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064Y1 - 배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064Y1
KR200410064Y1 KR2020050034270U KR20050034270U KR200410064Y1 KR 200410064 Y1 KR200410064 Y1 KR 200410064Y1 KR 2020050034270 U KR2020050034270 U KR 2020050034270U KR 20050034270 U KR20050034270 U KR 20050034270U KR 200410064 Y1 KR200410064 Y1 KR 200410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pipe
fitting groove
fixtur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2020050034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중앙 영역에 반원형의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끼움홈과 일치되는 반원형의 상부끼움홈이 형성되어 배관이 고정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 내부 중앙 영역에는 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부와 일치되게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하부끼움홈과 연통되게 단차결합공이 형성되어 앙카로써 천정에 상기 하부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관 고정구에 의하면, 적정 높이로 제작되는 하부몸체를 앙카로써 천정 등의 설치 부위에 직접 고정 설치하고, 이에 배관을 밀착시키고,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체결볼트로써 고정시켜 배관을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한 사람의 작업자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천정, 배관, 고정구

Description

배관 고정구{pipe fixing clam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몸체 12 : 하부끼움홈
14 : 단차홈 20 : 보강리브
22 : 단차결합공 30 : 앙카
40 : 수직리브 42 : 수직나사공
50 : 상부몸체 54 : 끼움돌부
60 : 체결볼트
본 고안은 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줄여 천정 등의 설치위치에 배관의 고정작업이 간편하도록 구성한 배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단독주택 등의 각 가정집으로 보급되는 도시가스는 금속재질의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데, 이러한 가스 배관은 건물 외벽이나 실,내외벽 및 천정 등에 배관 고정구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배관 고정구는 부식이 방지되고, 절연성이 우수하도록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관 고정구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제0121822호(고안의 명칭:도시개스용 배관고정구의 높이조절장치)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배관 고정구를 사용하여 가스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의 브라켓을 고정한 다음, 이 브라켓에 하부몸체, 상부몸체 및 보강판의 순으로 조립하게 됨으로써 조립에 따른 공정수가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특히 배관 고정구를 천정이나 높은 벽면 등에 조립 설치시에는 한 사람의 작업자로써 많은 부품을 조립하게 되어 작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부품수를 줄여 천정 등의 설치 위치에 배관에 대한 고정작업이 용이하도록 조립유지되는 배관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 중앙 영역에 반원형의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끼움홈과 일치되는 반원형의 상부끼움홈이 형성되어 배관이 고정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 내부 중앙 영역에는 단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 부와 일치되게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하부끼움홈과 연통되게 단차결합공이 형성되어 앙카로써 설치 위치에 상기 하부몸체를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끼움홈 양측에는 단차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 양측에는 상기 단차홈과 연통되게 수직나사공이 각각 형성된 수직리브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는 상기 단차홈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끼움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에는 상기 수직리브의 수직나사공과 연통되게 끼움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로써 상기 하부몸체에 체결됨으로써 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구는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40)로 이루어져 벽면 및 천정 등의 설치 위치에 도시가스 배관(1)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10)는 적정 두께와 높이를 유지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부 중앙 영역에는 반원형의 하부끼움홈(12)이 형성되며, 하부끼움홈(12)의 양측에는 단차홈(14)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하부몸체(10) 내부 중앙 영역에는 단부가 하부몸체(10)의 하단부를 벗어나지 않은 영역에서 보강리브(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강리브(20)에는 하부끼움홈(12)과 연통되게 단차결합공(22)이 형성되며, 이 단차결합공(22)을 통하여 앙카(30)가 체결되어 하부몸체(10)가 벽면 및 천정 등의 설치 위치에 적정 높이로 고정된다.
상기 앙카(30)는 설치 위치에 박히게 되는 외부고정부(32)와; 외부고정부(32)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고정볼트(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강리브(20) 양측에는 단차홈(14)과 연통되게 수직나사공(42)이 각각 형성된 수직리브(4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50)는 하부몸체(10)의 하부끼움홈(12)과 일치되어 원형이 이루어져 도시가스 배관(1)이 삽입되어 지는 반원형의 상부끼움홈(52)이 형성되고, 하부몸체(10)의 단차공(14)에 각각 밀착되게 끼워지는 끼움돌부(54)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끼움돌부(54)에는 수직리브(40)의 수직나사공(42)과 연통되게 끼움공(56)이 형성되어 체결볼트(60)가 체결되고, 끼움공(56)의 상부 외주연에는 체결볼트(60)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57)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되어 도시가스 배관(1)을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구는 하부몸체(10)의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함으로써 도시가스 배관(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관 고정구로써 배관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설 명하면, 도시가스 배관(1)이 지나가는 위치인 비교적 높은 벽면 및 천정 등의 설치 위치에 미리 드릴 등의 공구로써 구멍을 뚫은 다음, 적정 높이로 다양하게 제작된 하부몸체(10)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 위치에 일치시킨 후, 하부몸체(10)의 내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 보리브(20)의 단차결합공(22)을 통하고, 외부고정부(32)와 내부고정볼트(34)로 이루어진 앙카(30)를 구멍에 박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앙카볼트(30)의 체결력으로써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하부몸체(10)가 설치 위치의 적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몸체(10)의 하부끼움홈(12) 내부에 도시가스 배관(1)을 밀착시킨 다음, 하부몸체(10)의 단차홈(14)에 상부몸체(50)의 끼움돌부(54)를 삽입시키면, 하부몸체(10)의 단차홈(14)에 상부몸체(50)의 끼움돌부(54)가 밀착되게 삽입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도시가스 배관(1)의 외주연에 상부몸체(50)의 상부끼움홈(52)이 밀착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몸체(50)의 끼움공(56)을 통하여 체결볼트(60)를 끼운 다음, 수직리브(40)의 수직나사공(42)에 체결하게 되면, 체결볼트(60)의 머리부가 상부몸체(50)의 안착홈(57)에 밀착되어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50)가 체결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되어 도시 가스배관(1)을 고정시키는 배관 고정구는 하부몸체(10)의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함으로써 도시 가스 배관(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관 고정구에 의하면, 적정 높이로 제작되는 하부몸체를 앙카의 체결력으로써 비교적 높은 벽면 및 천정 등의 설치 부위에 직접 고정 설치하고, 이에 도시가스 배관을 밀착시킨 다음,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체결볼트로써 고정시켜 도시 가스배관을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한 사람의 작업자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배관 고정구는 도시가스 배관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LPG가스관, 수도배관, 에어배관 및 기름배관 등 다양한 배관 종류의 체결에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상부 중앙 영역에 반원형의 하부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끼움홈과 일치되는 반원형의 상부끼움홈이 형성되어 배관이 고정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배관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 내부 중앙 영역에는 단부가 상기 하부몸체(10)의 하단부와 일치되게 보강리브(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20)에는 상기 하부끼움홈(12)과 연통되게 단차결합공(22)이 형성되어 앙카(30)로써 설치부위에 상기 하부몸체(1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끼움홈(12) 양측에는 단차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20) 양측에는 상기 단차홈(14)과 통하게 수직나사공(32)이 각각 형성된 수직리브(4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50) 하부에는 상기 단차홈(14)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끼움돌부(5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54)에는 상기 수직리브(40)의 수직나사공(42)과 연통되게 끼움공(56)이 형성되어 체결볼트(60)로써 상기 하부몸체(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는 자체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상기 배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구.
KR2020050034270U 2005-12-05 2005-12-05 배관 고정구 KR200410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70U KR200410064Y1 (ko) 2005-12-05 2005-12-05 배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70U KR200410064Y1 (ko) 2005-12-05 2005-12-05 배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064Y1 true KR200410064Y1 (ko) 2006-03-03

