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413B1 - 입상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입상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13B1
KR100393413B1 KR10-2001-0028614A KR20010028614A KR100393413B1 KR 100393413 B1 KR100393413 B1 KR 100393413B1 KR 20010028614 A KR20010028614 A KR 20010028614A KR 100393413 B1 KR100393413 B1 KR 10039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ircumferential surface
body housing
main body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748A (ko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박점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to KR10-2001-002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4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각 층간 상판에 매설된 슬리브를 통하여 설치되는 배관을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구를 기존의 기술구성에 비해 한층 단순화된 구조로 개선함으로서 설치 및 개,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구 구조체는, 입상관이 통과되어지는 중공부(14b)를 이루고, 그 외주면 소정구간에서 나사산(14a)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복수의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하우징(14);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유동이 가능하며, 그 하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탄성지지체가 결합되어져 있는 슬라이더(17); 상기 본체하우징(14)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내주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어지되, 결합에 따른 하방으로의 유동시 상기 슬라이더(17)로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는 고정캡(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상관 고정구{A FIX DEVICE FOR STANDING PIPE}
본 발명은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각 층간 상판에 매설된 슬리브를 통하여 설치되는 배관을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는 냉온수용 송수배관, 폐수배출 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각 층간의 상판에 철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슬리브를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입상관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아파트의 각층 상판(2)에 함몰되는 슬리브(1)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되 상단 양측으로 설치판(1a)을 돌출 성형하였다. 상기 슬리브(1) 상측으로는 설치되는 배관(3)을 잡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배관 외형과 동일 크기의 호형 접지면(4a)이 형성되었고, 슬리브(1)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4b)이 형성된 고정체(4)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각 고정체(4)의 양단에 상부가 개방된 결합홈(4c)을 마련하여 상호 볼트(5a), 너트(5b)와 같은 결합수단(5)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슬리브(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 고정판(4b)의 일측으로 고정구멍(6a)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돌판(6)을 돌출 형성하여 피스 등의 고정수단(7)으로 견고하게 고정토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종래 입상관 고정구는 주로 고층건물의 상하층간의 상판(2)에 슬리브(1)를 매설하고 매설된 슬리브(1)를 이용하여 설치되는배관(3)을 견고히 고정토록 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는 슬리브(1) 내측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3)을 내입하고 배관(3) 외부에 고정체(4)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다음 결합홈(4c)을 통하여 결합수단(5)으로 상호 결합함으로서 배관(3)을 견고하게 잡고 슬리브(1)와 접착되는 측 즉, 고정판(4b)의 고정돌판(6)을 슬리브(1)의 설치판(1a)과 일치시킨 다음 고정돌판(6)에 형성된 고정구멍(6a)을 통하여 피스등의 고정수단(7)을 내입시켜 슬리브(1)와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상관 고정구조는, 고정체(4)의 고정 및 결합을 위한 수단이 다수개 필요하게 됨으로 고정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배관(3)의 개,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입상관 고정구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각층 상판에 입상관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이루도록 슬리브가 매설되어져 있고, 상기 슬리브에는 입상관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되어짐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입상관이 통과되어지는 중공부를 이루고, 그 외주면 소정구간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하우징;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이 가능하며, 그 하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탄성지지체가 결합되어져 있는 슬라이더; 상기 본체하우징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지되, 결합에 따른 하방으로의 유동시 상기 슬라이더로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결합상태에서 A-A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결합초기의 상태도.
도 2b는 결합이 완료된 상태도.
도 3은 상기 고정구에 의한 입상관 지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본체하우징 사시도.
도 5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 고정구에 의한 입상관 지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리브 12 : 고정캡
13 : 입상관 14 : 본체하우징
15 : 가이드홈 16 : 하부격살
17 : 슬라이더 18 : 판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상관(13)의 통과가 가능한 소정내경의 중공부(14b)를 이루고 있는 고정구 본체하우징(14)은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에서 나사산(14a)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3개소에는 수직방향의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5)은 해당 개소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진 하부격살(16)에 의해 연장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5)에는 소정 길이를 이루는 판스프링(18)이 삽착되어지게 되는데, 판스프링(18)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안내되어지는 슬라이더(17)가 결합되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상하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7)는 가이드홈(15)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동에 따른 이탈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되며, 상기 판스프링(18)은 중단에서 폭이 감소되어진 소정각도의 절곡부(18a)를 이루고 있음으로 인하여 외력의 작용시 절곡이 용이하게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7)에 가압력을 가하기 위한 부재로서 고정캡(12)이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고정캡(12) 내주면에도 나사산(12a)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상기 본체하우징(14)과의 나사결합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건물의 각층 상판(2)에 매설되어지는 슬리브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고정구 결합과정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고정구 본체하우징(14)의 가이드홈(15)에 판스프링(18) 및 슬라이더(17)가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캡(12)을 소정회수 회전시켜 가체결하게 되면, 이때는 고정캡(12)이 본체하우징(14)과 완전히 체결되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슬라이더(17)에 가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도 2a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는 하부격살(16)에 위치하고 있는 판스프링(18) 역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절곡부(18a)가 외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캡(12)을 계속 회전시켜 본체하우징(14)에 완전히 체결시키게 되면, 슬라이더(17)가 하방으로의 가압력을 받게 되면서 판스프링(18)이 눌려지게 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곡부(18a)를 중심으로 판스프링(18)이 