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730A - 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730A
KR20110045730A KR1020090102419A KR20090102419A KR20110045730A KR 20110045730 A KR20110045730 A KR 20110045730A KR 1020090102419 A KR1020090102419 A KR 1020090102419A KR 20090102419 A KR20090102419 A KR 20090102419A KR 20110045730 A KR20110045730 A KR 2011004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ixing
pipe
piece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349B1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102009010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3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상부 사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상부면으로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각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연장되는 삽입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삽입편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각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 삽입편, 가이드편, 리브, 장홀, 지주, 연결편, 파스너

Description

배관 고정장치{THE PIP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배관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와, 각 고정부재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안착부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여 삽입된 배관을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며, 또한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부재와 고정부재,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고정 장치는 오프셋클램프(offset clamp)로도 불리며,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배관 설비들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이 설치되는 벽면은 건축물의 측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배관이 고정되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함을 미리 밝혀둔다.
종래의 배관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다관용클램프' 출원번호:20-1997-0025285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 출원번호: 20-1998-0004199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다관용클램프'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는 배관을 동시에 고정할 뿐, 선택적으로 증축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뒤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항시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관의 개수에 따라 증축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출원번호: 20-2007-0011908와, '배관 고정장치' 출원번호: 20-2007-0020882가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다만 인접한 배관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구조로 지면에 배관을 지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 고정장치'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위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할 때 배관을 손으로 잡고, 브라켓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배관이 삽입되는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결합부재와 고정부재,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있으며, 또한 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상부 사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상부면으로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각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2발명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연장되는 삽입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삽입편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각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배관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 또는 제 3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연장부재는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삽입편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 또는 제 5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와 강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2발명 또는 제 5발명에서, 상기 연장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는 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와 강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8발명에서, 상기 연장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는 상호 이탈방지를 위해 삽입편의 일측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한쌍의 가이드편 내부 일측 상부로는 상기 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 또는 제 5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서, 상기 각 고정편은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와, 상기 각 고정편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파스너에 삽입되는 파스너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이 삽입되는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재와 고정부재,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봐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설비 배관들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관 고정장치(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배관(P)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한쌍의 지주(11)와, 상기 각 지주(11)의 상부 사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상부면으로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12)와, 상기 각 지주(11)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11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2)의 양측에는 상향으로 연장된 리브(121)를 더 형성하여 안착부(12)에 안착된 배관(P)이 이탈됨이 없이 가(假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11)에는 장공(H)이 형성되고, 장공(H)을 통해 지면에 고정부재(10)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장공(H)로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고정부재(10)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결합부재(2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21)와, 상기 안착테(21)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편(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20)는 안착부(12)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0)와 나사(60)를 통해 강제 체결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재(20)의 각 연결편(22)에는 제 1관통구(h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각 지주(11) 상부에는 상기 제 1관통구(h1)와 상통되는 제 2관통구(h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0)와 결합부재(20)의 결합은 상통되는 제 1관통구(h1) 및 제 2관통구(h2)에 나사(60)를 강제 체결하여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나 사(60)는 제 1관통구(h1)와 제 2관통구(h2)에 강제로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체결되는 구조로 별도의 너트가 필요치 않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고정편(111)의 장공(H)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71)와, 상기 각 고정편(111)에 형성된 장공(H)을 관통하여 파스너(71)에 삽입되는 파스너핀(7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파스너핀(72)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721)를 망치와 같은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핀부(722)가 파스너(7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보사 쉽게 보다 신속하게 고정부재(1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파스너핀(72)을 지주(11)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 보다는, 상기 고정편(111)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72)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72)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8는 도 7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배관 고정장치(100)는 제 1고정부재(30)와, 제 2고정부재(40)와, 상기 각 고정부재(30,4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고정부재(30)는 지주(31)와, 상기 지주(31)의 상부 일측면에 형 성되어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32)와, 상기 안착부(32)의 일측면에 연장되는 삽입편(33)과, 상기 지주(31)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3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40)는 지주(41)와, 상기 지주(4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42)와, 상기 안착부(42)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43)과, 상기 지주(41)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4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0)는 상기 각 안착부(32,42)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30,4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아치형상의 안착테(21)와, 상기 안착테(21)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고정부재(30)와 제 2고정부재(40)의 가 결합은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과,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의 결합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의 일측 상부에는 돌기(331)가 형성되고, 제 2고정부재(40)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편(43) 중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편의 내부 일측 상부로는 삽입편(33)의 돌기(331)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사삽입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제 1고정부재(30)와 제 2고정부재(40)의 가 결합은 돌기(331)의 간섭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지 않고, 면(面)상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아울러 결합부재(20)는 각각의 안착부(32,42)에 안착된 각 배관(P)을 고정하 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2고정부재(30,40)의 각 지주(31,41)와, 상기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과,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을 나사(60)를 통해 강제 통합 체결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결합부재(20)의 각 연결편(21)에는 제 1관통구(h1)가 형성되고, 상기 1,2고정부재(30,40)의 각 지주(31,41) 상부와,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 및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에는 상기 제 1관통구(h1)와 상통되는 제 2관통구(h2)가 각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 1고정부재(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는 타측에 형성된 연결편(22)이 제 1고정부재(30)의 지주(31)와 나사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연결편(22)은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과 상기 삽입편(33)을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편(43)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4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는 일측에 형성된 연결편(22)이 제 2고정부재(40)의 지주(41)와 나사결합되고, 타측의 연결편(22)은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과 상기 삽입편(33)과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편(43)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20)의 각 연결편(22)에는 제 1관통구(h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2고정부재(30,40)의 각 지주(31,41) 및 가이드편(43)과 삽입편(33)의 상부에는 상기 제 1관통구(h1)와 상통되는 제 2관통구(h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각 고정부재(30,40)의 고정편(311,411)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음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결합순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고정부재(30)와 제 2고정부재(40)를 가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1고정부재(30) 및 제 2고정부재(40)의 각 고정편(311,411)을 통해 지면에 결합되는 지점을 미리 정한다.
그리고 각 고정편(311,411)이 결합되는 지면에 드릴과 같은 도구로 홀을 천공시킨다.
그리고 홀의 내부에 파스너(71)를 삽입한다.
그리고 각 파스너(71)가 삽입된 지점에 제 1고정부재(30) 및 제 2고정부재(40)를 배치시키고, 각 고정편(311,411)에 형성된 장공(H)에 파스너핀(72)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망치와 같은 도구로 헤드부(721)를 타격하여 파스너핀(72)의 핀부(722)가 파스너(71)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 1고정부재(30) 및 제 2고정부재(4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배관(P)을 상기 제 1고정부재(30)의 안착부(32)와, 제 2고정부재(40)의 안착부(42)에 각각 안착시켜 가(假) 결합시킨다. 이는 각각의 안착부(32,42)에 리브(321,421)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 배관(P)이 이탈되지 않고 가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결합부재(20)의 안착테(21)가 각각의 안착부(32,42)에 안착된 배관(P)을 감싸게 하여 제 1고정부재(30) 및 제 2고정부재(40)의 상부에 나사(60)를 통해 강제 체결하여 완성한다.
[제 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제 2실시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 1고정부재(30) 및 제 2고정부재(40)의 사이에 연장부재(50)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제 1고정부재(30)와 제 2고정부재(40)의 사이에는 배관(P)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50)와, 상기 연장부재(5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50)는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에 삽입되는 삽입편(52)과, 상기 안착부(51)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53)으로 구성된다.
이는 배관(P)이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경우, 제 1고정부 재(30)와 제 2고정부재(40)의 사이에 연장부재(50)를 증축(增築)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50)의 안착부(51) 역시 리브(5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53)에는 삽입홈(5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52)에는 돌기(521)가 형성되어 제 1고정부재(30)의 삽입편(33)과 제 2고정부재(40)의 가이드편(43)의 사이에서 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
도 8는 도 7에 따른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부재 11: 지주 111: 고정편
12: 안착부 121: 리브
20: 결합부재 21: 안착테 22: 연결편
30: 제 1고정부재 31: 지주 311: 고정편
32: 안착부 321: 리브
33: 삽입편 331: 돌기
40: 제 2고정부재 41: 지주 411: 고정편
42: 안착부 421: 리브
43: 가이드편 431: 삽입홈
50: 연장부재 51: 안착부 511: 리브
52: 삽입편 521: 돌기
53: 가이드편 531: 삽입홈
60: 나사
71: 파스너 72: 파스너핀 721: 헤드부
722: 핀부
H: 장공 h1: 제 1관통구 h2: 제 2관통구
100: 배관 고정장치

