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020B1 -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 Google Patents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020B1
KR100551020B1 KR1020030012506A KR20030012506A KR100551020B1 KR 100551020 B1 KR100551020 B1 KR 100551020B1 KR 1020030012506 A KR1020030012506 A KR 1020030012506A KR 20030012506 A KR20030012506 A KR 20030012506A KR 100551020 B1 KR100551020 B1 KR 10055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sleeve
silicon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571A (ko
Inventor
박희진
Original Assignee
박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진 filed Critical 박희진
Priority to KR102003001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0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관 지지 및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건축물과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 건물의 각 층간 상판과 측판에 설치된 슬리브나, 코아 작업 후 구멍과 입상관을 잡아서 고정 및 지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를 기존 기술구성에 비해 한층 단순화된 구조로 개선함으로 배관작업 및 개,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고, 실리콘 등의 접착성 물질을 투여 방수기능을 부가 시키기 위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및 지지구 구조체는, 입상관을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 및 지지구, 그 외주면에 나사산과 이음부의 경사면, 분해제거용 고리와 단면도 측면부의 한면은 수직으로, 다른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결합은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하여 고정 및 지지하고, 실리콘 등의 접착성 물질을 투여 방수기능을 부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기술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의 설치 및 분해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원가가를 하락 시키고, 또한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투여 방수 효과까지 부가해 고정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설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Figure 112003503894770-pat00001
입상관, 슬리브

Description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 Pipe Fixer and Support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및 지지구 사시도와 단면도
도 2는 상기 고정 및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 a 는 고정 및 지지 초기 상태도.
도 2 b 는 고정 및 지지 완료 상태도.
도 3 은 상기 고정 및 지지구에 의한 입상관의 고정 및 지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상기 고정 및 지지구에 의한 입상관의 제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분해 사시도.
도 6 은 종래 고정 및 지지구의 입상관 고정 및 지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입상관(14) 고정 및 지지구(10)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건축물과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 건물의 각 층간 상판과 측판에 설치된 슬리브(15)나, 코아 작업 후 홀과 입상관(14)을 잡아서 고정 및 지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를 기존 기술구성에 비해 한층 단순화된 구조로 개선함 으로 배관작업 및 개, 보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고, 실리콘 등의 접착성 물질(16)을 투여 방수기능을 부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는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송수배관, 폐수배출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코아 작업 후 구멍이나, 각층간의 상판과 측판(18)에 철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슬리브(15)를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입상관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아파트의 각층 상판(2)에 함몰되는 슬리브(1)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되 상단 양측으로 설치판(1a)을 돌출성형하였다. 상기 슬리브(1) 상측으로는 설치되는 배관(3)을 잡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배관 외형과 동일 크기의 호형 접지면(4a)이 형성되었고, 슬리브(1)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4b)이 형성된 고정체(4)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각 고정체(4)의 양단에 상부가 개방된 결합홈(4c)을 마련하여 상호 볼트(5a), 너트(5b)와 같은 결합수단(5)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슬리브(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 고정판(4b)의 일측으로 고정구멍(6a)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돌판(6)을 돌출 형성하여 피스 등의 고정수단(7)으로 견고하게 고정토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종래 입상관 고정구는 주로 고층건물의 상하층간의 상판(2)에 슬리브(1)를 매설하고 매설된슬리브(1)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배관(3)을 견고히 고정토록 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는 슬리브(1) 내측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3)을 내입하고 배관(3) 외부에 고정체(4)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다음 결합홈(4c)을 통하여 결합수단(5)으로 상호 결합함으로서 배관(3)을 견고하게 잡고 슬리브(1)와 접착되는 측 즉, 고정판(4b)의 고정돌판(6)을 슬리브(1)의 설치판(1a)과 일치시킨 다음 고정돌판(6)에 형성된 고정구멍(6a)을 통하여 피스등의 고정수단(7)을 내입시켜 슬리브(1)와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상관 고정구조는, 고정체(4)의 고정 및 결합을 위한 수단이 다수개 필요하게 됨으로 고정구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입상관(3)의 개,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제작비용과 작업시간 등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실리콘 등의 접착제(16)를 투여하여 방수기능을 부가할수 있는 입상관(14) 고정 및 지지구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각층 상판과 측판(18)에 입상관(14)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이루도록 슬리브(15)가 매설되어져 있고, 상기 슬리브(15)에는 입상관(14)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되어짐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지지구는, 그 내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고정 및 지지구의 재질 에 탄력성을 갖고 있으며, 대각선 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제거용 고리(12)와 경사면에 제거용 공구(17)를 이용하여 분해 및 제거가 용의하고록 형성이 되어 있으며, 경사면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16)를 투여하여 방수 기능을 부가하고, 결합에 따른 하방으로 가압력을 인가하여 고정 및 지지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상관(14)과 슬리브(15)나 구멍 사이에 고정지지구(10)는 그 외주면에 소정구간에서 나사산(1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단면은 하부가 상부보다 작은 테이퍼형상이고, 한면(11a)은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면과 다른 한면(11b)은 나사산이 형성되었으며, 이음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고정지지구(10)의 재질은 탄력성을 지닌다.
그리고, 고정지지구에 가압력을 가해 슬리브(15)의 구멍에 입상관을 고정 및 지지하게 되며,
또한, 이음부(13)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지며, 경사면 위 끝부분에 부착된 분해제거용 고리(12)와 경사면에 분해제거용 공구(17)의 지렛대 힘으로 분해 제거하게 된다.
도면 중 설명 부호 (15)는 건물의 각층 상판과 측판(18)에에 매설되어지는 슬리브(15)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고정지지구 결합과정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고정지지구 한쪽을 슬리브(15)구멍과 입상관(14)사이에 넣고, 도 2 a 에서 이음부(13)에 경사면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16)를 투여한 다음 하부로 압력을 가해 삽입된 상태(도 2 b)는 고정지지구의 탄력성과 가압력으로 입상관을 고정 및 지지함은 물론 입상관 하중을 견디게 되고, 결합 후 방수기능을 부가한다.
도 3 에는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지지구가 입상관(14)을 지지하기 위하여 슬리브(15)에 설치되어진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2 a, b 체결과정을 통해 가압되어진 고정지지구의 탄력성과 가압력으로 슬리브(15)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면, 이에 의한 반작용 탄력이 작용하면서 입상관(14)을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정지지구는 상기와 같은 탄력작용으로 인해 슬리브(15)구멍의 결합력은 물론 입상관(14)의 고정력이 동시에 작용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및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해제거용 고리(12)나 분해제거용 공구(17)의 지렛대 힘을 사용하여 결합력을 해제시키게 될 경우, 탄력성과 가압력 역시 점차 해제되어지면서 부품의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제거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고정 및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해제거용 고리나 분해제거용 공구의 지렛대 힘을 사용하여 결합력을 해제시켜 분해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입상관 고정구 구조체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정구 구조체는, 기존의 기술구성에 비해 한층 단순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착탈이 용이한 분해제거용 고리(12)나 경사면(13)의 구조를 갖음으로서 분해제거용 공구(17)의 지렛대 힘을 이용하여 개,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작업의 설치 및 분해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원가를 하락시키고, 또한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투여 방수 효과까지 부가해 고정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설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건축물의 각측 상판과 측판에 입상관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을 갖는 슬리브 내부로 입상관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에 삽입설치되는, 테이퍼진중공 원통형상의 입상관 고정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구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그 내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중심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면을 갖는 이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지지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리브와 파이프의 사이에 끼워진 입상관 고정지지구를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입상관 고정지지구의 경사면 일측에 중심축선 방향으로 인출된 분해제거용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고정지지구.
KR1020030012506A 2003-02-27 2003-02-27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KR10055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06A KR100551020B1 (ko) 2003-02-27 2003-02-27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06A KR100551020B1 (ko) 2003-02-27 2003-02-27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106U Division KR200277271Y1 (ko) 2002-02-28 2002-02-28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71A KR20030071571A (ko) 2003-09-03
KR100551020B1 true KR100551020B1 (ko) 2006-02-13

