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250B1 -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250B1
KR100812250B1 KR1020070061796A KR20070061796A KR100812250B1 KR 100812250 B1 KR100812250 B1 KR 100812250B1 KR 1020070061796 A KR1020070061796 A KR 1020070061796A KR 20070061796 A KR20070061796 A KR 20070061796A KR 100812250 B1 KR100812250 B1 KR 10081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ixed
die
bas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960A (ko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Original Assignee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진, 박정호, 박형국 filed Critical 박정진
Publication of KR2007010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수직면 시공을 위한 바탕거푸집;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및 바탕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조립식 거푸집, 수직면 거푸집, 빗장지지구

Description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Assembling vertical system form}
도1은 바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제1고정거푸집이 연결된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의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이 빗장지지구에 의해 맞댐이음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 바탕거푸집 110 : 빗장지지구
120 : 빗장
200 : 제1고정거푸집 200a : 제2고정거푸집
300 : 제1연결거푸집 300a : 제2연결거푸집
400 : 하단판 400a : 상단판
500 : 하단 고정판 500a : 상단 고정판
600 : 하단 체결고정구 600a: 상단 체결고정구
700 : 받침판 800 : 천장슬래브 거푸집
본 발명은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체, 기둥 등의 수직 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패널을 결합하여 수직면거푸집을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동바리를 세우고 상기 동바리에 받쳐지도록 슬래브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기 수직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 구조물과 그 상층의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한다.
종래의 수직 구조물 제작을 위한 거푸집은 주로 목재거푸집 등의 비규격품을 사용하거나 유로폼 등의 규격품을 사용해 왔다. 상기 비규격품을 사용할 때는 설계의도에 따른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구조물 시공에 유리하나 거푸집을 정교하게 제작하기 어렵고 제작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려웠으며 파손량이 증가되었다.
이에 비해 유로폼 공법은 일정 규격의 다수 패널을 결합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유로폼 공법은 합판에 금속제프레임을 결합하여 콘크리트타설 중량에 의한 수직력 또는 수평력을 상기 금속제 프레임이 부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합판을 계속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로폼은 금속제프레임의 큰 단위중량으로 인하여 표준규격(600x1200mm)의 크기가 작고 무거워서 아파트 1세대의 벽체 및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수백개의 유로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로폼을 연결하는 웨지핀과 프렛타이의 개수가 많이 소요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 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구조물을 축조할 때에도 간단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수직면 시공을 위한 바탕거푸집(100a);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200);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 제1연결거푸집(300) 및 바탕거푸집(100a)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고,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바탕거푸집(100a)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면과 맞닿는 거푸집널부(330); 와, 상기 거푸집널부(330)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 거푸집널부(330) 보다 넓은 너비를 가져 바탕거푸집(100a)의 후면에까지 접하게 되는 보강널부(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거푸집널부(330)와는 단턱결합하면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보강널부(340)와는 홈-돌기에 의한 끼움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설치구조는 수직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바탕거푸집(100a);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200);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단,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 제1연결거푸집(300) 및 바탕거푸집(100a)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평평하게 연속되어야 한다.
도1은 바탕거푸집, 제1연결거푸집, 제1고정거푸집이 연결된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일반적인 벽체거푸집, 기둥거푸집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단, 상기 바탕거푸집으로 상기 거푸집용 합성패널(100)을 이용하면 위에서 설명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도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상단(320)은 바탕거푸집(100a)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에서 평평하게 이어져야 한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상단(320)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31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바탕거푸집(100a)의 결합방법은 체결구 또는 접착제 등을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거푸집(100a)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면과 맞닿는 거푸집널부(330); 와, 상기 거푸집널부(330)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거푸집널부(330) 보다 넓은 너비를 가져 바탕거푸집의 후면에까지 접하게 되는 보강널부(3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은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거푸집널부(330)와 단턱결합(321)하면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보강널부(340)와 홈-돌기에 의한 끼움결합(322)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바탕거푸집(100a)과 제1연결거푸집(300)은 제1연결거푸집(300)의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맞물려 간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다수개의 바탕거푸집(10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하면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도 바탕거푸집 상호간을 맞댄이음연결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를 이룬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을 경사면으로 한정하고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연결거푸집(300) 및 상기 연결거푸집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100a)이 경사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제1연결거푸집(300)의 결합방법은 해체(탈형)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구에 의한 결합방법을 택해야 한다.
