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784B1 - 배수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784B1
KR100892784B1 KR1020070060672A KR20070060672A KR100892784B1 KR 100892784 B1 KR100892784 B1 KR 100892784B1 KR 1020070060672 A KR1020070060672 A KR 1020070060672A KR 20070060672 A KR20070060672 A KR 20070060672A KR 100892784 B1 KR100892784 B1 KR 10089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ixture
fixing
fixing device
diame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005A (ko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102007006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78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양측으로 분할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은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내경 및 외경측의 적어도 일부에 신축가능한 신축요홀이 구비되며, 외경측에 슬리브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슬리브 및 배수관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형태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신축요홀, 돌기부, 슬리브, 배수관

Description

배수관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DRAIN PIPE}
도1a,b는 각각 종래의 배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6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고정구 155...신축요홀
213...고정홈 231...브라켓
235...고정밴드 300...위치결정구
500...배관
본 발명은 배수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분 할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은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내경 및 외경측에 선택적으로 신축가능한 신축요홀이 구비되며, 외경측에 슬리브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슬리브 및 배수관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형태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을 건축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 층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나 옥상에서 모여진 우수를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이 각층의 수평 슬라브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관은 슬라브의 일정 위치에 소정의 연통공을 형성시킨 다음 이들 연통공을 통해 배수관을 수직하게 설치 고정하게 된다.
이때, 배수관을 층간 슬라브의 연통공에 각기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해야지만 배수관의 훼손 방지 또는 오폐수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슬라브의 연통공 주위에 지지프레임을 앵커보울트를 통해 고정시킨 다음 U자형 볼트를 통해 배수관을 감싸도록 한 후 볼트의 단부를 지지프레임에 너트결합시키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공이 동일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고 소정의 공차를 발생하게 되면, 하층 슬라브의 연통공과 상층 슬라브의 연통공이 그 위치를 달리하게 되어 배수관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등록 제566931호 에 상수파이프 고정구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b에서와 같이, 층간 슬라브(1)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상단측 내주면에는 소정구간에 걸쳐 제1나사부(10a)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구 몸체(10)와; 상수 파이프(100)의 위치 지지를 위해 상기 고정구 몸체(10)의 제1나사부(10a)에 나합체결이 이루어져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구경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부(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짐과 함께 외주면상에 제2나사부(11a)가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 지지체(11); 및, 상기 내부 지지체(11)의 절개부 형성부위를 조여주기 위해 오링(15)을 개재하여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결합캡(12);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수파이프 고정구는, 고정구가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에 배관을 항상 삽입한 후 작업하여야 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결합캡(12)의 결합완료 후 내부지지체가 배관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장착시간이 증가되며, 고정구몸체(10)와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다른 규격의 고정구몸체(10)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슬라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수관의 시공작업시 편리성을 제공함과 함께 배수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리브의 직경에 상관없이 고정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관과 고정구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면서 그 밀착성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고정구의 내경측에 배관을 최대한 밀착시키도록 하는 배 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분할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은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내경 및 외경측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신축가능한 신축요홀이 구비되며, 외경측에 슬리브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배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경측에 슬리브에 밀착되는 장착요홀 및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분할되는 고정구에 각각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으로 이루어 지며, 고정구에 각각 돌출되면서 볼트공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대응되어 지지되는 금속재의 고정밴드로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밴드는 걸림편이 각각 돌출되어 브라켓의 밀착홈에 지지되는 배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의 내경측에 편심 또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위치결정구가 삽입되며, 저면에 보온재가 삽입되는 배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결정구는, 분할되는 구성으로 그 양단에 단부를 향하여 양단이 점차로 축소되는 두께를 갖는 오버랩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고정구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5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위치결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고정구(150)는, 배관(500)의 외경측에서 감싸 지지토록 양측으로 분할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200)은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제1고정구(150A)와 제2고정구(150B)로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50)는, 그 내경 및 외경측의 적어도 일부에 신축가능한 신축요홀(155)이 구비되며, 외경측에 슬리브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57)가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고정구(150)는, 외경측에는 벽체(C)에 고정되는 슬리브(400)에 지지토록 장착요홀(153)및 지지턱(151)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00)은, 분할되는 고정구(150)에 각각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11)와 고정홈(213)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고정구(150)에 각각 돌출되면서 볼트공(231-1)이 형성되는 브라켓(231)과 상기 브라켓(231)에 대응되어 지지되는 금속재의 고정밴드(235) 및 이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37)로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235)는 걸림편(235-1)이 각각 돌출되어 브라켓(231)의 밀착홈(231-5)에 지지된다.
더하여, 상기 고정구(150)는, 그 내경측에 편심 또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위치결정구(300)가 삽입되며, 저면에 보온재(35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구(300)는, 분할되는 구성으로 그 양단에 단부를 향하여 양단이 점차로 축소되는 두께를 갖는 오버랩면(3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150)는, 양측으로 분할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200)은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 배관(500)을 그 외경측에서 용이하게 감싸 지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50)는 그 내경 및 외경측의 적어도 일부에서 신축가능한 신축요홀(155)이 구비되어 그 내경측에 위치하는 배관(500)의 직경에 대응되어 신축요홀을 따라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고정구가 배관에 긴밀하게 밀착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50)는 그 외경측 둘레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C)에 고정되는 슬리브(400)에 삽입될 때 어느정도의 슬리브 직경에는 용이하게 밀착토록 되고, 상기 슬리브의 직경이 적을 경우 상기에서 설명드린 신축요홀이 수축되면서 배관과 더욱 긴밀하게 밀착된다.
더하여, 상기 벽체(C)에 고정되는 슬리브(400)의 상단 및 그 내경측이 고정구(150)에 형성되는 장착요홀(153)및 지지턱(151)에 각각 지지되어 슬리브를 통하여 고정구(150)가 하향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00)은, 분할되는 고정구(150)에 각각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11)를 고정홈(213)에 삽입하는 구성을 통하여 양측의 고정구(150) 가 각각 연결토록 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토록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고정구(150)에 각각 돌출되면서 볼트공(231-1)이 형성되는 브라켓(231)과 상기 브라켓(231)에 대응되어 지지되는 금속재의 고정밴드(235) 및 이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37)로서 이루어 져 고정밴드(235)에 형성되는 걸림편(235-1)을 브라켓(230)의 밀착홈(231-5)에 절곡시키는 구성으로 고정밴드를 고정구(150)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31)에 고정볼트(237)를 체결하면 금속재의 고정밴드에 의해 그 결합력을 증가시켜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235)는 걸림편(235-1)을 절곡하는 구성으로 고정구의 둘레 및 브라켓(231)에 밀착되어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된다.
더하여, 상기 고정구(150)는 그 내경측에 편심 또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위치결정구(300)가 삽입되면서 고정구의 저면에 보온재(350)가 삽입되어 고정구의 내경측에 삽입되는 배관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50)는, 저부에 내경측으로 테이퍼지는 경사면(157)이 형성되어 슬리브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구(300)는, 분할되는 구성으로 그 양단에 단부를 향하여 양단이 점차로 축소되는 두께를 갖는 오버랩면(310)이 일체로 형성되어 편심되는 별도의 위치결정구를 준비하지 않아도 양단의 상호 오버랩시키면 편심토록 되어 배관의 일정위치에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관 고정구는, 층간 슬라브를 통과하며 설치되는 배수관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의 설치작업이 한층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배수관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보온재의 삽입에 따른 내부 보온층을 이룰 수 있게 되어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신축요홀 및 돌기부를 고정구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구비함으로 설치작업시 일정범위 이내의 배관은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접촉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200)을 통하여 양측으로 분할되는 고정구(150A)(150B)가 상호 연결되어 배관(500)을 외경측에서 감싸 지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경 및 외경측의 적어도 일부에 신축가능한 신축요홀(15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의 외경측에는 슬리브(400)의 내경측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157)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벽체(C)에 고정되는 슬리브(400)에 지지토록 장착요홀(153)및 지지턱(15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0)은, 분할되는 고정구에 각각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11)와 고정홈(213),
    상기 고정구의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면서 볼트공(231-1)이 형성되는 브라켓(231)과,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37)로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분할되는 양측 고정구(150A)(150B)가 결합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211)와 함몰되는 고정홈(213)으로서 결합될 때 각 고정구(150A)(150B)의 둘레를 감싸면서 그 양단이 브라켓(231)에 대응되어 지지되도록 금속재의 고정밴드(235)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밴드(235)는, 걸림편(235-1)이 각각 돌출되어 브라켓(231)에 형성되는 밀착홈(231-5)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배관의 삽입시 배관을 지지토록 그 내경측에 편심 또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위치결정구(300)가 더 삽입되며, 상기 배관에 삽입되는 고정구의 저면에는 보온재(350)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300)는, 분할가능토록 일측이 절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300)는, 분할되는 양단에 단부를 향하여 양단이 점차로 축소되는 두께를 갖는 오버랩면(31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고정장치
KR1020070060672A 2007-06-20 2007-06-20 배수관 고정장치 KR10089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72A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7-06-20 배수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672A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7-06-20 배수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005A KR20080112005A (ko) 2008-12-24
KR100892784B1 true KR100892784B1 (ko) 2009-04-15

