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49Y1 -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 Google Patents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49Y1
KR200485549Y1 KR2020150007544U KR20150007544U KR200485549Y1 KR 200485549 Y1 KR200485549 Y1 KR 200485549Y1 KR 2020150007544 U KR2020150007544 U KR 2020150007544U KR 20150007544 U KR20150007544 U KR 20150007544U KR 200485549 Y1 KR200485549 Y1 KR 200485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dy
cover
duct
dispos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70U (ko
Inventor
이호동
김남준
Original Assignee
이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동 filed Critical 이호동
Priority to KR2020150007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4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되,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를 덮는 커버;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부와 상기 커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덕트는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면서도 와이어를 건물의 모서리측에 설치되게 정렬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Duct for guiding wire}
본 고안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와이어의 인입이 용이한 구조의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선이나 전화선 또는 랜선 등의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칭함)을 가설할 때에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배관도구로서 일명 쫄대 또는 폴대로 지칭되는 전선몰딩을 사용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종래의 전선몰딩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반원 형상 또는 납작한 형태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덮개부(10, 10')와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20, 20')를 형성하여, 배선 작업시에는 본체부(20, 20')의 공간으로 케이블을 인입시킨 후에, 덮개부의 체결부재(11, 11')가 본체부의 체결부재(21, 21')와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형태의 전선몰딩은 하중이 많이 나가는 물체나 그 밖의 물리적 충격이 누적될 경우 배관된 덮개부(10, 10') 및 본체부(20, 20')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형태의 전선몰딩을 이용하여 천정벽 등과 같은 높은 공간에 전선배관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본체부(20, 20')에 케이블을 인입하는 과정과, 인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파지하는 과정과, 파지된 상태에서 덮개부(10, 10')를 결착시키는 과정의 동작을 작업자가 천정벽 방향으로 팔을 뻗은 상태에서 연속동작으로 작업수행해야 하므로 용이하게 케이블을 인입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공간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와이어의 고정이 용이한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되,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를 덮는 커버;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부와 상기 커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 상기 커버 및 연결부는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두께(D1)는 상기 커버의 단부 두께(D2)보다 얇은 것은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를 덮는 커버;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부와 상기 커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본체는, 저면부; 측면부; 상기 저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 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커버는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의 두께(D3)는 상기 저면부의 두께(D4)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저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는 상기 저면부의 단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와 상기 모서리 사이에는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는 상기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과 내측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는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건물의 모서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호 형상의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물리적 충격에도 강하며 와이어를 건물의 모서리측에 설치되게 정렬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가이드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몰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전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설치된 측면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전개도 및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의 제1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는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 1a, 1b)는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 1a, 1b)는 건물의 모서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호 형상의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물리적 충격에도 강하며 와이어를 건물의 모서리측에 설치되게 정렬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는 가이드 본체(100), 커버(200), 연결부(300) 및 클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본체(100)와 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덕트(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본체(100)와 커버(200)는 와이어(W)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00)는 건물의 모서리에 배치되되, 바닥측에 배치되는 저면부(110)와 벽측에 배치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효율 및 건물의 모서리에 대한 배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본체(100)는 건물의 모서리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저면부(110)는 건물의 바닥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면부(110)의 내측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내측'이라 함은 가이드 본체(100)에 커버(200)가 설치된 상태의 상기 덕트(1)에서 안쪽을 의미한다.
그리고, 저면부(1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클램프(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400) 각각은 와이어(W)의 외주면의 일영역을 잡아 와이어(W)의 배치를 안내하면서도 와이어(W)를 고정할 수 있다.
측면부(120)는 건물의 벽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120)에도 복수 개의 클램프(400)가 측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커버(200)는 가이드 본체(10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가이드 본체(100)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200)는 외부의 오염 인자로부터 상기 덕트(1)의 내부 및 상기 덕트(1)의 내부에 설치되는 와이어(W)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
커버(200)는 소정의 곡률(R)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0)에 외력에 의해 수직 하중이 가해질 때, 소정의 곡률(R)로 만곡되게 형성된 커버(200)는 수직 하중을 분산시켜 커버(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200)의 단부에는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일측에는 연결부(30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200)는 단부에 형성된 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210)는 결합홈(111)에 결합하여 커버(200)가 가이드 본체(1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가이드 본체(100)의 단부와 커버(2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200)를 가이드 본체(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연결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를 측면부(120)의 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를 열어 와이어(W)를 설치하고, 커버(200)를 닫아 와이어(W)를 보호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00), 커버(200), 연결부(300)는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100), 커버(200), 연결부(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00)의 두께(D1)는 커버(200)의 단부 두께(D2)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200)는 회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1:D2=1:5~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400)는 가이드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W)의 배치를 안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삽입 설치되게 개구가 형성된 C자 형의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의 길이 방향 측면을 덮도록 상기 덕트(1)는 측면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의 설치시, 저면부(110) 및 측면부(120)의 외면에 접착재질의 재료를 도포하고, 건물의 바닥측에는 저면부(110)가 건물의 벽측에는 측면부(120)가 각각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덕트(1)에 있어서, 건물의 모서리에 설치시 접착재를 도포하여 부착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커버(200)를 열고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이드 본체(100)를 건물의 바닥 또는 벽측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는 가이드 본체(100a), 커버(200), 연결부(300) 및 클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덕트(1a)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덕트(1a)의 길이 방향 측면을 덮도록 상기 덕트(1a)는 측면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본체(100a)와 커버(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를 위한 덕트(1a)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와 비교해 볼 때, 가이드 본체(100a)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덕트(1a)의 가이드 본체(100a)는 바닥측에 배치되는 저면부(110), 벽측에 배치되는 측면부(120) 및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저면부(110)와 측면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저면부(110)를 기준으로 측면부(1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저면부(110)의 단부와 측면부(12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면부(110), 측면부(120),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 커버(200), 연결부(300)는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면부(110), 측면부(120),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 커버(200), 연결부(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의 두께(D3)는 저면부(110)의 두께(D4)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부(120)의 두께는 저면부(110)의 두께(D4)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3:D4=1:5~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측면부(120)는 저면부(11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건물에 모서리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저면부(110) 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모서리의 건축 마감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건물 모서리에 상기 덕트(1a)가 설치되게 한다.
