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121B1 - 가스배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가스배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121B1
KR101027121B1 KR1020100101806A KR20100101806A KR101027121B1 KR 101027121 B1 KR101027121 B1 KR 101027121B1 KR 1020100101806 A KR1020100101806 A KR 1020100101806A KR 20100101806 A KR20100101806 A KR 20100101806A KR 101027121 B1 KR101027121 B1 KR 10102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protruding
cap
bas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식
Original Assignee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중앙부에 가스배관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삽입부가 형성되면서 서로 끼움결합되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하여 설치시공이 편리하며, 해체가 용이한 가스배관 고정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는 가스배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하부안착부가 형성되면서 하부면상에는 실리콘이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벽면이나 바닥면상에 고정시키도록 도포부가 형성되는 받침부와, 가스배관의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하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상부안착부가 형성되어 받침부에 끼움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받침부의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는 돌출볼이 형성되고, 캡부의 하부면상에는 돌출볼이 끼워지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캡부를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홈의 전방에는 돌출볼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걸림홈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캡부의 최초 끼움을 용이하게 하면서 끼움이 완료될때에 딸깍 소리가 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의 상부면상 타측에는 돌출볼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도록 돌출핀이 형성되고, 캡부의 하부면상에는 돌출핀에 대응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캡부가 결합된 후에 받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해준다.

Description

가스배관 고정구{Fixing device for gas pipe}
본 발명은 가스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시공이 용이하고, 원터치방식으로 작동되는 가스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고정구는 옵셋 클램프(offset clamp)로도 불리며,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배관설비들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0)을 고정하기 위해 벽면에 고정되는 브래킷(10)을 갖는다. 브래킷(10)은 장착부(12)와, 장착부(12)의 양단부에서 벽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와, 연장부(14)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벽면과 평행을 이루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지지부(16)에는 고정구(16a)가 형성되며, 벽면에 볼트(18)로서 체결된다.
그리고 브래킷(10)의 장착부(12)에는 배관(30)을 고정하기 위한 U볼트(20)가 삽입되는 체결공(13)이 형성되며, U볼트(20)의 삽입후, 장착부(12)의 후면에서 U볼트(20)의 양단부에 너트(25)를 결합하여 배관(30)을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U볼트(20)는 배관(30)의 외경에 따라 그 굴곡된 곡률의 크기가 달라지며, 이를 위해 체결공(13)은 다양한 크기의 U볼트(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관 고정구는 배관의 주변에 볼트에 의해 브래킷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의 어려움 및 배관의 파손위험이 뒤따르게 되고, 이 브래킷이 설치된 후에도 다시 U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각종 볼팅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이 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앙부에 가스배관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삽입부가 형성되면서 서로 끼움결합되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하여 설치시공이 편리하며, 해체가 용이한 가스배관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스배관을 벽면이나 바닥면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가스배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하부안착부가 형성되면서 하부면상에는 실리콘이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벽면이나 바닥면상에 고정시키도록 도포부가 형성되는 받침부와, 가스배관의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하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상부안착부가 형성되어 받침부에 끼움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때, 하부안착부의 양측에는 상측 및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쐐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안착부의 양측에는 돌출쐐기가 끼움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쐐기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의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는 돌출볼이 형성되고, 캡부의 하부면상에는 돌출볼이 끼워지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캡부를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홈의 전방에는 돌출볼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걸림홈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캡부의 최초 끼움을 용이하게 하면서 끼움이 완료될때에 딸깍 소리가 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의 상부면상 타측에는 돌출볼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도록 돌출핀이 형성되고, 캡부의 하부면상에는 돌출핀에 대응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캡부가 결합된 후에 받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해준다.
그리고 도포부의 양측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에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받침부를 더욱 튼튼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는 반드시 못이나 체결도구가 필요치 않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받침부의 하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캡부의 하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돌출볼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돌출핀 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고정구(100)는 가스배관(P)을 감싸는 받침부(110)와, 캡부(120)와,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면상 중앙부에는 가스배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관통되는 오목한 하부안착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안착부(111)에는 받침부(110)의 상부면위로 그리고 하부안착부(111)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돌출쐐기(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부(110)의 하부면상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수단에 의해 받침부(110)가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되도록 도포부(113)가 형성되며, 이 도포부(113)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공(114)이 형성된다. 체결공(114)은 받침부(110)가 실리콘이나 양면테이프에 의해서만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지만,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해 더욱 튼튼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도 있는 구성이다.
캡부(120)는 받침부(110)의 상부면상에 결합되어 가스배관(P)을 감싸는 것으로, 받침부(11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하부면상 중앙부에는 가스배관의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관통되는 오목한 상부안착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안착부(121)의 양측에는 받침부(110)에 형성된 돌출쐐기(112)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쐐기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부(110)의 하부안착부(111)위에 가스배관(P)이 안착된 후에 캡부(120)의 쐐기홈(122)이 돌출쐐기(112)를 따라 일측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어 가스배관(P)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록킹수단은 캡부(120)가 받침부(110)에 결합된 후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단으로, 봉인이나 잠금장치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록킹수단은 받침부(110)의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 돌출볼(115)이 형성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부(120)의 하부면상에 상기 돌출볼(115)에 대응되게 걸림홈(125)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25)의 전방에는 돌출볼(115)에 의해 캡부(120)의 끼움이 어렵지 않게 하면서 돌출볼(115)을 걸림홈(125)까지 안내하는 가이드홈(126)이 길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홈(126)은 걸림홈(125)까지 연장되지 않고 그에 인접한 전방에서 종착되도록 하여 돌출볼(115)이 가이드홈(126)을 따라 이동되다가 걸림홈(125)으로 넘어갈때에 딸깍 소리가 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록킹수단은 캡부(120)가 일방향으로 끼움결합된 후에, 더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기능이 추가된다. 이러한 스토퍼기능은 받침부(110)의 상부면상에 돌출볼(115)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핀(117)을 형성하고, 캡부(120)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돌출핀(117)에 대응되는 곳에 스토퍼홈(127)을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부(120)의 끼움결합이 완료되면, 돌출핀(117)이 스토퍼홈(127)의 안쪽에 구속되어지므로 더 이상 캡부(120)가 전진할 수 없고, 캡부(120)를 해체하려면 처음의 결합방향으로 후퇴하여서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부(110) 및 캡부(120)는 돌출볼(115) 및 돌출핀(117)과 함께 합성수지재로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가스배관 고정구
110 : 받침부 111 : 하부안착부
112 : 돌출쐐기 113 : 도포부
114 : 체결공 115 : 돌출볼
117 : 돌출핀 120 : 캡부
121 : 상부안착부 122 : 쐐기홈
125 : 걸림홈 126 : 가이드홈
127 : 스토퍼홈 (P) : 가스배관