이 때,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은 도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차에 의한 단(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과 단턱결합하며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타설면은 평탄함을 유지하더라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의 반대면은 두께차에 의한 단(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거푸집에 단차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평면 거푸집의 해체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 및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100a)이 미끄러져 내릴 때 상기 단차 형성부위에 한 번 걸려지도록 하여 미끄러져 내리는 가속도를 줄여 충격에 의한 제1연결거푸집(300)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도 제1고 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는 부위를 상기 단차 형성부위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하면 부재의 단순화로 인한 작업자의 혼돈을 지양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수직구조물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적용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에 관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하부의 설치구조는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조물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대칭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대칭을 이루어 상단이 천장슬래브 거푸집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거푸집(200a; 및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a)과 대칭을 이루어 하단은 바탕거푸집(100a)의 상단과 결합하고, 상단은 제2고정거푸집(200a)의 하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2연결거푸집(300a);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역시 상기 제1,2고정거푸집, 제1,2연결거푸집 및 바탕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평평하게 연속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제2연결거푸집(300a)은 제1연결거푸집(300)과 함께 다수개의 바탕거푸집에 끼워지도록 길게 형성하면, 바탕거푸집(100a)의 상, 하부를 잡아 고정시킴으로서 더욱 안정적으로 맞댄이음연결을 할 수 있다.
한편, 도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제1고정거 푸집(200)과 접하는 면의 후면에 체결고정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하단과 직각으로 결합하여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하단판(400);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단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정판(500); 및 상기 하단 고정판(500)을 관통하고 상기 제1연결거푸집의 체결고정부(360)와 체결되면서 제1연결거푸집(300)을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하단 체결고정구(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단판(40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하단과 직각으로 결합되도록 선시공되어 바닥슬래브의 기준먹선에 맞추어 고정된다. 상기 하단 고정판(500)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단판(400)과 직각으로 결합한다. 상기 하단 체결고정구(600)는 상기 하단 고정판(50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체결고정부(360)와 체결되면서 제1연결거푸집(300)을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1고정거푸집, 하단판, 고정판, 체결고정구 및 제1연결거푸집은 일체화되어 상호 유기적인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은 제1연결거푸집(300)을 하부에서 받쳐주고, 상기 하단판은 바닥에 고정되어 제1고정거푸집(200)을 측면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하단 고정판(500)을 관통하는 하단 체결고정구(600)는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체결되고 제1연결거푸집(300)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측면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해체할 때는 상기 하단 체결고정구(600)를 풀어내어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이 제1고정거푸집(200)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하되, 측면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범위는 상기 하단 고정판(500)에 의해 제한되어 거푸집 해체시의 거푸집의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때, 도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판(400)과 바닥 사이에 끼워지는 받침판(7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판(700)은 선시공된 콘크리트슬래브위의 기준먹선에 맞추어 콘크리트 못을 망치로 타격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후 상기 받침판(700) 위에 상기 하단판(400)을 고정시키는데,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철판피스(나사못)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판(7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하단판(400)을 관통하는 콘크리트 못을 망치로 타격하여 선시공된 콘크리트슬래브위에 직접 고정하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하단판을 타격하게 되면 하단판은 크게 손상되어 사용불가능하게 되며, 해체시 콘크리트에 깊숙이 고정된 콘크리트못의 인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하단판(400)의 설치와 해체를 위하여서는 받침판(700)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700)은 거푸집 해체시 일체화된 바탕거푸집과 제1연결거푸집이 미끄러져 내려올 때 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판(700)은 탄성재를 사용하면 