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38B1 -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38B1
KR100591538B1 KR1020060013837A KR20060013837A KR100591538B1 KR 100591538 B1 KR100591538 B1 KR 100591538B1 KR 1020060013837 A KR1020060013837 A KR 1020060013837A KR 20060013837 A KR20060013837 A KR 20060013837A KR 100591538 B1 KR100591538 B1 KR 10059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duct
rubber
air leakage
circumferential surfac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919A (ko
Inventor
배인선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이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동 filed Critical 이기동
Priority to KR102006001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5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덕트와 연결구의 결합시 발생하는 공기의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환기덕트가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환기덕트 연결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기덕트(3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테'(110), 및 상기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수직 단차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삽입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환기덕트(30) 내부의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덕트끼움루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덕트 내부의 공기의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환기덕트가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환기덕트 연결구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덕트, 환기덕트, 연결구, 공기 누설, 러버

Description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Air leakage Sealing Type Connector of Ventilation Duct}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의 결합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 구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100 ; 몸체부 110 ; '멈춤 돌기테'
112 ; 덕트끼움루프 112a ; 안내경사면
114 ; 가이드리브 114a ; 안내경사면
120 ; 끼움부 120a ; 끼움돌기
200 ; 러버 200a ; 끼움공
201 ; 고정 돌기테 202 ; 경사 단차부
본 발명은 환기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기덕트와 연결구의 결합시 발생하는 덕트 내부의 공기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덕트를 손쉽게 환기덕트 연결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 고, 도 1b에는 도 1a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10)는, 환기덕트(30)를 환기덕트 연결구(10)에 결합한 경우, 환기덕트(30)의 아래면과 윗면(그 중에서도 특히 윗면)이 처지는 현상(즉, 휨 현상)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환기덕트(30)의 휨 현상은 덕트 사용 시간이 길수록 더욱 심각하게 진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환기덕트(30)가 처짐으로써 환기덕트(30)와 환기덕트 연결구(10) 사이에 간극(g)이 발생하여 덕트 내부에 있는 공기가 누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덕트 내부에 있는 공기가 누설되면 급기와 배기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게 되므로 환기덕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결정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목적은, 환기덕트와 환기덕트 연결구의 결합시 발생하는 덕트 내부의 공기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환기덕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다른 목적은, 덕트 내부의 공기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덕트를 간단하고도 손쉽게 환기덕트 연결구에 결합할 수 있는 환기덕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환기덕트와 환기덕트 연결구를 연결시킬 수 있는 환기덕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다른 목적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되는 러버의 구성에 의하여 낮은 코스트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제품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기에 적당하도록 한 환기덕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는, 환기덕트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테', 및 상기 '멈춤 돌기테'에 일체로 수직 단차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가 삽입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환기덕트 내부의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덕트끼움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는, 환기덕트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테', 상기 '멈춤 돌기테'에 일체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가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억지 끼워져 있는 러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는, 몸체부(100)와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환기덕트(30) 상호 간을 연결한다.
상기 '멈춤 돌기테'(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몸체부(100)의 안쪽 면을 의미한다)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기덕트(30)가 끼워질 때 결합되는 환기덕트(30)가 일정 위치 이상을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덕트끼움루프(112)는 상기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멈춤 돌기테'(110)로부터 수직 단차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삽입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환기덕트(30) 내부의 공기 누설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가 형성하는 공간에 환기덕트(30)가 삽입 끼워지게 되면, 환 기덕트(30)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덕트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C)는 러버(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서 내주면과 외주면(몸체부(100)의 바깥쪽 면을 의미한다)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100)에 '억지 끼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러버(200)는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에 탄성력에 의해서 억지 끼움 체결되는 구성을 의미하며, 고무 그 자체를 나타내는 구성이 아님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러버(200)의 재질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버(200)를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함으로써 낮은 코스트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연질 플라스틱'에는 예컨대, PE(폴리에틸렌), EVA(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우레탄, 산토플랜, '연질 PVC(폴리염화비닐)' 등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버(200)의 입구 쪽 단부는 환기덕트(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바깥으로 경사지게 깍여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양 단부에는 끼움부(120)와 복수의 끼움돌기(12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410a)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단부에서 수직 단차 형성되 어서 러버(450)가 억지 끼워지고, 상기 끼움돌기(120a)는 상기 끼움부(120)의 전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하기하는 끼움공(200a)에 끼움 체결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러버(200)에는 복수의 끼움공(200a)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공(200a)은 상기 끼움돌기(120a)와 끼움 체결하여 러버(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고정 돌기테'(201)가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돌기테'(201)는 러버(200)에 억지 끼워진 환기덕트(30)가 잘 빠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테'(201)는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경사 단차부'(2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단차부'(202)는 러버(200)에 억지 끼워진 환기덕트(30)가 잘 빠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환기덕트 연결구의 덕트끼움루프(112)에는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11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C')는, 가이드리브(114)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114)는 상기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114a)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리브(114)는 환기덕트(3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경가면(114a)을 형성하고 있어서, 환기덕트(30)가 환기덕트 연결구(C')에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는 것을 안내함과 동시에 삽입 안착된 환기덕트(30)가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환기덕트(30)는 상기 가이드리브(114)의 안내경사면(11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가이드리브(114)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 안착되어서 끼워지게 되며, 그 결과 상기 환기덕트(30)가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와 환기덕트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C'')는 상기 환기덕트 연결구(C)와 환기덕트 연결구(C')의 요지를 결합한 기술이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C'')는,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수직 단차지게 연장 형성된 덕트끼움루프(112)가 형성되 고, 상기 덕트끼움루프(112)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덕트끼움루프(112)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리브(114)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와 가이드리브(114)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나머지 구성요소 예컨대, 러버(200), 끼움부(120), 고정 돌기테(201) 등의 구성 역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의 체결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9a 및 도 9b에는 도 7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의 결합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환기덕트(30)에 대하여 외력을 작용하면, 상기 환기덕트(30)는 가이드 리브(114)의 안내경사면(11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리브(114)의 안내경사면(114a)의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하는 환기덕트(3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 안착되어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환기덕트(30)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처지거나 휘어지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덕트 내부의 공 기가 누설되는 현상은 발생하기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러버(200)가 환기덕트 연결구(C, C', C'')의 양 쪽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러버(200)가 환기덕트 연결구의 어느 한 쪽에만 결합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구(C, C', C'')가 사각 형상의 사각 덕트를 예를 들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덕트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도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기덕트(30)가 러버(200)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 라운드 형상의 고정 돌기테(201)와 경사 단차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테가 역방향의 톱니 모양 형상(201')으로 구성되는 것도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100)는 상기 가이드리브(114)가 멈춤 돌기테(110)에 좌우 대칭이 아닌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12a 참조), 엘보우형(도 12b), 티이(T)형(도 12c 참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는 환기 및 배기를 위한 환기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급수와 배수를 위한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도 본원발명에 의한 환기덕트 연결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체결 과정을 가지는 본 발명인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가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를 삽입 끼우는 구성에 의해서, 환기덕트(30)와 환기덕트 연결구(C, C', C'')의 결합시 발생하는 덕트 내부의 공기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환기덕트(30)가 가이드 리브(1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멈춤 돌기테'(110)와 덕트끼움루프(112)가 이루는 공간에 삽입 안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환기덕트(30)를 간단하고도 손쉽게 환기덕트 연결구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러버(200)의 구성에 의해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환기덕트(30)와 환기덕트 연결구(C', C'', C''')를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러버(200)의 재질을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함으로써, 낮은 코스트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하여 제품 코스트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환기덕트(3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테'(110); 및,
    상기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수직 단차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삽입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환기덕트(30) 내부의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덕트끼움루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억지 끼워지는 러버(rubber)(2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러버(200)의 재질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덕트끼움루프(112)에는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1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덕트끼움루프(112)에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덕트끼움루프(112)가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114a)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리브(11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러버(200)가 억지 끼워지도록 끼움부(120)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120)의 전단에는 복수의 끼움돌기(120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200)에는 상기 러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끼움돌기(120a)와 끼움 체결되는 복수의 끼움공(200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결합된 상기 환기덕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테'(201)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결합된 상기 환기덕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 단차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9. 환기덕트(3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주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테'(110); 및,
    상기 '멈춤 돌기테'(110)에 일체로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공간에 상기 환기덕트(30)가 원활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경사면(114a)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리브(1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억지 끼워져 있는 러버(rubber)(1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러버(200)의 재질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러버(200)가 억지 끼워지도록 끼움부(120)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120)의 전단에는 복수의 끼움돌기(120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200)에는 상기 러버(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끼움돌기(120a)와 끼움 체결되는 복수의 끼움공(20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결합된 상기 환기덕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테'(201)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200)의 내주면에는 결합된 상기 환기덕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 단차부'(202)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KR1020060013837A 2006-02-13 2006-02-13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KR10059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837A KR100591538B1 (ko) 2006-02-13 2006-02-13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837A KR100591538B1 (ko) 2006-02-13 2006-02-13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919A KR20060018919A (ko) 2006-03-02
KR100591538B1 true KR100591538B1 (ko) 2006-06-20

