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49Y1 -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 Google Patents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49Y1
KR200421549Y1 KR2020060011799U KR20060011799U KR200421549Y1 KR 200421549 Y1 KR200421549 Y1 KR 200421549Y1 KR 2020060011799 U KR2020060011799 U KR 2020060011799U KR 20060011799 U KR20060011799 U KR 20060011799U KR 200421549 Y1 KR200421549 Y1 KR 200421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duct
fixing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신
Original Assignee
박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신 filed Critical 박상신
Priority to KR2020060011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 건물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슬라브에 형성된 덕트 형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배관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고정틀을 입상배관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고정틀을 덕트 성형관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두 조각으로 이루어진 밴드체의 외측으로 플렌지를 형성하여 고정틀을 형성하되 상기 밴드체의 일측은 힌지로 결합되게 하고, 타측에서 체결볼트로 밴드체를 입상배관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플렌지의 하부에는 덕트 성형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받침턱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의 하측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덕트 성형관의 고정돌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된 후 고정돌기 걸림턱에 걸려지게 함으로서 이루어 지는 것으로, 고정틀의 조립과 덕트 성형관으로의 고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입상배관, 고정틀, 덕트 성형관, 힌지결합

Description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Fixing frame for standing piping fixing}
도 1은 기존의 배관 고정틀 분해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배관 고정틀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고정틀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고정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고정틀을 약간 벌린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고정틀의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 고정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덕트 성형관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 덕트 성형관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 덕트 성형관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고정틀과 덕트 성형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틀 110,111 : 밴드체
120,121 : 플렌지 130 : 힌지
140 : 체결볼트 150 : 받침턱
160 : 고정돌기 170 : 패킹
200 : 덕트 성형관 210 : 고정돌기 걸림턱
220 : 고정돌기 삽입홈
본 고안은 다층 건물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슬라브에 형성된 덕트 형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배관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고정틀을 입상배관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고정틀을 덕트 성형관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입상배관 고정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고정틀(20)은 크게 두 조각으로 나누어져 입상배관에 결합되는 것으로, 입상배관(11)의 외측에 닿게 되는 밴드체(21)(21a)의 외측으로 플렌지(22)(22a)를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플렌지(22)(22a)에는 장홈의 볼트 체결홈(26)(26a)(27)(27a)을 형성하되 두 개의 볼트 체결홈(26)(26a))은 고정틀(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평으로 볼트 체결홈(23)(23a)을 형성시켜 체결볼트(24)(24a)를 끼워 너트(25)(25a)로 고정틀(20)을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밴드체(21)(21a)와 입상배관(11) 사이에는 고무패드(30)(30a)를 끼우되 상기 고무패드(30)(30a)는 상하측에 형성된 끼움턱(31)(31a)(32)(32a)에 의해 밴드체(21)(21a)에 끼워져 입상배관(11)을 싸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틀(20)은 덕트 성형관(40)의 체결구(50)에 앵커볼트(7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고정틀(20)은 두 조각의 밴드체(21)(21a)를 이용하여 입상배관(11)을 고정시키게 되고, 두 조각의 밴드체(21)(21a)는 체결볼트(24)(24a)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고정틀(20)의 밴드체(21)(21a)가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보관이나 고정 설치가 쉽지 않으며, 또한 덕트 성형관(40)에 앵커볼트(7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고정틀(20)을 덕트 성형관(40)에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고정틀(20)의 위치를 수평 상태로 회전시킬 경우 장홈의 볼트 체결홈(26)(26a)(27)(27a)을 이용하여 고정틀(2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고정틀(2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앵커볼트(70)를 