Claims (6)

  1. 가스배관(P)을 벽면이나 바닥면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하부안착부(111)가 형성되면서 하부면상에는 실리콘이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상기 벽면이나 바닥면상에 고정시키도록 도포부(113)가 형성되는 받침부(110)와, 상기 가스배관의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하부면상에 반원 형태의 상부안착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10)에 끼움결합되는 캡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안착부(111)의 양측에는 상측 및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쐐기(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안착부(121)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쐐기(112)가 끼움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쐐기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는 돌출볼(115)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120)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돌출볼(115)이 끼워지도록 걸림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5)의 전방에는 상기 돌출볼(115)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26)이 상기 걸림홈(125)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면상 타측에는 상기 돌출볼(115)과 대각선으로 마주보도록 돌출핀(117)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120)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돌출핀(117)에 대응되는 스토퍼홈(1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고정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113)의 양측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공(1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고정구.
KR1020100101806A 2010-10-19 2010-10-19 가스배관 고정구 KR10102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06A KR101027121B1 (ko) 2010-10-19 2010-10-19 가스배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06A KR101027121B1 (ko) 2010-10-19 2010-10-19 가스배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121B1 true KR101027121B1 (ko) 2011-04-05

Family

ID=4404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806A KR101027121B1 (ko) 2010-10-19 2010-10-19 가스배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40B1 (ko) * 2012-12-03 2014-01-07 유명애 관 서포터 장치
KR20180119185A (ko) 2017-04-24 2018-11-02 이태하 배관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62A (ja) 1997-07-04 1999-01-26 Mirai Ind Co Ltd 管・ケーブル類の支持具、及びその支持装置
KR200365612Y1 (ko) * 2004-07-30 2004-10-22 서일봉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의 구조
KR200410064Y1 (ko) 2005-12-05 2006-03-03 이재윤 배관 고정구
KR200434894Y1 (ko) 2006-09-29 2006-12-28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가스호스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62A (ja) 1997-07-04 1999-01-26 Mirai Ind Co Ltd 管・ケーブル類の支持具、及びその支持装置
KR200365612Y1 (ko) * 2004-07-30 2004-10-22 서일봉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의 구조
KR200410064Y1 (ko) 2005-12-05 2006-03-03 이재윤 배관 고정구
KR200434894Y1 (ko) 2006-09-29 2006-12-28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가스호스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40B1 (ko) * 2012-12-03 2014-01-07 유명애 관 서포터 장치
KR20180119185A (ko) 2017-04-24 2018-11-02 이태하 배관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7943B2 (en) Pipe connector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US20070040074A1 (en) J-hook hanger assembly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CN111279087B (zh) 紧固单元
KR200454530Y1 (ko) 클램프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200420086Y1 (ko) 셋트 앵커볼트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130000795U (ko) 파이프 배관 고정구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0758182B1 (ko) 파이프 행거 클램프
JP5893718B1 (ja) 配線支持金具
JP4940459B2 (ja) ケーブル受金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器具
KR20140006477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AU2008243230A1 (en) Cover with Clip Structure
KR102003690B1 (ko) 원터치 직관용 금속 단열커버
KR20090016083A (ko) 밴드 가압형 입상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