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75Y1 - 배관용 풀 박스 - Google Patents

배관용 풀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75Y1
KR200359175Y1 KR20-2004-0012859U KR20040012859U KR200359175Y1 KR 200359175 Y1 KR200359175 Y1 KR 200359175Y1 KR 20040012859 U KR20040012859 U KR 20040012859U KR 200359175 Y1 KR200359175 Y1 KR 200359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ir
bent
guid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철
Original Assignee
임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철 filed Critical 임기철
Priority to KR20-2004-001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장이나 건축물의 옥내 전력, 통신 공사의 간선설비에 수반되는 전선관 배관라인의 중간이나 굴곡부에 주로 설치되어 배관작업 후 입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풀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개구부에 놓여지는 판형상의 덮개로 이루어진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개구부는 상기 덮개가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의 타방으로 상기 덮개가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가 삽입 가능하게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관의 배관작업 시 풀 박스를 설치한 후에 전선이나 전력, 통신 케이블 등의 입선작업을 마친후 덮개를 함체에 고정할 때 1인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관용 풀 박스{Pull box cover for pipe}
본 고안은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장이나 건축물의 옥내 전력, 통신 간선 설비공사에 수반되는 전선관 배관공사의 중간이나 굴곡부에 주로 설치되어 배관작업 후 설치된 풀 박스(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선이나 전력, 통신 케이블 등의 입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풀 박스(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설치되는 풀 박스(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풀 박스(10)가 천정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작업자가 이동용 PT 우마나 A형 사다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덮개(200)를 씌우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종래의 풀 박스(10)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벽면(106a, 106b, 106c, 106d)에 연결된 전선관(102)에 입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수용부(104)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와, 이에 부착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진 구조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그 크기는 100mm ×100mm ×50mm 에서 부터 600mm ×600mm ×400mm 이내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제조되어 시판 및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풀 박스(10)는 벽면(106a, 106b, 106c, 106d)을 연장 시키고 이를 절곡하여 소정면적의 절곡면(108a, 108b, 108c, 108d)이 동일하게 서로 맞닿으며 연결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소정 넓이의 판상의 덮개(200)를 맞대고 절곡면(118a, 118b, 118c, 118d)과 덮개(200)가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나사(300)를 외부에서 체결하여야 한다.
이때, 전선관 배관작업 시 설치된 풀 박스(10)의 벽면(106)에 연결된 전선관 속으로 전선이나 전력, 통신 케이블 등의 입선 작업을 마무리 한 후 덮개(20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인의 작업자가 한 사람은 덮개(2000를 잡고 있고, 또 한 사람의 작업자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300)를 체결 하거나 아니면 1인의 작업자가 한 손으로 덮개(200)를 잡고 또 한 손으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300)를 체결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1인의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풀 박스(10)의 설치위치가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A형 사다리를 이용하여 나사(300)를 체결 하여야 하므로 잘못하면 균형을 잃게 되어 넘어져 다치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풀 박스(10)는 상기 덮개(200)를 최소한 4군데 이상을 나사(300)를 이용하여 체결 하므로 나사(300)가 많이 소요 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 되며 또한 작업자의 체력소모도 많아져 작업능률을 저하 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1인의 작업자가 혼자서도 안전하고 간단하게 함체(100)에 덮개(200)를 체결할 수 있는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풀 박스(10)의 함체(100)에 덮개(200)를 체결할때 종래보다 적은 수효의 나사(300)를 이용하여 체결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체력소모가 적어지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풀 박스(10)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배관용 풀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풀 박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풀 박스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풀 박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풀 박스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풀 박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풀 박스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풀 박스 100; 함체
102; 전선관 104; 수용부
106a, 106b, 106c, 106d; 벽면 110; 덮개입구
112; 관통홀 114; 보호구
116a, 116b; 안내홈 118a, 118b, 118c, 118d; 절곡부
119; 고정편 200; 덮개
202a; 삽입 시작부 202b; 후면부
203a, 203b; 절첩부 204a, 204b; 끼움부