한편,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저면부(110)의 단부와 측면부(12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저면부(110)의 단부와 측면부(120)의 단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내측'이라 함은 가이드 본체(100a)에 커버(200)가 설치된 상태의 상기 덕트(1a)에서 안쪽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는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와 모서리 사이에는 와이어(W)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1a)는 클램프(400)에 의하여 와이어(W)를 고정하면서도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와 모서리 사이에 와이어(W)가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b)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b)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 및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b)는 가이드 본체(100b), 커버(200), 연결부(300) 및 클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본체(100b)와 커버(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덕트(1b)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덕트(1b)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덕트(1b)의 길이 방향 측면을 덮도록 상기 덕트(1b)는 측면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와 비교해 볼 때, 가이드 본체(100b)에서 차이가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가이드 본체(100b)의 저면부(110a)에 절개홈(112)과 내측 결합홈(113)이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1a)와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저면부(110a)는 건물의 바닥측에 배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110a)의 내측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1b)의 가이드 본체(100a)는 바닥측에 배치되는 저면부(110a)에 절개홈(112)과 내측 결합홈(113)이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덕트(1a)의 저면부(110)와 차이가 있다.
절개홈(11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결합홈(11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12)에서 가이드 본체 연결부(130)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결합홈(113)은 저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덕트(1b)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저면부(110)의 일영역을 용이하게 절개하고, 저면부(110)의 일영역이 절개된 상기 덕트(1b)를 건물의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0)의 돌기(210)는 내측 결합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저면부(110)의 일영역을 절개할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110)의 일영역이 절개되지 않은 상기 덕트(1b)를 건물의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1b)는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절개홈(112)을 따라 저면부(110)의 일영역을 절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효율 및 건물의 모서리에 대한 배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1b :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100, 100a, 100b : 가이드 본체
110, 110a : 저면부 112 : 절개홈
120 : 측면부 130 : 가이드 본체 연결부
200 : 커버 300 : 연결부
400 : 클램프 500 : 측면 커버
W : 와이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건물의 모서리에 부설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를 덮는 커버;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부와 상기 커버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본체는,
    저면부;
    측면부;
    상기 저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 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 및
    상기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과 내측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기 저면부의 일영역의 절개시,
    상기 커버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내측 결합홈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커버는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의 두께(D3)는 상기 저면부의 두께(D4)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일영역에 대한 미절개시,
    상기 돌기는 상기 저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는 상기 저면부의 단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본체 연결부와 상기 모서리 사이에는 와이어가 배치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7. 삭제
  8. 삭제
KR2020150007544U 2015-11-20 2015-11-20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KR200485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44U KR200485549Y1 (ko) 2015-11-20 2015-11-20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44U KR200485549Y1 (ko) 2015-11-20 2015-11-20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0U KR20170001870U (ko) 2017-05-30
KR200485549Y1 true KR200485549Y1 (ko) 2018-01-24

Family

ID=5902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44U KR200485549Y1 (ko) 2015-11-20 2015-11-20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4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92B1 (ko) * 2006-11-29 2007-04-06 (주)선진전력기술단 전기설비 누전방지 닥트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7820A (ja) * 1996-03-08 1997-09-19 Hikari Moole:Kk コーナ用配線カバー
KR100905978B1 (ko) * 2007-06-26 2009-07-06 신철호 일체형 삼각 전선몰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92B1 (ko) * 2006-11-29 2007-04-06 (주)선진전력기술단 전기설비 누전방지 닥트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0U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950B2 (en) Releasable holder for cables and conduit
US8227694B2 (en) Wire harness exterior protecting tube and wire harness
JP5060362B2 (ja) 配線・配管材引出具
JP2009225616A (ja) 複数本のワイヤハーネスのクランプ
KR200452125Y1 (ko) 배선보호용 덕트
EP3491277B1 (en) Retain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JP6280816B2 (ja) 電線固定具
US11368004B2 (en) Flexible channel molding assemblies
KR101597012B1 (ko) 경로 유지 부재 구비 코르게이트 튜브 및 와이어 하네스
KR102192228B1 (ko)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0485549Y1 (ko)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KR101241104B1 (ko) 통신 케이블용 행거
JP4857449B2 (ja) 伸縮自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100905978B1 (ko) 일체형 삼각 전선몰딩
KR200466860Y1 (ko)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70104117A (ko) 배선덕트의 보호부재 결합구조
KR101639273B1 (ko)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장치
JP5452159B2 (ja) 配線ボックス
KR101391121B1 (ko) 케이블 보호덮개
JP6893684B2 (ja) 配管クランプ
KR200449900Y1 (ko) 케이블용 클램프
KR20200002612U (ko) 케이블용 몰딩 어셈블리
KR100591538B1 (ko)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KR200334706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하는 배선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