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501B1 - 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501B1
KR101186501B1 KR1020100044634A KR20100044634A KR101186501B1 KR 101186501 B1 KR101186501 B1 KR 101186501B1 KR 1020100044634 A KR1020100044634 A KR 1020100044634A KR 20100044634 A KR20100044634 A KR 20100044634A KR 101186501 B1 KR101186501 B1 KR 10118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iece
pipe
fixing
inse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086A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102010004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5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제 1외팔지주(11)와,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배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안착부(12)와, 상기 제 1안착부(12)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는 제 1삽입편(13)과,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하부 타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1고정편(111)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10);와, 제 2외팔지주(21)와,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안착부(22)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안착부(22)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1가이드편(23) 및 제 2가이드편(24)과,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하부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2고정편(211)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20); 및 상기 각 안착부(11,21)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10,2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고정장치{THE PIP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규격화된 블록 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각 안착부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여 삽입된 배관을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체결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각 외팔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배관의 간격에 상응하여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매우 편리한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고정 장치는 오프셋클램프(offset clamp)로도 불리며,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배관 설비들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이 설치되는 벽면은 건축물의 측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배관이 고정되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함을 미리 밝혀둔다.
종래의 배관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다관용클램프' 출원번호:20-1997-0025285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 출원번호: 20-1998-0004199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다관용클램프'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는 배관을 동시에 고정할 뿐, 선택적으로 증축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뒤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항시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관의 개수에 따라 증축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출원번호: 20-2007-0011908와, '배관 고정장치' 출원번호: 20-2007-0020882가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다만 인접한 배관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구조로 지면에 배관을 지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 고정장치'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위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할 때 배관을 손으로 잡고, 브라켓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배관이 삽입되는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외팔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목적은, 배관의 간격에 상응하여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매우 편리한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외팔지주(11)와,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배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안착부(12)와, 상기 제 1안착부(12)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는 제 1삽입편(13)과,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하부 타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1고정편(111)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10);
제 2외팔지주(21)와,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안착부(22)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안착부(22)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1가이드편(23) 및 제 2가이드편(24)과,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하부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2고정편(211)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20); 및
상기 각 안착부(12,22)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10,2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 하부 벽면에는 제 2가이드편(24)의 선단부와 갭(G)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단턱(133)이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4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41)와, 상기 안착테(41)의 양측에 연장되어 제 1관통구(h1)가 형성된 연결편(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131)를 두고 수평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의 선단부는 상기 제 1삽입편(13)의 단차(131)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131)를 중심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장홀(H)과, 상기 장홀(H)을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2)과, 상기 가이드레일(13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 6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제 1가이드편(23)은 상기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1)와, 상기 돌출부(231)의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된 제 1삽입편(13)의 위치고수를 위해 상기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걸쳐지는 제 1걸림턱(232)과, 상기 돌출부(231)의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된 제 1삽입편(13)의 위치가 장홀(H)의 길이만큼 가변되도록 제 1삽입편(13)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걸쳐지는 제 2걸림턱(2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고정편(111,211)은 장홀(H) 및 상기 장홀(H)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51)와, 상기 각 고정편(111,211)에 형성된 장홀(H)을 관통하여 파스너(51)에 삽입되는 파스너핀(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는 결합부재(40)의 연결편(42)에 형성된 제 1관통구(h1)와 체결되는 제 2관통구(h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관통구(h2)는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안착부(12) 타측 상부면과, 제 1삽입편(13)의 