Family

ID=3712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837A KR100591538B1 (ko) 2006-02-13 2006-02-13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614B1 (ko) * 2011-07-12 2013-11-25 (주) 에이텍 덕트 연결부재용 패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96B1 (ko) * 2007-11-06 2009-11-09 이기동 환기덕트 공기분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614B1 (ko) * 2011-07-12 2013-11-25 (주) 에이텍 덕트 연결부재용 패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919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948B2 (en) Corded earplugs
CN108138490A (zh) 壁装式接收器
KR100591538B1 (ko)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KR100556213B1 (ko) 환기덕트 연결구 및 연결구조
KR100877141B1 (ko) 합성수지제 환기용 덕트 연결관
US20060253971A1 (en) Double seal gasket
CA2720708C (en) Pipe coupling for a vacuum pipe line
KR101229584B1 (ko) 호스클램프
CN210946820U (zh) 一种新型高压灌浆针头
JP2009264461A (ja) ドレンホース接続具
JP5810420B2 (ja) コルゲート状ドレインホース接続具、及び排水処理構造
KR200451839Y1 (ko)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JP2009243036A (ja) 排水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可撓管部材
JP3209873U (ja) 空調用密閉ドレン管及びスナッパー
RU2458622C2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вакуу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и 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EP2233850B1 (en) Coupling system comprising a ribbed hose, packing and channel piece
KR100954269B1 (ko) 덕트용 체결밴드
KR200485549Y1 (ko)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JP6739239B2 (ja) ドレイン排水溝部材、及びドレイン排水溝部材を施工する方法
JP2018155084A (ja) 洗濯機用排水配管
KR101904311B1 (ko)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JP5308697B2 (ja) 管体のキャップ体
KR20090078569A (ko) 덕트 연결구
KR20100132145A (ko) 농업용 호스의 꺽임 방지용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