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977A -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 Google Patents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977A
KR20060107977A KR1020060093350A KR20060093350A KR20060107977A KR 20060107977 A KR20060107977 A KR 20060107977A KR 1020060093350 A KR1020060093350 A KR 1020060093350A KR 20060093350 A KR20060093350 A KR 20060093350A KR 20060107977 A KR20060107977 A KR 2006010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assembly
horizontal
reinforcement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진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진,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진
Priority to KR102006009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977A/ko
Publication of KR2006010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7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 칸막이벽 시공을 위한 대형거푸집조립 설치와 탈형(상승)작업에서 기준 먹 선에 따라 설치되는 강판거푸집의 전면은 콘크리트 타설면을 이루고 후면ㄱ-형강하단수평보강재는 슬래브콘크리트위에 직각설치되고 ㄱ-형강하단수평보강재 상면에 수직보강각관과 수평보강각관을 상호 교차부위용접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철재변형을 억제와 향후 해체, 재조립이 용이한, 리벳트에 끼움되는 스톱퍼 체결(조립)하는, 상기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의 수직보강각관에 수평보강각관단부 맞대기 체결 할 때에 사용하는 체결부품을 보강각관 내부로 끼움하는 각관, 또는 C-형강, ㄱ-형강, 프레스끼움재, 경사의 스릿형 활주판의 슬라이드 등을 이용하거나, 수평각관의 외부체결에는 ㄱ-형강, 또는 C-형강, 프레스취부재 등에 리벳트와 끼움되는 스톱퍼 체결과 리벳트에 끼움되는 외지 핀 체결대형거푸집(틀) 전면 거푸집강판을 천공하여 철판피스로 고정한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의 종단결합단면은 거푸집철판을 ㄱ-형으로 맞대는 거푸집강판을 이중직각으로 절곡하여 동일경사각을 갖는 상, 하향 중복쐐기형상의 조립구조로 하향쐐기형상 ㄱ-형의 대형거푸집을 상부로 상승(탈형)특성을 제공한다.
대형조립거푸집, 프래스 끼움재, 프래스 덧취부재

Description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Non Welding assembling system Gang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조립거푸집(내부)을 조립준비 실시예이다.
도 2는 대형조립거푸집의 끼움조립 및 진행단계와 덧 취부상세이다.
도 3은 대형조립거푸집의 내측, 외측모서리 조립준비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4는 대형거푸집의 수직상승(탈형) 중복쐐기형상 체결구조 상세도이다.
도 5는 대형조립거푸집의 수평이동용 볼케스터 취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대형조립거푸집틀 강판취부전의 조립도 및 상승탈형 인양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ㄱ-형강수평보강재 2 : 상단수평보강재
3 : 리벳트 4 : 스톱퍼
5 : 프레스 끼움재 5a : 프레스 덧취부재
6 : 외부모서리ㄱ-형강 7 : 내부모서리ㄱ-형강
8 : 이중절곡 거푸집강판 9 : 외지 핀
10 : 수직보강각관 20 : 수평보강각관
30 : 거푸집 강판 50 : 볼케스터
60 : 안전발판 100: 대형조립거푸집(틀)
본 발명은 대형거푸집의 현장조립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의 내부벽체 시공을 위한 대형거푸집을 현장에서 가공없이 간단하게 조립, 해체하여 타 현장의 또 다른 평면과 규격에서도 재조립활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형조립거푸집의 조립/ 설치/ 탈형/ 완전해체/ 반복조립구조.
종래의 수직 구조물 제작을 위한 거푸집은 주로 목재거푸집 등의 비 규격품을 사용하거나 유로폼, 또는 알미늄폼 등의 규격품을 사용해 왔다.
