지나 더 내측으로 절개될 수 있지만, 본체(10) 내부에 배선된 전선들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분기체(20)와의 접속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까지 절개하는 것이 좋다. 본체(10)의 내측에는 복수의 요홈(14, 15)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부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분기체(20)는 상단이 개방되거나 덮개가 결합되는 형태로서, 좌우로 연속되는 형상으로 내측에 복수의 보강돌기나 요홈 또는 보강턱 등이 형성되어 있 다. 분기체(20)는 본체(10)와 동일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태이어도 좋다. 다만, 분기체(20)는 본체(10)보다는 폭 및 높이가 작은 것이 좋다. 분기체(20)의 일단은 본체(10)에 형성된 절개부(16)에 삽입되는 삽입부(26)가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마무리 가공된 형태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 및 분기체 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데, 이는 공지 공용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분기체(20)가 결합되어 본체(10) 및 분기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2모서리(51, 52)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에 보호부재(60)를 결합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60)는
분기체(20)의 바닥면(20a)과 결합되는 분기체 바닥판(62)과,
상기 분기체 바닥판(62)의 양단에 돌출되되, 본체(10)와 분기체(20)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2모서리(51, 5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부려져 형성된 제1,2모서리보호부(66, 68)와,
상기 제1,2모서리보호부(66, 68) 및 분기체 바닥판(64)과 연장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면(10a)에 결합되는 본체 바닥판(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의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기체 바닥판(62) 및 본체 바닥판(64)에 제1,2모서리보호부(66, 68)가 용접 또는 본드작업을 통해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60)의 본체 바닥판(64) 및 분기체 바닥판(62)에는 본체 및 분기체의 바닥면(10a, 20a)에 형성된 요홈(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나사공(69)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2모서리보호부(66, 68)는 완만하게 구부려져 있어서, 전선(14)의 피복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보호부는 본체와 분기체가 결합되는 구조, 즉, 분기형, 크로스형, "ㄱ"형 등 덕트의 구조 및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한쪽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에 분기체(20)를 접속하여 고정하고 보호부재(60)를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내벽이나 외벽 또는 벽체나 천정 등에 본체가 설치될 때에 본체(10)로부터 분기체(20)가 분기되는 지점은 설계도에 의존하거나 설치 당시의 상황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로부터 분기체(20)가 분기되는 위치에 절개부(16)를 형성한다. 절개부(16)는 하단벽(13)으로부터 측벽(12)의 상부 쪽으로 절개시킨다. 하단벽(13)은 보강턱(17)까지 절개하고, 상부 쪽으로 측벽(12)의 최상단부는 절개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분기체(20)가 본체(10)보다 높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의 측벽(12)으로 분기체(20)의 삽입부(26)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절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의 우측 측벽(12)에 절개부(16)를 형성하였지만, 분기체(20)가 좌측으로부터 분기되는 경우에는 좌측 측벽(11)에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개부(16)는 설치 현장에서 절개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계도에 의하여 본체에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에 절개부(16)를 형성한 후에 본체(10)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고, 해당하는 분기체(20) 일단의 삽입부(26)를 절개부(16)에 삽입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본체(10)와 분기체(20)가 결합되면서 형성된 제1모서리(51) 및 제2모서리(52)에 본 발명의 보호부재의 제1모서리보호부(66) 및 제2 모서리보호부(68)를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분기체 바닥판(62)을 분기체(20)의 바닥면(10a)에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본체 바닥판(64)을 본체의 바닥면(10a)에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해 본체(10)와 분기체(20) 사이에 전선이 안치되더라도 상기 제1모서리보호부 및 제2 모서리보호부(66, 68)에 의해 덕트 내에 포설되는 전선의 피복이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와 분기체(20)가 일체화된 형태로 제작이 되는 경우에는 일체화된 완성품의 내부에 보호부재(60)를 내부에 결합하여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30)가 일정각도로 구부려져 "ㄱ"형상을 하는 경우,
상기 구부려진 부분의 내측에 발생된 모서리(31)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31)에 접촉되되, 상기 모서리(3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부려져 형성된 제3모서리보호부(76); 및
상기 제3모서리보호부(76)의 하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덕트(30)의 바닥면(32, 34)과 결합되는 바닥판(72, 74)으로 이루어진 보호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보호부재(60)도 바닥판(72, 74)에 하나 이상의 통공(79)이 형성되어, 덕트(30)의 바닥면(32, 34)에 형성된 요홈(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본체와 분기체와의 결합 또는 덕트가 구부려져서 발생하는 내부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모서리보호부가 형성된 보호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본체 및 분기체 내에 포설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해 덕트의 내부 모서리에 보호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절개부에 일단이 삽입된 분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분기체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분기체 바닥판과,
    상기 분기체 바닥판에서 양단에 돌출되되, 상기 본체와 분기체 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2모서리와 대응되어 접촉되도록 구부려진 제1 및 2모서리보호부와,
    상기 제1 및 2모서리보호부의 하단 및 분기체 바닥판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본체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일정각도로 구부려져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구부려진 부분의 내측에 형성된 모서리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에 접촉되되,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구부려진 모서리보호부; 및
    상기 모서리보호부의 하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덕트의 바닥면과 결합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보호부는 전선의 피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만하게 구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바닥판에는 덕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1020060036305A 2006-04-21 2006-04-21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2007010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5A KR20070104117A (ko) 2006-04-21 2006-04-21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5A KR20070104117A (ko) 2006-04-21 2006-04-21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17A true KR20070104117A (ko) 2007-10-25

Family

ID=3881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05A KR20070104117A (ko) 2006-04-21 2006-04-21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41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012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덕트 어셈블리
KR20220007420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KR20220007413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KR102512281B1 (ko) * 2022-03-18 2023-03-20 오은애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012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덕트 어셈블리
KR20220007420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KR20220007413A (ko) 2020-07-10 2022-01-18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가이드 덕트 장치 및 가이드 덕트 장치의 확장 브라켓
KR102512281B1 (ko) * 2022-03-18 2023-03-20 오은애 전선관 추가 설치용 레이스웨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05783A (ja) 配線モール連結部の被覆具
KR200452125Y1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70104117A (ko)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US20140102745A1 (en) Electrical Screw Extender
KR100745191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US6384329B2 (en) End cap for closing trunking for routing electrical conductors or cables
KR100643340B1 (ko) 아웃코너 모서리용 전선몰딩
JP4478987B2 (ja) 配線ダクト用上下自在カバー
JP6391413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7025827B2 (ja) エアコン室内側の配線及び配管の化粧構造、並びに配管カバーと接続体との装置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102373414B1 (ko)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
KR20130002305U (ko) 합성수지제 휨 나선형 전선관
JP2015101111A (ja) 車両のホーン用ワイヤハーネスの保護構造及び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モジュール
JP3122581U (ja) 配線保護カバー
KR102021581B1 (ko) 배선용 몰딩
US10374404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ssembly
KR200208554Y1 (ko) 전선보호덮개
KR200359175Y1 (ko) 배관용 풀 박스
JP3000115U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0485549Y1 (ko)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KR200428657Y1 (ko) 아웃코너 모서리용 전선몰딩
KR200214704Y1 (ko) 배선 덕트
JP2024038912A (ja) 保護カバー装置、および保護カバーの設置構造
KR200428656Y1 (ko)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