Family

ID=4037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672A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7-06-20 배수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66A1 (ko) * 2019-12-19 2021-06-24 (주)워터풀 입상 배관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43B1 (ko) * 2009-11-05 2012-02-22 한국콘트롤공업 주식회사 가스배관 기기의 연결을 위한 피팅기구
KR101951868B1 (ko) * 2017-06-12 2019-02-25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62Y1 (ko) 2000-06-09 2001-01-15 주식회사영진공영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31230Y1 (ko) 2003-05-09 2003-10-2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89191Y1 (ko) 2005-04-04 2005-07-08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421549Y1 (ko) 2006-05-02 2006-07-13 박상신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KR200426257Y1 (ko) 2006-04-18 2006-09-18 최점수 상수파이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62Y1 (ko) 2000-06-09 2001-01-15 주식회사영진공영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31230Y1 (ko) 2003-05-09 2003-10-2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89191Y1 (ko) 2005-04-04 2005-07-08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426257Y1 (ko) 2006-04-18 2006-09-18 최점수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421549Y1 (ko) 2006-05-02 2006-07-13 박상신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66A1 (ko) * 2019-12-19 2021-06-24 (주)워터풀 입상 배관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005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67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1401676B1 (ko) 입상관 고정구
KR20090001385U (ko)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RU2012157551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ана
KR100952314B1 (ko)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100900192B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100010826U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장치
KR20090078535A (ko) 루프드레인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JP3695656B2 (ja)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KR200386846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788022B1 (ko) 배수관 고정구
KR200358888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관커버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458928Y1 (ko) 배관의 긴밀한 고정을 위한 씽크관통슬리브 덮개
KR200383150Y1 (ko) 오수관 겸용 세면기 수전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