Family

ID=4176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270U KR200410064Y1 (ko) 2005-12-05 2005-12-05 배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0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21B1 (ko) 2010-10-19 2011-04-05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배관 고정구
US8386818B2 (en) 2009-04-27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current detector
KR20220117989A (ko) * 2021-02-18 2022-08-25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노즐홀더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분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6818B2 (en) 2009-04-27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current detector
KR101027121B1 (ko) 2010-10-19 2011-04-05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가스배관 고정구
KR20220117989A (ko) * 2021-02-18 2022-08-25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노즐홀더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102545736B1 (ko) * 2021-02-18 2023-06-20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노즐홀더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6359A1 (en) Faucet Mounting Sleeve
KR101888752B1 (ko) 파이프 고정구
US10914404B2 (en) Stub-out configuration for plumbing assembly
KR100900729B1 (ko) 천장배관용 파이프 행거
AU20193071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st-in anchor for a metal deck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100891152B1 (ko) 파이프 굵기를 조절가능한 전선배관용 파이프걸이크램프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101041925B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JP2010025305A (ja) 配管の支持具
JP2011137490A (ja) 通水管継手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0750344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
KR200379184Y1 (ko) 배관용 이음관
KR200438916Y1 (ko) 외부가스관 방범덮개의 고정장치
CN220556082U (zh) 一种排污管固定装置
KR20130000795U (ko) 파이프 배관 고정구
KR200296090Y1 (ko)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JP4617291B2 (ja) 貫通孔閉塞治具
KR20110045730A (ko) 배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