300; 나사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함체(100)와 상기 개구부에 놓여지는 판형상의 덮개(200)로 이루어진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의 개구부는 상기 덮개(200)가 내측 벽면((106b, 106d)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의 타방으로 상기 덮개(200)가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200)가 삽입 가능한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118a, 118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118a, 118c)중 어느 하나의 입구용 절곡부(118c)는 상기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덮개(200)가 나머지 하나의 입구용 절곡부(118a)로만 삽입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200)와 맞닿는 벽면의 하부에 입구용 절곡부(118c)와 동일한 높이로 별도로 절곡된 "ㄱ"자형 고정편을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는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안내홈(116a, 116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는 양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끼움부(204a, 204b)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116a, 116b)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풀 박스(1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풀 박스(1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풀 박스(1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풀 박스(10)는 주로 천정면과 같은 고소면에 위치하며 설치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PT 우마나 A형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풀 박스(1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서 풀 박스(10)의 벽면(106a, 106b, 106c, 106d)에 연결된 전선관(102) 속으로 전선이나 전력, 통신 케이블 등의 입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일정공간의 수용부(104)가 형성되고 육면중에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함체(100)와 상기 개구부에 놓여져 나사(300)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판형상의 덮개(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는 인접하는 4개의 벽면(106a, 106b, 106c, 106d)을 연장하여 "ㄱ"자로 절곡한 소정 면적의 절곡부(118a, 118b, 118c, 118d)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덮개(200)가 안착되도록 상기 절곡부(118a, 118b, 118c, 118d)중에 서로 대응하며 상기 덮개(200)가 내측으로 이동 가능한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와 그 나머지 일측에 형성되는 절곡부(118c)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한쪽의 입구용 절곡부(118a)는 상기 4면 중의 일면의 높이를 줄여 공간을 형성하는 밥법으로 절곡 형성하여 덮개입구(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덮개입구(110)는 상기 덮개(20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200)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덮개(200)를 작업자가 상기 덮개입구(110)로 수평하게 삽입하게 되면, 덮개(200)의 일단이 맞닿게 되면 더 이상 덮개(20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3군데의 절곡부(118b, 118c, 118d)의 내 측면에 덮개(200)가 안착되고, 상기 덮개(200)의 후면부(202b)는 상기 입구용 절곡부(118a)의 외측과 맞닿게 되어 작업자는 이곳에 체결부재인 나사(30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200)의 일단이 맞닿게 되는 벽면(106c)의 하부, 즉, 절곡부(118c)의 상부에 덮개(200)가 끼워지는 수직방향으로 입구용 절곡부(118a)와 동일한 높이로 "ㄱ"자 형상의 별도로 절곡된 고정편을 부착하여 상기 덮개(200)가 안착된 후 들뜨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100)의 벽면(106a, 106b, 106c, 106d)에는 전선관(102)의 연결이 가능 하도록 필요한 수량 만큼의 관통홀(112)을 천공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필요할 경우 미리 함체(100)의 벽면(106a, 106b, 106c, 106d)에 관통홀(112)을 천공하여 둘 수 있으며, 이때 전선관(102)이 연결되지 않은 여분의 관통홀(112)은 보호구(114)로 막아두면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풀 박스(10)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하지만, 수용부(104) 일측의 개구부 형상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함체(100)의 개구부는 인접하는 4군데의 벽면(106a, 106b, 106c, 106d)을 연장하여 "ㄱ"자 형상으로 절곡한 소정 면적의 절곡부(118a, 118b, 118c, 118d)를 형성하되,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와 다른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118a, 118c)의 높이를 달리하게 되면, 그 사이에 덮개입구(110)가 양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어느 한 방향의 덮개입구(110a)로 덮개(200)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다른 한 방향의 덮개입구(110b)로 덮개(20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를 제외한 나머지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118a, 118c)는 상기 덮개(200)가 삽입될 경우 덮개(200)의 삽입 시작부(202a)와 후면부(202b)가 상기 입구용 절곡부(118a)와 입구용 절곡부(118c)의 외측과 각각 맞닿게 되는 구조가 되고, 덮개(200)의 삽입 시작부(202a)와 후면부(202b)의 가장자리 중앙에 절첩부(203a)(203b)를 형성, 손잡이 역활을 하도록 함으로써 덮개(200)의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덮개(200)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절첩부(203a)(203b)를 어느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마주보는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118a, 118c)와 삽입된 상기 덮개(200)를 체결부재인 나사(300)를 사용하여 각각 최소 1개소 이상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10)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풀 박스(10)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하지만,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의 형상 및 그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의 형상에 따른 덮개(200)의 형상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함체(100)의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를 한번더 안쪽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안내홈(116a, 116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덮개(200)의 양 측면의 가이드 부분 역시 동일하게 "ㄷ"자 형상의 끼움부(204a, 204b)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덮개(200)의 "ㄷ"자 형상의 끼움부(204a, 204b)는 상기 함체(100)의 안내홈(116a, 116b)에 끼워지게 되는것이다.
