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56Y1 -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 Google Patents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56Y1
KR200428656Y1 KR2020060020755U KR20060020755U KR200428656Y1 KR 200428656 Y1 KR200428656 Y1 KR 200428656Y1 KR 2020060020755 U KR2020060020755 U KR 2020060020755U KR 20060020755 U KR20060020755 U KR 20060020755U KR 200428656 Y1 KR200428656 Y1 KR 200428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ring
mold
attach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6002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05Mounting by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면이 서로 교차되거나, 벽면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와 바닥에 설치되어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수납 정리할 수 있는 교차되는 배선용 몰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에 의하면, 통신 케이블 내지 전선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배선용 몰딩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몰딩은 벽면이 교차하거나, 바닥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에 적용되되, 티형 내지 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의 바닥에 부착도록 분기되는 중심에서 상기 베이스가 10 ~ 20cm 이내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로는 고정용 구멍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부착시 접착력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몰드, 케이블, 베이스, 커버, 벽면, 모서리

Description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PLASTIC FRAME FOR COVERING ELECTRIC WIR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를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가 분기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베이스의 좌우가 탄성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전선 20: 공간부
30: 베이스 40: 커버
50: 배선용 몰드 60: 벽면
62: 모서리 64: 바닥
본 고안은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벽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에 부착되어 수납되는 전선을 정리하고, 그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몰딩은 전기, 전자, 통신기구에 전력을 공급 내지 연결하는 전선 및 통신 케이블을 수납하여 정리하면서 그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선몰딩은 통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고, 베이스와 커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공간부로 전선 또는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고, 베이스의 바닥면으로는 접착수단이 형성되어 건물의 바닥에 부착되어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전선몰딩은 건축물의 수평바닥이나 천정,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됨이 일반적이고,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서는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2002년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36163호 "코너부 몰딩을 겸하는 전선 보호용 커버"가 개시되어 전술한 문제점으로 지적된 각진 모서리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장식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공지의 예는 각진 인코너 부위에 적용되는 것으로 교차되 는 티형 또는 엘형으로 이루어진 모서리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이 서로 교차되거나, 벽면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와 바닥에 설치되어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수납 정리할 수 있는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티형 또는 엘형으로 이루어져 코너의 분기되는 모서리에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티형 또는 엘형으로 이루어진 배선용 몰드의 베이스에 다수개의 고정용 구멍을 형성시켜 그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신 케이블 내지 전선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배선용 몰딩에 있어서, 상기 배선 용 몰딩은 벽면이 교차하거나, 바닥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에 적용되되, 티형 내지 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의 바닥에 부착도록 분기되는 중심에서 상기 베이스가 10 ~ 20cm 이내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로는 고정용 구멍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부착시 접착력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베이스는 탄성 플라스틱 내지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커버는 무늬 코팅이 형성된 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가 분기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몰드(50)는 통신 케이블 내지 전선(10)이 수납되는 공간부(20)를 형성하도록 베이스(30)와 커버(40)로 이루 어진 통상의 전선몰드를 개량한 것이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몰드(50)는 벽면(60)이 교차하는 모서리(62)에 적용하거나, 바닥(64)에서 분기되어 내부에 수납된 전선(10)을 연장시키기 위한 장소에 사용된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교차하는 모서리(62) 또는 분기되는 곳에서 전선몰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전선몰드를 소망하는 길이로 맞춘 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외관이 보기 좋지 않았으며, 특히 분기되는 곳에서는 길이방향의 중간에 홈을 형성시킨 후 별도의 전선몰드를 교차하여 설치하므로 설치시 불편함이 많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몰드(50)는 벽면이 교차하여 분기되는 모서리(62)에만 적용됨을 알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되는 벽면(60)의 모서리(62), 바람직하게는 90°를 이루며 교차하는 벽면(60)에 사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90°로 꺽긴 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64)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90°로 꺽기면서 대칭되는 가지몰드관(52)을 일체로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은 각기 서로 다른 장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62) 또는 바닥(64)에서 분기되는 곳에서 각기 사용된다.
다시, 본 고안은 분기되는 중심(C)에서 상기 베이스(30)와 커버(40)가 10 ~ 20cm 이내로 연장된 후 마감되어 있다. 이렇게 분기되는 길이를 한정하는 이유는 사용시 길이방향으로만 연장된 전선몰드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용도로만 사용된다.