Claims (10)

  1. 한쌍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상부 사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상부면으로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각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2.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연장되는 삽입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삽입편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과, 상기 지주의 하부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 연결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각 안착부에 안착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배관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삽입편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와 강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8.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는 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와 강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는 상호 이탈방지를 위해 삽입편의 일측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한쌍의 가이드편 내부 일측 상부로는 상기 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0.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편은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와, 상기 각 고정편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인파스너에 삽입되는 파스너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KR1020090102419A 2009-10-27 2009-10-27 배관 고정장치 KR10112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19A KR101122349B1 (ko) 2009-10-27 2009-10-27 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19A KR101122349B1 (ko) 2009-10-27 2009-10-27 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30A true KR20110045730A (ko) 2011-05-04
KR101122349B1 KR101122349B1 (ko) 2012-03-23

Family

ID=4424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19A KR101122349B1 (ko) 2009-10-27 2009-10-27 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4866A (zh) * 2019-04-17 2019-07-30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用于穿格栅板管线的组合式可调节护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124B1 (ko) 2014-12-03 2016-09-26 이영호 덕트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925Y1 (ko) * 1984-03-15 1985-12-09 주식회사세계산업 배관용 협지 고정구
KR200349416Y1 (ko) * 2004-01-26 2004-05-04 김점식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JP4974449B2 (ja) 2004-07-28 2012-07-11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管材固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4866A (zh) * 2019-04-17 2019-07-30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用于穿格栅板管线的组合式可调节护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349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563Y1 (ko) 입상배관 고정용 일체형 고정틀
US7735511B1 (en) Modular laundry box assembly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70064065A (ko) 건축물의 층간 방음구조체를 이용한 난방용 배관 설치구조
KR200424652Y1 (ko) 티볼트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456938Y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90036835A (ko) 셋트 앵커볼트
KR100647219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US10301784B2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KR10086599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CN205605576U (zh) 一种空心砖墙体固定物体专用配件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0886209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안전 브라켓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JP2006193996A (ja) 柱の固定構造
JP2008236963A (ja) 電線架設部材の取付具
KR200349935Y1 (ko) 스틸-폼
JP3186347U (ja) 床スリーブ
KR20130000795U (ko) 파이프 배관 고정구
JP4629253B2 (ja) 支柱設置構造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