충격완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판(4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하단판과 대칭을 이루어 천장슬래브 거푸집(800)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판(400a); 상기 제2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상단판(400a)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단 고정판(500a); 및 상기 상단 고정판(500a)을 관통하고 상기 제2연결거푸집(300a)의 체결고정부(360a)와 체결되면서 제2연결거푸집(300a)을 제2고정거푸집(200a)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상단 체결고정구(600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설치구조를 상부와 하부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각 부재간 호환성이 있게되고 동일한 원리의 설치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반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혼동을 방지하여 시공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시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에 설치된 제1, 2연결거푸집(300,300a)을 고정시키는 체결고정구(600, 600a)를 풀어줌으로서 간단한 탈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100a)이 빗장지지구(110)에 의해 맞댐이음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바탕거푸집(100a)을 맞댄이음하여 연결하는 것은 전술한 제1, 2연결거푸집(300, 300a)에 의해서도 가능하나, 이를 보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빗장체결방식의 연결구를 추가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즉,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후면에 장착된 고리형태의 빗장지지구(1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호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110a)은 상기 빗장지지구(110)에 동시에 빗장(120)을 삽입 고정함으로서 맞댐이음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변화가 발생하여도 일직선상의 평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는 바탕거푸집(110a)은 양측단부에 고리형태의 빗장지지구(110)가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이웃하는 바탕거푸집(110a)의 빗장지지구(110)에 동시에 빗장(120)을 삽입 고정함으로서 바탕거푸집 간의 맞댄이음연결을 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을 경사면으로 한정하고 제1연결거푸집의 하단을 상기 제1고정거푸집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하여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의 탈형시, 상기 연결거푸집 및 상기 연결거푸집과 일체화 되도록 연결된 바탕거푸집이 경사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리도록 하여 손쉽게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연결거푸집, 고정거푸집, 하단판 또는 상단판, 고정판 및 체결고정구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일괄적인 조립 및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길게 형성된 제1, 2연결거푸집과 빗장지지구에 의해 바탕거푸집 상호간을 간단하게 맞댄이음연결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중 벽체 또는 기둥 등의 수직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에서,
    수직면 시공을 위한 바탕거푸집(100a);
    하단은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경사면이 형성된 거푸집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기준으로 하향경사인 제1고정거푸집(200); 및
    상단은 상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과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1연결거푸집(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 제1연결거푸집(300) 및 바탕거푸집(100a)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고,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바탕거푸집(100a)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바탕거푸집(100a)의 하단면과 맞닿는 거푸집널부(330); 와, 상기 거푸집널부(330)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 거푸집널부(330) 보다 넓은 너비를 가져 바탕거푸집(100a)의 후면에까지 접하게 되는 보강널부(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거푸집널부(330)와는 단턱결합하면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보강널부(340)와는 홈-돌기에 의한 끼움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은 두께차에 의한 단(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하단은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상단과 단턱결합하며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바탕거푸집(100a)은 후면에 장착된 고리형태의 빗장지지구(1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호 횡으로 맞댄 바탕거푸집(100a)은 상기 빗장지지구(110)에 동시에 빗장(120)을 삽입 고정함으로서 맞댐이음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과 대칭을 이루어 상단이 천장슬래브 거푸집(800)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거푸집(200a); 및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과 대칭을 이루어 하단은 바탕거푸집(100a)의 상단과 결합하고, 상단은 제고정거푸집(200a)의 하단과 접하며 고정, 설치되는 제2연결거푸집(300a);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2고정거푸집(200, 200a), 제1,2연결거푸집(300, 300a) 및 바탕거푸집(100a)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평평하게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은 제1고정거푸집(200)과 접하는 면의 후면에 체결고정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하단과 직각으로 결합하여 바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하단판(400);