풀고 고정틀(20)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앵커볼트(70)를 고정시켜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덕트 성형관(40)에 끼워진 입상배관(11)에 고정틀(20)을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틀(20)을 덕트 성형관(40)에 고정시키는 기존의 고정틀(20)은 조립 설치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본 고안은 입상배관을 덕트 성형관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두 조각의 밴드체를 힌지로 결합되게 하여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밴드체의 하부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키고 덕트 성형관에는 고정돌기 삽입홈과 내측으로 고 정돌기 걸림턱을 형성시켜 밴드체의 고정돌기를 덕트 성형관에 밀어 넣은 후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두 조각으로 이루어진 밴드체의 외측으로 플렌지를 형성하여 고정틀을 형성하되 상기 밴드체의 일측은 힌지로 결합되게 하고, 타측에서 체결볼트로 밴드체를 입상배관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플렌지의 하부에는 덕트 성형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받침턱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의 하측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덕트 성형관의 고정돌기 삽입홈을 통하여 삽입된 후 고정돌기 걸림턱에 걸려지게 함으로서 이루어 지는 것으로, 고정틀의 조립과 덕트 성형관으로의 고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층건물의 슬라브에 고정되는 덕트 성형관(40)의 내측에 위치하는 입상배관(11)을 덕트 성형관(200)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틀(100)에 관한 것으로, 고정틀(100)로 입상배관(11)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고정틀(100)을 덕트 성형관(2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틀(100)은 입상배관(11)의 외측에 닿게 되는 밴드체(110)(111)의 외측으로 플렌지(120)(121)를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밴드체(110)(111)의 일측은 힌지(130)로 결합되게 되며, 상기 밴드체(110)(111)의 타측은 체결홈(141)에 체결볼트(14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밴드체(110)(111)의 결합 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힌지(130)는 밴드체(110)(111)에 형성된 힌지고리(120a)(121a)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고, 체결볼트(140)가 끼워지는 밴드체(110)(111)에는 끼움돌기(101)를 형성시켜 체결이 견고히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체결볼트(140)는 체결홈(141)에 끼워지지 않고 체결구멍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밴드체(110)(111)의 서로 결합시키는 힌지(130)가 형성된 부위에는 열선 삽입홈(131)이 형성되어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이 입상배관(11)을 감싼 형태로 설치될 때 고정틀(100)에서 눌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틀(100)을 구성하는 플렌지(120)(121)의 하부에는 받침턱(150)을 일정 높이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받침턱(150)에는 하측으로 수 개의 고정돌기(160)를 형성시키며, 상기 받침턱(150)은 덕트 성형관(200)의 내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돌기(160)는 4개 정도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고정틀(100)이 끼워져 결합되는 덕트 성형관(200)은 슬라브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 성형관(200)은 상측에서 일정 깊이에 고정돌기 걸림턱(210)를 형성하여 덕트 성형관(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고정틀(100)의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기 덕트 성형관(200)의 상측에는 고정돌기 걸림턱(210)까지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형성시켜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통하여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며,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통하여 끼워진 고정돌기(160)는 완전히 삽입된 후 일측으로 약간 돌려주 면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고정틀(100)과 덕트 성형관(200)의 상부에는 패킹(170)을 위치시켜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슬라브 상단에 물이 고이더라도 덕트 성형관(200)을 타고 하부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고정틀(100)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먼저 덕트 성형관(200)을 슬라브)에 고정시켜야 하며, 덕트 성형관(200)을 슬라브에 내장시킴으로서 입상배관(11)이 덕트 성형관(200)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덕트 성형관(200)에는 상부에서 일정 길이를 두고 고정돌기 걸림턱(210)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 걸림턱(210)에는 고정돌기(160)가 끼워져 걸쳐지게 되며, 덕트 성형관(200)의 상부에서 고정돌기 걸림턱(210) 까지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형성시켜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통하여 빠지거나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고정돌기(160)를 끼울 때는 굳이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이용하지 않고 덕트 성형관(200)의 상부에 대고 눌러주면 고정돌기(160)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끼워지게 된다.