Family

ID=3222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506A KR100551020B1 (ko) 2003-02-27 2003-02-27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17B1 (ko) * 2006-01-18 2007-11-16 한재광 입상관 고정구
KR100788022B1 (ko) *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71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JP6748470B2 (ja) インサートを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に取付け下部に下階の天井設備類を吊設支持する吊込構造体、及び前記インサートを用いた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下部の天井設備類取付方法。
KR20180060133A (ko) 슬래브 단열이 가능한 트러스 철근 일체형 장선 슬래브
KR100551020B1 (ko)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KR100728286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100889578B1 (ko) 배관설치구
KR200277271Y1 (ko) 입상관 고정 및 지지구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102030351B1 (ko) 맨홀 상하 연결구조
KR20180060153A (ko) 슬래브 단열이 가능한 트러스 철근 일체형 장선 슬래브
KR100812250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TWM602576U (zh) 建築預埋構件之結構及包含建築預埋構件之建築物結構
KR200321241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CN215760152U (zh) 一种卫浴房顶板结构
JP2000205456A (ja) 集合管継手の支持方法
KR20022671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KR200306744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571286B1 (ko) 파이프 고정지지구
KR200242204Y1 (ko) 입상관 고정구
KR200267883Y1 (ko) 콘크리트 합벽 거푸집 지지대의 지지 브라켓
KR200268243Y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320872Y1 (ko) 건축 외장재 연결 고정장치
JPH1068232A (ja) 仮囲い支柱支持金具
CN210507826U (zh) 一种可拆卸悬挑梁预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407

Effective date: 200703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216

Effective date: 2007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01

Effective date: 200806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717

Effective date: 2008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