단차 상부면 및 제 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제 2안착부(22)의 일측 상부면과, 제 1가이드편(2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제 2가이드편(24)에는 장홀(H) 및 제 3관통구(h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홀(H)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와 상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관통구(h3)는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과 상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9발명에서, 상기 제 2가이드편(24)에 형성된 장홀(H) 및 제 3관통구(h3)는 나사결합시 강제로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나사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는 배관(P)을 증축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30)와, 상기 연장부재(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발명은, 제 11발명에서, 상기 연장부재(30)는, 제 3외팔지주(35)와,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외팔지주(35)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3안착부(31)와, 상기 제 3안착부(31)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32)과,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안착부(31)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3가이드편(33) 및 제 4가이드편(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12발명에서, 상기 각 안착부(12,22,31)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이 삽입되는 각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재와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나사의 강제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나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너트 필요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외팔지주의 외측면에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어, 파스너핀을 지주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보다는, 상기 고정편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의 간격에 상응하여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간격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간격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설비 배관들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관 고정장치(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배관(P)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10,2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제 1외팔지주(11)와,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안착부(12)와, 상기 제 1안착부(12)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는 제 1삽입편(13)과,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하부 타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1고정편(1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는 제 2외팔지주(21)와,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안착부(22)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안착부(22)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1가이드편(23) 및 제 2가이드편(24)과,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하부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2고정편(21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는 상기 각 안착부(12,22)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10,2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아치형상의 안착테(41)와, 상기 안착테(41)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편(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안착부(12,22)는 상향으로 연장된 리브(R)를 더 형성하여 상기 각 안착부(12,22)에 안착된 배관(P)이 이탈됨이 없이 가(假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편(111,211)에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홀(H)이 형성되고, 장홀(H)을 통해 지면에 제 1,2고정부재(10,20)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장홀(H)로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제 1,2고정부재(10,20)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각 고정편(111,211)의 장홀(H)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51)와, 상기 각 고정편(111,211)에 형성된 장홀(H)을 관통하여 파스너(51)에 삽입되는 파스너핀(5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파스너핀(52)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521)를 망치와 같은 타격수단으로 타격하여 핀부(522)가 파스너(5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보사 쉽게 보다 신속하게 각 고정부재(10,20)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파스너핀(52)을 각 외팔지주(11,21)에 관통시켜 지면에 체결하는 것 보다는, 상기 각 고정편(111,211)에 직접적으로 파스너핀(52)을 결합하기 때문에 파스너핀(52)의 길이가 짧아져 시공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는 제 1삽입편(13)이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를 두고 수평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은 상기 제 1삽입편(13)의 단차에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결합은, 제 1가이드편(23)이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단차에 맞닿도록 결합되고, 제 2가이드편(24)은 제 1삽입편(13)의 하부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아울러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는 상호 체결되기에 앞서 임시로 가 결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133)를 두고 하부에 수평연장되는 부위에 가이드레일(132)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의 저면에는 상기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안내되는 돌출부(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상호 삽입되어 임시로 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는 임시로 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2)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32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 저면 일측에는 제 1걸림턱(23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의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제 1삽입편(13)의 걸림돌기(132a)가 제 1가이드편(23)의 저면에 형성된 제 1걸림턱(232)에 걸려 힘을 강제하지 않는 한 그 위치가 고수될 수 있는 구조이다.(도 4참고)
한편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배관의 간격에 상응하여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를 상호 가 결합시키고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 중 어느 하나만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각 고정편(111,211)에 형성된 장홀(H)과,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과, 제 2고정부재(20)의 제 2가이드편(24)에 형성된 장홀(H)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는 장홀(H)의 길이 만큼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가이드편(23)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사이에는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의 간격이 장홀(H)의 길이만큼 가변되도록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걸쳐지는 제 2걸림턱(233)이 형성된 구조이다.