즉, 본원 고안에서 베이스(30)와 커버(40)는 위와 같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어야만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며, 특히 중심(C)에서 위와 같은 거리를 가지고 있어야 수납된 전선(10)이 꺽기는 각도가 완만해진다.
또다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베이스(30)는 그 길이방향 중심으로 주름부(32)가 상기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32)는 상기 베이스(30)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베이스(30)의 좌우는 탄성으로 인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베이스(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재(미도시)와 바닥(64)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며, 특히 평탄하지 않은 바닥(64)에 부착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도 4는 이러한 베이스(30)의 좌우가 탄성에 의해서 움직이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평탄하지 않고 굴곡인 있는 통상의 모서리(62)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통상의 전선몰드가 굴곡진 면 위에서는 바닥(64)에 부착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것과 극히 대조를 이루며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몰드(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지몰드관(52)이 형성되어 벽면(60)이 교차된 곳이 아닌 바닥(64)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곳에 설치된다.
상기 가지몰드관(52)은 벽면(60)에서 분기되어 연장되는 전선(10)을 수납하 는 역할로서, 종래에는 전선몰드의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다른 전선몰드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외적으로도 깔끔한 마무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지몰드관(52) 역시, 바람직하게는 벽면(60)에서 90°를 이루며 분기되어 벽면(60)의 외측을 향해서 10 ~ 20cm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다시, 상기 베이스(30)의 표면으로는 고정용 구멍(34)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구멍(34)은 미도시된 부착재의 역할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64)에 부착된 베이스(3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으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하되는 부착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용 구멍(34)에 못과 같은 고정구를 통과시켜 베이스(30)와 바닥(64)을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위와 같은 주름부(32), 고정용 구멍(34)으로 더욱 견고한 부착이 되며, 평탄하지 않은 바닥(64)에도 수월한 부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는 탄성 플라스틱 내지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견고한 구조 및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커버(40) 는 무늬 코팅이 형성된 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미관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몰드에 의하면, 벽면이 서로 교차되거나, 벽면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수납 정리할 수 있도록 티형 또는 엘형으로 이루어져 깔끔한 배선을 수행할 수 있고, 배선용 몰드의 베이스에 다수개의 고정용 구멍과 주름부를 형성시켜 그 접착력을 증대시켜 제품의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 케이블 내지 전선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배선용 몰딩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몰딩은 벽면이 교차하거나, 바닥에서 분기되는 모서리에 적용되되, 티형 내지 엘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의 바닥에 부착도록 분기되는 중심에서 상기 베이스가 10 ~ 20cm 이내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로는 고정용 구멍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는 주름부가 형성되어 부착시 접착력을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탄성 플라스틱 내지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무늬 코팅이 형성된 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KR2020060020755U 2006-08-02 2006-08-02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KR200428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55U KR200428656Y1 (ko) 2006-08-02 2006-08-02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55U KR200428656Y1 (ko) 2006-08-02 2006-08-02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703A Division KR100722510B1 (ko) 2006-08-01 2006-08-01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56Y1 true KR200428656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55U KR200428656Y1 (ko) 2006-08-02 2006-08-02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79B1 (ko) 2013-07-29 2015-09-03 김인균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79B1 (ko) 2013-07-29 2015-09-03 김인균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0865A (en) Cable protection device
US5014860A (en) Shower caddy
CN105464280A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及其形成方法
CN204898991U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
US20230200595A1 (en) Wall Niche Kit and Related Methods
KR200428656Y1 (ko)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JP4573777B2 (ja) 建築物内外装用鎹型パネル
KR100722510B1 (ko)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US6283247B1 (en) Fabric retainer for acoustic structur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101512984B1 (ko) 도어용 행거
US6479747B2 (en) Accessory for fitting to the base section of trunking for routing electrical cables or conductors
KR20070104117A (ko)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102360590B1 (ko) 천장몰딩용 연결기구
CN207947573U (zh) 一种底盒连接构件及底盒连接结构
CN104619937A (zh) 热成形基脚
CN105971248A (zh) 可大容量布线的踢脚线及其组装方法
CN202787905U (zh) 一种地脚线前盖
KR102040515B1 (ko) 물뿌리개
KR200428657Y1 (ko) 아웃코너 모서리용 전선몰딩
US20080053025A1 (en) Clip
KR100694487B1 (ko)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JP6148773B1 (ja) 手摺装置
JP3116858U (ja) 巾木
JP6266266B2 (ja) 破風板の取付構造
KR100584684B1 (ko) 전선 수납이 가능한 전선수납용 몰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