덕트 성형관(200)이 슬라브에 고정되고, 덕트 성형관(200)의 내측으로 입상배관(11)이 설치되면 상기 입상배관(11)을 고정틀(100)로 덕트 성형관(200)에 고정시켜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힌지(130)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밴드체(110)(111)를 벌려 입상배관(11)이 밴드체(110)(111)의 내부에 위치하게 한 후 밴드체(110)(111)를 오므려 체결볼트(140)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열선 삽입홈(131)을 밴드체(110)(111)에 형성시켜 고정틀(100)로 입상배관(11)을 고정시키더라고 입상배관(11)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이 상기 열선 삽입홈(131)을 통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열선이 압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틀(100)이 힌지(130)를 중심으로 밴드체(110)(111)가 결합된 상태로 놓이게 되어 기존과 같이 2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고정틀(100)을 이용한 고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틀(100)은 덕트 성형관(200)의 상부에 패킹(170)을 댄 후 그대로 덕트 성형관(200)을 향하여 강하게 밀어주면 결합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고정틀(100)을 하부로 밀게 되면 고정돌기(160)가 덕트 성형관(200)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끼워지게 되고 고정돌기(160)는 고정돌기 걸림턱(210)에서 원래 위치로 회복되면서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이와는 달리 고정돌기(160)가 덕트 성형관(200)의 고정돌기 삽입홈(220)에 끼워지게 한 후 고정틀(100)을 하부로 밀어준 상태에서 고정틀(100)을 일부 회전시키면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한편 한번 결합된 고정틀(100)을 빼내기 위해서는 체결볼트(140)를 풀어 밴드체(110)(111)가 입상배관(11)을 끼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후 고정틀(100)을 회전시켜 고정돌기(160)가 고정돌기 삽입홈(220)과 같은 위치가 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틀(100)을 들어 올리면 고정틀(100)이 덕트 성형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고정틀(100)이 덕트 성형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고정틀(100)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턱(150)이 덕트 성형관(200)의 내측에 맞닿게 되어 덕트 성형관(200)에서 밀리는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턱(150)은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거의 원형에 가깝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덕트 성형관에 입상배관을 고정시킨 고정틀을 간단히 끼워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입상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틀을 힌지로 결합시켜 사용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틀의 결합과 고정 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두 조각으로 이루어진 밴드체(110)(111)의 외측으로 플렌지(120)(121)를 형성하여 고정틀(100)을 형성하되 상기 밴드체(110)(111)의 일측은 힌지(130)로 결합되게 하는 한편 타측에서는 체결볼트(140)로 밴드체(110)(111)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플렌지(120)(121)의 하부에는 덕트 성형관(20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받침턱(150)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150)의 하측으로 고정돌기(16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60)는 덕트 성형관(200)의 고정돌기 삽입홈(220)을 통하여 삽입된 후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걸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2. 제1항에 있어서, 밴드체(110)(111)가 힌지(130)로 결합되는 내측에는 열선이 끼워지는 열선 삽입홈(131)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돌기(160)는 받침턱(150)에서 등 간격으로 4개가 하부를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160)는 덕트 성형관(20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돌기 걸림턱(210)에 걸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KR2020060011799U 2006-05-02 2006-05-02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KR200421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799U KR200421549Y1 (ko) 2006-05-02 2006-05-02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799U KR200421549Y1 (ko) 2006-05-02 2006-05-02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49Y1 true KR200421549Y1 (ko) 2006-07-13

Family

ID=4177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799U KR200421549Y1 (ko) 2006-05-02 2006-05-02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9-04-15 박점순 배수관 고정장치
KR100949079B1 (ko) * 2007-12-21 2010-03-2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KR101012275B1 (ko) 2008-04-29 2011-02-07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0490318Y1 (ko) 2019-05-02 2019-10-25 (주)워터풀 배관고정구에 한번에 결합조립되는 내화충전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9-04-15 박점순 배수관 고정장치
KR100949079B1 (ko) * 2007-12-21 2010-03-22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KR101012275B1 (ko) 2008-04-29 2011-02-07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0490318Y1 (ko) 2019-05-02 2019-10-25 (주)워터풀 배관고정구에 한번에 결합조립되는 내화충전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54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CN103835348B (zh) 排水塞连动装置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US20140116527A1 (en) Rough-In Adapter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110062890A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53608Y1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101166441B1 (ko) 건물의 배관 지지용 측면행거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397511Y1 (ko) 행거 조립체
KR200467285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CN104060778B (zh) 落水管安装结构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KR200396439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KR20060132153A (ko) 수도전 고정구
US9631761B1 (en) Toilet drain line cap
KR101354685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163911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200466523Y1 (ko) 전선관연결체
KR200385200Y1 (ko) 수목 지지대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JP5835666B2 (ja) 薄板製槽体の排水口における継手部材取付構造
KR200369237Y1 (ko) 비누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