제 2걸림턱(233)은 제 1걸림턱(232)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다만 제 2걸림턱(233)의 위치가 상기 제 1걸림턱(232)에 대해 장홀(H)의 길이 간격만큼 타측에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지면에 결합되지 않은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 중 선택되는 하나의 고정부재(10,20) 간격을 힘을 강제하여 벌리면 제 1삽입편(13)의 걸림돌기(132a)가 제 1걸림턱(232)에서 이탈되면서 제 2걸림턱(233)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제 1걸림턱(232)과 제 2걸림턱(233)의 간격은 장홀(H)의 길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고정부재의 위치 가변된다 하더라도, 각각의 관통구(h1,h2,h3)와 장홀(H)이 상통되어 각 고정부재(10,20) 간의 체결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2가이드편(24)의 선단부가 밀착되는 상기 제 1삽입편(13)의 하부 벽면에는 제 2가이드편(24)과의 갭(G)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단턱(133)이 부분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도 1 및 도4에 도시)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를 상호 체결하지 않고,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만을 지면에 임시 고정한 다음,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갭(G)에 삽입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40)와,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의 체결은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부재(40)의 연결편(42)에는 제 1관통구(h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40)의 연결편(42)에 형성된 제 1관통구(h1)와 체결되는 제 2관통구(h2)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는 제 1안착부(12)의 타측 상부면과, 제 1삽입편(13)의 단차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는 제 2안착부(22)의 일측 상부면과, 제 1가이드편(23)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의 단차 하부 수평연장되는 부위에 장홀(H)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홀(H)은 전술된 가이드레일(13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와 상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2가이드편(24)에는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와 상통되는 장홀(H)과,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과 상통되는 제 3관통구(h3)가 형성된다.
보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안착부(12)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는 제 1관통구(h1)에 삽입되는 체결나사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을 거쳐 제 2고정부재(20)의 장홀(H)과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20)의 안착부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는 제 1관통구(h1)에 삽입되는 체결나사가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을 거쳐 제 2고정부재(20)의 제 3관통구(h3)와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가이드편(24)에 형성된 장홀(H)과 제 3관통구(h3)는 체결나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는 체결나사에 의해 강제로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너트가 필요치 않는 구조이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설치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 연장부재(30)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는 배관(P)을 증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30)와, 상기 연장부재(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30)는 제 3외팔지주(35)와,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외팔지주(35)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3안착부(31)와, 상기 제 3안착부(31)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32)과,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안착부(31)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3가이드편(33) 및 제 4가이드편(3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관(P)이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경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 연장부재(30)를 증축(增築)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30)에 일측면에 형성된 제 2삽입편(32)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과 동일한 형태로 세부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재(30)에 형성된 제 3안착부(31) 역시 배관(P)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R)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30)의 타측면에서 형성된 제 3가이드편(33) 및 제 4가이드편(34)은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과 동일한 형태로 세부 구성은 생략한다.
또한 연장부재에 대한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결합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고정부재 11: 제 1외팔지주 111: 제 1고정편
12: 제 1안착부 13: 제 1삽입편
131: 단차 132: 가이드레일
132a: 걸림돌기 133: 단턱
20: 제 2고정부재 21: 제 2외팔지주 211: 제 2고정편
22: 제 2안착부 23: 제 1가이드편
231: 돌출부 232: 제 1걸림턱
233: 제 2걸림턱 24: 제 2가이드편
30: 연장부재 31: 제 3안착부 32: 제 2삽입편
33: 제 3가이드편 34: 제 4가이드편
35: 제 3외팔지주
40: 결합부재 41: 안착테 42: 연결편
51: 파스너 52: 파스너핀 521: 헤드부
522: 핀부
H: 장홀 h1: 제 1관통구 h2: 제 2관통구
h3: 제 3관통구
R: 리브 G: 갭
100: 배관 고정장치

Claims (13)

  1. 제 1외팔지주(11)와,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배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안착부(12)와, 상기 제 1안착부(12)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는 제 1삽입편(13)과, 상기 제 1외팔지주(11)의 하부 타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1고정편(111)으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10);
    제 2외팔지주(21)와,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안착부(22)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안착부(22)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1가이드편(23) 및 제 2가이드편(24)과, 상기 제 2외팔지주(21)의 하부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제 2고정편(211)으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20); 및