    상기 제1고정거푸집(200)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단판(400)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정판(500); 및
    상기 하단 고정판(500)을 관통하고 상기 제1연결거푸집(300)의 체결고정 부(360)와 체결되면서 제1연결거푸집(300)을 제1고정거푸집(200)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하단 체결고정구(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하단판(400)과 바닥 사이에 끼워지는 받침판(7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8. 제7항에서,
    상기 하단판(400)과 같은 구조이되, 상기 하단판(400)과 대칭을 이루어 천장슬래브 거푸집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판(400a);
    상기 제2고정거푸집(200a)의 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상단판(400a)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단 고정판(500a); 및
    상기 상단 고정판(500a)을 관통하고 상기 제2연결거푸집(300a)의 체결고정부(360a)와 체결되면서 제2연결거푸집(300a)을 제2고정거푸집(200a)에 밀착되도록 밀어 고정시키는 상단 체결고정구(600a);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20070061796A 2006-05-10 2007-06-22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0812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899 2006-05-10
KR20060041899 2006-05-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8A Division KR100770958B1 (ko) 2006-05-10 2006-06-05 거푸집용 합성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960A KR20070109960A (ko) 2007-11-15
KR100812250B1 true KR100812250B1 (ko) 2008-03-10

Family

ID=38816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8A KR100770958B1 (ko) 2006-05-10 2006-06-05 거푸집용 합성패널
KR1020070061796A KR100812250B1 (ko) 2006-05-10 2007-06-22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8A KR100770958B1 (ko) 2006-05-10 2006-06-05 거푸집용 합성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70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681A (zh) * 2019-04-23 2019-06-21 哈尔滨军鼎混凝土制品有限公司佳木斯分公司 一种防火耐久保温轻质隔墙板
KR102194894B1 (ko) * 2019-12-03 2020-12-24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콘크리트 타설높이 조절판을 가진 콘크리트 코너 충격보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523A (ko) * 2001-03-20 2002-10-04 태성판넬 주식회사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0298117Y1 (ko) 2002-09-19 2002-12-12 이광국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48A (ja) * 1988-11-18 1990-05-30 Taisei Corp 鉄筋ユニットおよび配筋工法
JP3029332B2 (ja) * 1991-12-20 2000-04-04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補強筋籠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ペーサ
JP3245685B2 (ja) * 1992-04-17 2002-01-1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基礎コーナー筋
JPH08114033A (ja) * 1994-10-14 1996-05-07 Takenaka Komuten Co Ltd 鉄筋ユニット
JPH08144510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ラスチック型枠パネル
JP3182053B2 (ja) * 1995-02-06 2001-07-03 戸田建設株式会社 型 枠
KR0125191Y1 (ko) * 1995-08-30 1998-10-15 최종삼 합판고정구
JPH0978836A (ja) * 1995-09-08 1997-03-25 Fujita Corp 壁・梁一体組鉄筋と、それを使用した型枠の形成方法
KR200241654Y1 (ko) * 2001-03-27 2001-10-10 박웅준 거푸집 고정대
KR100475700B1 (ko) * 2002-07-31 2005-03-10 (주)거혁건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JP2004263401A (ja) * 2003-02-28 2004-09-24 Hayashi Seiko Kk 基礎用鉄筋の接続フレーム筋および基礎用鉄筋の配筋構造
JP4206936B2 (ja) * 2004-03-03 2009-01-14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523A (ko) * 2001-03-20 2002-10-04 태성판넬 주식회사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0298117Y1 (ko) 2002-09-19 2002-12-12 이광국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960A (ko) 2007-11-15
KR100770958B1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80084130A (ko)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결합구조
KR100812250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060107977A (ko)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200439291Y1 (ko) 벽체 거푸집과 데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JP2004092154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9143392A (ja) 梁部材複合体及び床構造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0758627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JP5032804B2 (ja) 射撃場の構造
KR100747686B1 (ko) 지지파이프 거치대가 구비된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22671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200405440Y1 (ko) 콘크리트 천장공사용 패널 받침대
KR100379574B1 (ko) 강재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스템
KR100378639B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285325Y1 (ko) 토목 기초공사용 거푸집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