유로폼 및 알미늄폼은 일정 규격의 다수 패널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식으로 매층 거푸집을 조립과 해체의 반복공정으로 목적물을 시공한다. 이와 같은 유로폼은 철제프레임에 합판취부 콘크리트타설 중량으로 발생하는 수직, 수평응력을 상기 철제프레임이 부담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합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로폼은 철제프레임의 중량과 작은 표준규격(600x1200mm)으로 크기가 작고 무거워서 공동주택 단위세대/당 벽체 및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도 수많은 유로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로폼 조립하는 웨지핀과 프렛타이가 많이 소요되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알미늄폼의 표준규격(600x2400mm)의 중형화와 재질 경량화로 공기단축에 효과가 있으나 선진 외국공사에 공기단축효과가 크게 뒤지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 시공용 외부대형거푸집(일명; 갱폼)은 거푸집과 외부비계의 복합조립구조로 외부벽체구조물 시공 후에 거푸집과 외부비계를 동시 수직상승하여 안전성향상과 공사기간을 단축과 노동력절감을 도모하고 있으나, 각각 독립된 판넬(폭2,000∼6,000mm)용접제작하는 일반적 판넬로 조립과 해체하여도 갱폼의 원자재가 손상하지 않는 완전해체가 불가능하여, 동일한 평면과 규격이 존재하지 않는 타 현장으로 이동하여 재활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용접제작 구조로, 평면형상과 단위판넬 규격이 다른 타 현장에 전용하도록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구조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갱폼과 복잡칸막이벽채의 시공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벽체구조물을 축조 할 때에도 간단하게 조립과 탈형 및 사용 후에 완전해체를 반복 할 수 있는 재활용구조로 벽체시공을 위한 대형조립거푸집을 제작하여 동일 평면의 분리타설(상승탈형)시공으로 공동주택 2개동을 1개조의 대형조립거푸집으로 동시에 번갈아 교차사용으로 각개의 공동주택 1개 층의 축조 소요공사기간을 3일로 공기단축 목적과 각각의 독립된 판넬을 전기용접 열 변형 없는 무 용접 조립구조로 동일한 평면과 동일한 규격이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현장에서도 종전에 평면형상과 규격에 무관하게 대형조립거푸집을 자유로이 소요형상과 규격으로 다시 재조립하여서 목표공동주택 시공에서 대형조립거푸집을 재활용하는 경제구조로 개선하여 공사원가와 공사기간을 절감하려는 두 가지 기여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의 내부벽체 시공을 위한 대형조립거푸 집(100)설치시공에서, 바닥슬래브의 기준 먹선에 따라 설치되는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전면은 콘크리트타설면을 이루고 후면하단의 ㄱ-형강수평보강재(1)는 기준 먹 선에 접하여, 설치되고 ㄱ-형강수평보강재(1)의 상 단면은 수직보강각관(10)과 수평보강각관(20)이 상호 평면교차 조립에서;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은 콘크리트 타설면 하단은 ㄱ-형강수평보강재(1)와 상단수평보강재(2)가 긴부재 길이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형조립거푸집(100)의 벽체콘크리트 면이 평평하게 연속되는 특징의 수직, 수평의 보강각관(10, 20)을 연결(조립)하는 구조는 전기용접 열에의 한 수축변형을 배제하고자 리벳트(3)를 스톱퍼(4)끼움으로 고정하여 콘크리트면의 평탄성과 조립부품의 개별해체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수직, 수평의 보강각관(10, 20)의 무 용접 연결(조립)구조는 보강재(1, 2) 보강각관(10, 20)등에 프레스 끼움재(5) 프레스 덧취부재(5a)의 관통 리벳트(3)에 스톱퍼(4) 끼움이나 또는 리벳트(3) 직각장공에 외지 핀(9) 끼움고정으로 상호 평면교차부위를 무 용접체결 평탄하게 일체화하는 조립구조와 형상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조립거푸집(100)내부(틀) 조립준비 실시예이고,
도 2는 대형조립거푸집(100)의 끼움조립(5) 진행단계와 덧취부(6)고정 상세
본 발명의 대형조립거푸집(100)은 전면거푸집강판(30)과 후면의 하단ㄱ-형강수평보강재(1)와 상단수평보강재(2) 수직, 수평보강각관(10, 20) ㄱ-형강모서리 보강재(8)을 포함하여 조립된 ㄱ-형상의 쐐기단면의 대형조립거푸집(100)구조이다.