결국, 상기 덮개(200) 및 함체(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몸체의 일측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 인해 일정 압력 이상의 하중에 의해서도 휘지 않고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입구용 절곡부(118a)와 삽입된 상기 덮개(200)를 체결부재인 나사(300)를 이용하여 풀 박스(10)의 크기에 따라 적정개소에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00)의 안내홈(116a, 116b) 및 덮개(200)의 끼움부(204a, 204b)를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관 배관작업시 설치된 풀 박스(10)의 벽면(106a, 106b,106c,106d)에 연결된 전선관(102)속에 전선이나 전력, 통신 케이블 등의 입선작업을 마친후에 1인의 작업자가 덮개(200)를 함체(100)에 고정하더라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용 절곡부(118b, 118d)에는 체결부재인 나사(300)로 고정할 필요 없이 입구용 절곡부(118a, 118c)에만 체결부재인 나사(300)로 고정하게 되므로 소요되는 나사(300)의 수효를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체력소모도 줄이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함체와 상기 개구부에 놓여지는 판형상의 덮개로 이루어진 전선관 배관용 부속자재인 풀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개구부는 상기 덮개가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의 타방으로 상기 덮개가 삽입이 가능하게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가 삽입 가능한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배관용 풀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입구용 절곡부 중에 어느 하나의 입구용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용 절곡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덮개가 나머지 하나의 입구용 절곡부로만 삽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배관용 풀 박스.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맞닿는 벽면의 하부에 입구용 절곡부와 동일한 높이로 별도로 절곡된 "ㄱ"자 형상의 고정편을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배관용 풀 박스.
  4.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용 절곡부는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양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끼움부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배관용 풀 박스.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삽입 시작부와 후면부의 가장자리 중앙에 절첩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배관용 풀 박스.
KR20-2004-0012859U 2004-05-08 2004-05-08 배관용 풀 박스 KR200359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859U KR200359175Y1 (ko) 2004-05-08 2004-05-08 배관용 풀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859U KR200359175Y1 (ko) 2004-05-08 2004-05-08 배관용 풀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75Y1 true KR200359175Y1 (ko) 2004-08-21

Family

ID=493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859U KR200359175Y1 (ko) 2004-05-08 2004-05-08 배관용 풀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22B1 (ko) 2008-04-23 2008-07-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2343919B1 (ko) * 2021-05-12 2021-12-24 전영환 방폭용 전기스위치 보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22B1 (ko) 2008-04-23 2008-07-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2343919B1 (ko) * 2021-05-12 2021-12-24 전영환 방폭용 전기스위치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05233A3 (en) Cable duct
US5949025A (en) Multifunctional conduit
KR200359175Y1 (ko) 배관용 풀 박스
US20140102745A1 (en) Electrical Screw Extender
ES2323507T3 (es) Elemento separador para conductop de malla para cables y un conducto de malla para cables que comprende ese elemento.
US20080146078A1 (en) Universal modular support bracket assembly
KR20130137767A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KR20090014659A (ko)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KR20070104117A (ko)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JP2007010251A (ja) ユニットバスの追焚配管構造
JP2005296470A (ja) ユニットバスの配管構造
US7387287B2 (en) Perforated section supporting device adapted to be fixed to a surface such as a ceiling
EP1749950B1 (en) Fixing device for a panel and kit comprising such fixing device and panel
JP4345557B2 (ja) ユニットバス
JP2922089B2 (ja) スチーム発生器の取付構造
KR102364781B1 (ko)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KR200345877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30094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0412257Y1 (ko) 천장 점검구
KR20080002961U (ko) 경량칸막이용 배선박스 브래킷
JP2006348623A (ja) 配管、配線ダクト等の収納体
KR2003009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JP3710598B2 (ja) 冷媒管保護ダクトの分岐接続具
JPH0913553A (ja) 壁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