    상기 각 안착부(12,22)에 안착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고정부재(10,2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결합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 하부 벽면에는 제 2가이드편(24)의 선단부와 갭(G)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단턱(133)이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41)와, 상기 안착테(41)의 양측에 연장되어 제 1관통구(h1)가 형성된 연결편(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131)를 두고 수평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의 선단부는 상기 제 1삽입편(13)의 단차(131)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은 단차(131)를 중심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장홀(H)과, 상기 장홀(H)을 중심으로 양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2)과, 상기 가이드레일(13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편(23)은 상기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1)와,
    상기 돌출부(231)의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된 제 1삽입편(13)의 위치고수를 위해 상기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걸쳐지는 제 1걸림턱(232)과,
    상기 돌출부(231)의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된 제 1삽입편(13)의 위치가 장홀(H)의 길이만큼 가변되도록 제 1삽입편(13) 형성된 걸림돌기(132a)에 걸쳐지는 제 2걸림턱(2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편(111,211)은 장홀(H) 및 상기 장홀(H)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51)와, 상기 각 고정편(111,211)에 형성된 장홀(H)을 관통하여 파스너(51)에 삽입되는 파스너핀(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는 결합부재(40)의 연결편(42)에 형성된 제 1관통구(h1)와 체결되는 제 2관통구(h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관통구(h2)는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안착부(12) 타측 상부면과, 제 1삽입편(13)의 단차 상부면 및
    제 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제 2안착부(22)의 일측 상부면과, 제 1가이드편(2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편(24)에는 장홀(H) 및 제 3관통구(h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홀(H)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제 2관통구(h2)와 상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관통구(h3)는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과 상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배관 고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편(24)에 형성된 장홀(H) 및 제 3관통구(h3)는 나사결합시 강제로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나사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는 배관(P)을 증축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30)와, 상기 연장부재(3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30)는,
    제 3외팔지주(35)와, 상부에 배관(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외팔지주(35)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3안착부(31)와, 상기 제 3안착부(31)의 일측면에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2가이드편(24)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32)과,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안착부(31)의 타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수평연장되는 제 3가이드편(33) 및 제 4가이드편(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12,22,31)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KR1020100044634A 2010-05-12 2010-05-12 배관 고정장치 KR10118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34A KR101186501B1 (ko) 2010-05-12 2010-05-12 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34A KR101186501B1 (ko) 2010-05-12 2010-05-12 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86A KR20110125086A (ko) 2011-11-18
KR101186501B1 true KR101186501B1 (ko) 2012-09-28

Family

ID=4539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634A KR101186501B1 (ko) 2010-05-12 2010-05-12 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599B (zh) * 2014-07-18 2016-09-28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吸隔振一体化管路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375A (zh) * 2019-07-18 2019-09-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管路固定块、空调器室外机及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16A (ja) * 2004-07-28 2006-02-09 Mirai Ind Co Ltd 配管材固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16A (ja) * 2004-07-28 2006-02-09 Mirai Ind Co Ltd 配管材固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599B (zh) * 2014-07-18 2016-09-28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吸隔振一体化管路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86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553B1 (en) Modular utility box system
JP2009540249A (ja) パイプ固定装置
KR200406563Y1 (ko) 입상배관 고정용 일체형 고정틀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5576235B2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70064065A (ko) 건축물의 층간 방음구조체를 이용한 난방용 배관 설치구조
JP4551777B2 (ja) 分岐管継ぎ手の固定装置
JP5433119B2 (ja) 配設体支持具
KR200456938Y1 (ko) 배관 고정장치
KR200447084Y1 (ko) 배관 고정 장치
US201203055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 cross member to a tube
KR20090036835A (ko) 셋트 앵커볼트
KR101048643B1 (ko) 천장 패널 고정 장치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JP3695656B2 (ja)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20090035892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체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100013080U (ko)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100886209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안전 브라켓
JP4288272B2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