상기 거푸집강판(30)의 후면하단을 일치하는 ㄱ-형강수평보강재(1)와 상단수평보강재(2)의 상, 하면에 수직보강각관(10)과 ㄱ-형강모서리 보강재(8) 끼움체결하려는 관통 리벳트(3)가 스톱퍼(4)에 끼움이나 또는 리벳트(3) 장공에 외지 핀(9) 끼움고정에 프래스 끼움재(5)와 프래스 덧취부재(5a)의(아래 그림) 택일고정구조로 대형조립거푸집(100)의 평탄과 직선 유지하는 무 용접으로 상호 교차부위를 체결 평판 일체화하는 전면 거푸집강판(30)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여 철판피스로 고정하여 대형조립거푸집(100)을 조립하는 무 용접 조립특성이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은 슬래브의 기준 먹 선에 따라 설치 될 때 별도의 기준 목 설치공정을 배제하고 직각의 수직선상에는 거푸집 강판(30)의 이음 없는 철재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중량과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수직, 수평의 평행을 유지하는 폼타이 체결로 미려한 벽식건축물 축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수직보강각관(10)에 다수개의 수평보강각관(20) 단부 맞대기, 또는 덧대기 체결할 때에 사용하는 체결부품으로 수직, 수평보강각관(10, 20) 내부로 소요부재를 끼움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덧댄 후에 리벳트(3)와 끼움되는 스톱퍼(4), 외지 핀(9), 볼트와 넛트, 나사못, 경사의 스릿형 활주판의 슬라이드구조와 스넵고정 등의 일반적인 체결로 간단히 수행 할 수 있는 내부로 끼움 또는 외부에 덧댄 여러 형상의 체결/ 고정하는 체결구조가 포함되며 통상체결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좌측의 외부모서리(6)와 우측의 내부모서리(7) 조립준비상세의 입면 사사도와 하측 평면도이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을 무 용접의 리벳트(3)와 끼움되는 스톱퍼(4)체결로 뒤틀림변형 없는 대형화조립을 완성 할 수 있는 조립성도 중요하지만 변형과 손상이 없는 신속, 간결한 해체 및 재조립시 규격변화구조가 더 중요하므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전해체 할 때까지 한번 조립과 시공 후 해체하는 부위와 매층 조립과 해체를 반복해야하는 부위로 구분하여 한 현장에서 한 번의 조립과 시공 후 해체부위의 조립은 리벳트(3)와 끼움되는 스톱퍼(4)체결하며, 매층 조립과 해체를 다수 반복해야하는 부위의 조립은 리벳트(3) 몸체장공에 끼움되는 외지 핀(9)체결구조로 체결 대형조립거푸집(100) 외부모서리ㄱ-형강(6)과 내부모서리ㄱ-형강(7)조립구조.
도 4는 대형거푸집의 수직상승(탈형) 중복쐐기형상 체결구조 상세도이다.
상기 중복쐐기형상의 수직보강각관(10)의 중복결합보다는 거푸집강판(30)의 수직단부를 이중직각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동일경사각을 갖는 중복쐐기형상으로 조립되는 거푸집강판(30)의 동일경사각을 갖는 중복쐐기형상의 이중직각의 단부를 리벳트(3)와 끼움되는 스톱퍼(4)로 간결하고 명확한 체결구조로 하향쐐기 형상 ㄱ-형 대형거푸집(100)을 상부로 상승(탈형)특성을 갖는 구조이다.
도 5는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수평이동 볼케스터 취부구조도(50a) 수평이동구현도(50b) 분해구조도(50c)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강판(30)면의 이물질제거 청소가 필요 할 때는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수평이동이 필요하게 되는데 인양장비의 지원이 없이도 수월하게 수평이동하는 볼케스트(50)을 대형조립거푸집(100)의 후면하단의 ㄱ-형강수평보강재(1)에 취부 원터치조작 구조로 간편하게 활용한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 후면하단의 ㄱ-형강수평보강재(1)에 취부하는 원터치 볼케스트(50)의 구조는 이중의 원형관으로 내관의 양측에는 돌기 혹을 갖추고 있으며 ㄱ-형강수평보강재(1) 관통 상부는 스프링 끼움 구조이고 내관 상부내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볼트체결 볼트 두부로 스프링의 이탈을 제어한다.