절곡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에는 이러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고정구가 입상관(13)을 지지하기 위하여슬리브(11)에 설치되어진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2a,b의 체결과정을 통해 가압되어진 판스프링(18)이 절곡되어지면서 슬리브(11)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면, 이에 의한 판스프링(18)의 반작용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하부격살(16)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입상관(13)을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정구는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18)의 탄성작용으로 인해 슬리브(11)와의 결합력은 물론 입상관(13)의 고정력이 동시에 작용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캡(1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구 본체하우징(14)과의 결합력을 해제시키게 될 경우, 판스프링(18)의 가압력 역시 점차 해제되어지면서 부품의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하우징(14')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하부격살(16)구조를 배제하고 일체화된 하나의 통채(16')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더(17)에는 2중의 판스프링(18,18')구조를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는 판스프링의 과다한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하부격살(16)이 쉽게 파단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더(17)를 통한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 판스프링(18,18')이 양측으로 절곡되어짐으로서 입상관(13)과 슬리브(11)에 대한 직접적인 탄성지지가 이루어질 수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입상관 고정구 구조체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고정구 구조체는, 기존의 기술구성에 비해 한층 단순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착탈이 용이한 고정캡구조를 이룸으로서 개,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탄성체에 의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설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각층 상판에 입상관(13)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이루도록 슬리브(11)가 매설되어져 있고, 상기 슬리브(11)에는 입상관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되어짐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입상관이 통과되어지는 중공부(14b)를 이루고, 그 외주면 소정구간에서 나사산(14a)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복수의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하우징(14);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유동이 가능하며, 그 하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탄성지지체가 결합되어져 있는 슬라이더(17);
    상기 본체하우징(14)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내주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어지되, 결합에 따른 하방으로의 유동시 상기 슬라이더(17)로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는 고정캡(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중단에서 폭이 감소되어진 형태의 절곡부(18a)를 이루고 있는 판스프링(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8)은, 절곡부(18a)에서 외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4)에는, 상기 가이드홈(15)이 연장 형성되어진 하부격살(16)이 해당 개소에 일체로 구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8)은 상호 대향되는 2중구조(18,1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구.
KR10-2001-0028614A 2001-05-24 2001-05-24 입상관 고정구 KR10039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614A KR100393413B1 (ko) 2001-05-24 2001-05-24 입상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614A KR100393413B1 (ko) 2001-05-24 2001-05-24 입상관 고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355U Division KR200242204Y1 (ko) 2001-05-24 2001-05-24 입상관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48A KR20020089748A (ko) 2002-11-30
KR100393413B1 true KR100393413B1 (ko) 2003-08-09

Family

ID=2770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614A KR100393413B1 (ko) 2001-05-24 2001-05-24 입상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22B1 (ko)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KR200446654Y1 (ko) * 2009-05-27 2009-11-17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1440913B1 (ko) 2013-04-05 2014-09-17 홍순익 입상배관을 통한 층간소음방지 고정 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285B1 (ko) * 2004-08-16 2006-06-26 김석윤 파이프 고정장치
EP3572700A1 (de) * 2018-05-24 2019-11-27 Wagner Group GmbH Wand- oder deckendurchführung für ein ansaugpartikelerkennungs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8079A (en) * 1981-10-15 1982-11-09 Pass And Seymour, Inc. Moisture resistant clamp for portable cables
KR900006900Y1 (ko) * 1985-12-30 1990-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이보오드 수납 장치가 구비된 씨. 알. 티 터미널
US5350204A (en) * 1992-05-12 1994-09-27 Hermann Kleinhuis Gmbh & Co. Kg Screw coupling
KR950019346A (ko) * 1993-12-24 1995-07-22 야마다 아끼오 관접속구
KR200187820Y1 (ko) * 2000-01-10 2000-07-15 이동진 입상관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8079A (en) * 1981-10-15 1982-11-09 Pass And Seymour, Inc. Moisture resistant clamp for portable cables
KR900006900Y1 (ko) * 1985-12-30 1990-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이보오드 수납 장치가 구비된 씨. 알. 티 터미널
US5350204A (en) * 1992-05-12 1994-09-27 Hermann Kleinhuis Gmbh & Co. Kg Screw coupling
KR950019346A (ko) * 1993-12-24 1995-07-22 야마다 아끼오 관접속구
KR200187820Y1 (ko) * 2000-01-10 2000-07-15 이동진 입상관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22B1 (ko)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KR200446654Y1 (ko) * 2009-05-27 2009-11-17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1440913B1 (ko) 2013-04-05 2014-09-17 홍순익 입상배관을 통한 층간소음방지 고정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48A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149B1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200242204Y1 (ko) 입상관 고정구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100886209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안전 브라켓
KR200366579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부재
KR200277271Y1 (ko)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KR200187820Y1 (ko) 입상관 고정구
KR2003436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고정클램프
KR200296090Y1 (ko)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KR100551020B1 (ko)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KR2003665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KR2005011202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25430Y1 (ko) 천정 마감패널의 고정장치
KR10060947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5861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0115315Y1 (ko) 건축물 천정시설 배관을 위한 앵글지지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