상기 수평이동용 볼케스트(50) 외관의 하단은 내부관의 양측의 돌기 혹이 상승하여 들어 갈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상기 외관의 상부외측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넛트체결로 ㄱ-형강수평보강재(1) 천공부위로 끼움되 그 상부의 넛트를 체결/ 고정하므로 대형조립거푸집(100)과 수평이동용 볼케스트(50)를 일체화한다.
상기 수평이동용 볼케스트(50)는 벽체 조립 시에는 슬래브상면에 이동 볼의 높이가 일치하나 대형조립거푸집(100)을 상승하며 볼케스트(50) 상부의 볼트를 누르면서 90°회전하면 내관의 양측의 돌기 혹이 외관 하단부에 턱 걸림 되어 중량의 대형조립거푸집(100) 상승상태(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구조이고,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상승을 해제할 때는 다시 90°를 회전하면 스프링 탈력에 의하여 수평이동용 볼케스트(50) 원상태회복으로 상승이격거리 소멸 되는 구조.
도 6은 대형조립거푸집(100)틀 조립 거푸집강판(30) 취부 전 상승인양(탈형) 사시도이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은 대형조립상태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듯 상승 탈형(해체)하기 위하여 하향쐐기와 상향쐐기의 양면이 마주한 중복쐐기 대형조립거푸집(100)의 수직단부면 체결구조로 상기 중복쐐기구조로 일정의 동일경사각을 갖는 하향쐐기구조와 상향쐐기구조의 중복으로 분리와 재조립구조 하향쐐기 ㄱ-형상의 대형거푸집(2-판넬)을 먼저 일정높이로 올려고, 잔존 상향쐐기 ㄱ-형상의 대형거푸집(2-판넬)을 연이어 올려서 유효공극 확보로 4-판넬 동시 탈형의 상, 하향중복쐐기형상의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100)구조도(거푸집 강판의 취부 생략)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의 내부 칸막이 벽체 시공을 위한 대형조립거푸집 조립 및 설치와 탈형(상승)작업에서 슬래브에 설치되는 대형 강판거푸집은 수직보강각관과 수평보강각관이 상호 평면교차 연결되어 목표구조물을 축조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대형조립거푸집 강판과 보강각관의 전기용접 조립 시 발생하는 열에의 한 철재변형을 억제하는 리벳트에 끼움되는 스톱퍼 체결구조이다.
상기 대형조립거푸집의 종단결합단면은 거푸집철판을 ㄱ-형으로 맞대도록 철판을 이중 직각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동일경사각을 갖는 중복쐐기형상의 조립구조로 하향쐐기 형상 ㄱ-형 대형조립거푸집을 상부로 상승(탈형)특성으로 손쉽게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ㄱ-형 대형조립거푸집 하단취부 수평이동용 볼케스트(50)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수평이동을 구사하는 구조이다.

Claims (4)

  1. 철근콘크리트조 공동주택구조물 중에 내부벽체시공을 위한 대형조립거푸집의 방입/ 조립/ 설치/ 상승탈형/ 재활용을 위한 완전분해/ 재조립 반복구조.
    전면의 거푸집강판과 후면하단의 ㄱ-형강수평보강재와 상단수평보강제에 수 직, 수평보강각관 등으로 조립된 ㄱ-형상쐐기단면의 조립구조를 이루고 후면의 ㄱ-형강하단수평보강재는 슬래브위에 설치되고 ㄱ-형강상면은 수직보강각관과 수평보강각관 단부교차연결부에 전기용접 열에의 한 철재의 수축변형을 배제하고 대형조립거푸집의 평탄도와 콘크리트 타설 진동에의 한 풀림방지 및 완전분해, 재조립용도의 리벳트에 끼움되는 스톱퍼 또는 리벳트 장공에 끼움되는 외지 핀 체결의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및
    상기 대형조립거푸집의 맞댄 결합부위는 겸침 절곡의 동일경사각을 갖는 하향, 상향의 중복쐐기(분리/ 재조립)구조로 하향쐐기 ㄱ-형상의 대칭대형거푸집(2-판넬)을 먼저 일정높이로 올려며, 잔존 상향쐐기 ㄱ-형상의 대칭대형거푸집(2-판넬)을 연이어 올려 유효공극 확보로 4-판넬 동시 탈형의 상, 하향중복쐐기형상의 일체화 탈형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의 수평, 수직보강각관의 동일 평면상 수직의 보강각관에 수평각관을 맞대기 체결 할 때에 사용하는 체결부품으로 보강각관 내부로 끼움하는 각관, 또는 C-형강, ㄱ-형강, 프레스끼움재 등의 천공부로 리벳트와 끼움되는 스톱퍼 및 리벳트에 직각끼움되는 외지핀, 볼트와 넛트, 나사못, 경사 스릿형 활주판의 슬라이드와 스넵고정 등의 일반적인 체결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의 수평, 수직보강각관의 동일 평면상 수직의 보강각관에 수평각관을 맞대기 체결 할 때에 사용하는 체결부품으로 보강각관단부의 외부로 덧취부 평철, 또는 C-형강, ㄱ-형강, 프레스부재 등의 천공부로 리벳트와 끼움되는 스톱퍼 및 리벳트에 직각끼움 외지핀, 볼트와 넛트, 나사못, 경사 스릿형 활주판의 슬라이드와 스넵고정 등의 일반적인 체결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무 용접 ㄱ-형상의 대형조립거푸집평면상 삼각구도로 후면하단 수평보강ㄱ-형강재에 원터치식 승강 볼케스터를 설치하여 수직자립상태의 구도를 형성하므로 ㄱ-형상 대형조립거푸집을 자유로운 수평이동을 구사하는 볼케스터 일체화 삼각구도형상 구조.
KR1020060093350A 2006-09-26 2006-09-26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Ceased KR20060107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50A KR20060107977A (ko) 2006-09-26 2006-09-26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350A KR20060107977A (ko) 2006-09-26 2006-09-26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77A true KR20060107977A (ko) 2006-10-16

Family

ID=3762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50A Ceased KR20060107977A (ko) 2006-09-26 2006-09-26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9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99A (zh) * 2010-09-06 2011-05-25 无锡圣泰建筑模板有限公司 一种阴角模板
CN108560913A (zh) * 2018-05-28 2018-09-21 席玉林 快装组合模板
KR102187442B1 (ko) * 2020-06-05 2020-12-07 박영수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 양생용 거푸집
IL295429A (en) * 2022-08-07 2023-05-01 Sba Metal Works Ltd Modular formwork
CN117584255A (zh) * 2024-01-08 2024-02-23 安徽金鹏绿色建筑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立柱模块及安装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99A (zh) * 2010-09-06 2011-05-25 无锡圣泰建筑模板有限公司 一种阴角模板
CN108560913A (zh) * 2018-05-28 2018-09-21 席玉林 快装组合模板
KR102187442B1 (ko) * 2020-06-05 2020-12-07 박영수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 양생용 거푸집
IL295429A (en) * 2022-08-07 2023-05-01 Sba Metal Works Ltd Modular formwork
IL295429B1 (en) * 2022-08-07 2025-02-01 Sba Metal Works Ltd Casting mold
CN117584255A (zh) * 2024-01-08 2024-02-23 安徽金鹏绿色建筑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立柱模块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CN201635388U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
KR20130139627A (ko)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강판 전단벽 구조
CN101839061A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KR20100123232A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보시공용 판넬
KR20130049041A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060107977A (ko) 무 용접 대형조립거푸집
KR20180089806A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80001874U (ko) 기둥 거푸집
CN211396109U (zh) 一种钢管柱组合墙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JP2004092154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その構築方法
JP6037114B2 (ja) 型枠
CN115492374A (zh) 一种梁柱节点模板加固结构及施工方法
KR20150120779A (ko) 철골 일방향 수평구조 프레임용 브라켓
WO2023098310A1 (zh) 一种叠合板
CN211286657U (zh) 一种剪力墙模板与楼板模板的转角支撑结构
KR100812250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CN218265122U (zh) 一种消防连廊底部支撑装置
CN114277994A (zh) 新型铝模型材、钢筋桁架楼承板安装体系及安装方法
JP7156885B2 (ja)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CN108412191B (zh) 一种变形缝双重剪力墙模板装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