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85Y1 -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85Y1
KR200467285Y1 KR2020120009436U KR20120009436U KR200467285Y1 KR 200467285 Y1 KR200467285 Y1 KR 200467285Y1 KR 2020120009436 U KR2020120009436 U KR 2020120009436U KR 20120009436 U KR20120009436 U KR 20120009436U KR 200467285 Y1 KR200467285 Y1 KR 200467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pipe
coupled
support bar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홍
Original Assignee
한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홍 filed Critical 한재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22Tools or apparatus for setting building elements with mortar, e.g. bricklay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주택 등 건축물의 공사에 있어 벽돌, 블록, 돌 쌓기 등의 조적 공사시 활용되는 조적용 서포트를 개량한 바, 전체적으로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동절기 단순한 충격에도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던 문제를 해결하며 기능은 도일하게 유지한 채 부품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조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는 금속재 메인파이프; 및상기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탄성수단,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서포트바,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서포트바가 바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금속재 서포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CONSTRUCTION SUPPORT IMPLEMENT FOR BRICK HOUSE}
본 고안은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주택 등 건축물의 공사에 있어 벽돌, 블록, 돌 쌓기 등의 조적 공사시 활용되는 조적용 서포트를 개량한 바,
전체적으로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동절기 단순한 충격에도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던 문제를 해결하며 기능은 도일하게 유지한 채 부품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조적 공사가 이루어지는 건물 공간의 바닥 및 천장과 양단이 접촉하여 지지의 주된 역할을 하는 사각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서포트의 바디를 원형파이프를 기본으로 제조하되 서포트의 바디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여 삽입고정부를 도입함으로써,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결합상태의 우수성까지 확보한 조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와 부류의 것으로서, 그 종래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9-0110021호(공개일자 2009년10월21일)의 “건축용 서포터”는 슬래브와 정밀한 간격조절이 가능하면서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슬래브의 하중 지지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편리하게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파이프, 제2파이프, 내부스토퍼, 외부스토퍼, 외부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스토퍼의 내주연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제2파이프의 외주연을 상기 가압돌기로 가압하여 슬래브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2파이프가 하중 전달 방향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가압돌기를 래칫 형상으로 형성하여 압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외부스토퍼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스토퍼를 보다 용이하게 이탈시켜 상기 제2파이프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캡의 회전력을 이용한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내부 스토퍼를 상기 외부스토퍼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그만큼 단가경쟁력에서 불리하며, 거칠게 자재를 다루는 건설현장에서 쉽게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0981455호(등록일자 2010년09월04일)의 “조적용 수전구 거치대”는 아파트나 주택 등을 건축시 세대내 수도관을 설치시 수도관과 연결되는 수전구의 수평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양측 수전구를 벽체에 매설하기 위해 수전구를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고정하는 조적용 수전구 거치대에 있어서, 사각파이프의 전면 하측에는 수전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쪽에 수전구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사각파이프의 하측에 양측면 내측으로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핀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핀이 설치된 하측 내부에 스프링과 가이드판을 삽입하고, 상기 사각파이프의 상단에 중앙에 홀이 형성된 파이프막음판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막음판의 홀을 통해 위치고정너트가 체결된 높낮이볼트의 상측이 끼워지게 높낮이조절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사각파이프에 내장되고 상단이 사각파이프에 박힌 고정핀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프링이 높낮이조절구와 중첩되지 않고 스프링 하단에 배열된 가이드판에 가로막혀 있는 상태여서 높낮이 조절에 따라 스프링이 안정되게 높낮이조절구를 탄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또 거치대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되므로 거칠게 자재를 다루는 건설현장에서 쉽게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0723542호(등록일자 2007년05월23일)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 해체시 거푸집 등의 자중에 의해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등록특허는 바닥에 놓여 지며 하단부에 높이조절수단이 결합된 지지대와 높이조절수단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에 선형의 지그재그형 관통공이 하단에서 상단까지 각각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고정바와; 상단부가 고정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바와 슬라이딩바의 상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와 링크에 관통 결합되며, 양 단부가 고정바의 두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는 슬라이딩 로드로 구성되어,
슬라브 거푸집 해체가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거의 없으며, 굴곡되는 데크 지지대와 함께 시스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따른 노동부하의 감소와 함께 시공비 절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그만큼 단가경쟁력에서 불리하며, 거칠게 자재를 다루는 건설현장에서 쉽게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원인으로 상품화되지 못한 기술에 해당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7328호(등록일자 2011년12월08일)의 “조적용 서포트”는 건축물의 벽돌, 블록, 돌 쌓기 등의 조적 공사시 수직면을 기준으로 하기 위하여 천장 슬라브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조적용 서포트의 파이프를 현장에 따라 지름이 다른 파이프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등록고안의 구성은
관 형상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중앙이 통공된 바닥면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 내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높이조절 볼트의 상부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높이조절 볼트의 외주면에 스프링이 끼워지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나선부와 조임 결합되도록 하부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부에는 결합봉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봉에는 높이에 따라 굵기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제 1 걸림 단턱과 제 2 걸림 단턱이 다 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의 상면에는 높이조절 볼트의 상부가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한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상부가 삽입되면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만큼만 나선부를 형성하여 높이조절 너트를 조임 체결하고, 하부에는 받침편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 볼트와;
상기 상부 몸체의 결합봉에는 제 1, 2 걸림 단턱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는 조적되는 벽돌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결합봉의 상면에 높이조절 볼트의 상부가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한 하부 또는 하부 몸체를 현실에서 제조하면서 합성수지(특히, PVC) 소재를 사용하여 특히 동절기에 특유의 취성특성으로 파손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로 인하여 현장 근로자들의 불만이 팽배한 상태이다.
또 조적 공사가 이루어지는 건물 공간의 바닥 및 천장과 양단이 접촉하여 지지의 주된 역할을 하는 사각 파이프와 결합되는 조적용 서포트를 전체적으로 사각으로 제조하여 단가상승을 초래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조적용 서포트는 사출물이거나 후가공(걸림단탁 형성)이 필요한 압출물이어서 단가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조적용 서포트의 높이조절시 높이조절 볼트를 일일이 회전시켜야 하므로 시공현장에서 사용하기에 크게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포트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서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서포트장치의 주요부분, 즉 서포트를 모두 금속재로 제조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조적용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속도가 단축되고 작업효율성이 높아지고,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이 메인파이프와 서포트의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삽입고정부가 바디의 일체형으로 형성하는데,
즉 조적 공사가 이루어지는 건물 공간의 바닥 및 천장과 양단이 접촉하여 지지의 주된 역할을 하는 사각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서포트의 바디를 원형파이프를 기본으로 제조하되 서포트의 바디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여 삽입고정부를 도입함으로써,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결합상태의 우수성까지 확보한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상단부의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삽입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된 메인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바디 내부에 위치해 있는 서포트바의 걸림부재가 맞닿아 상기 서포트바가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탄성수단과 서포트바의 이탈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메이파이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포트장치의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생산되는 것과 동시에 서포트바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바의 걸림부재가 서포트바와 일체로 결합하여 있어 탄성수단이 걸림부재에 받쳐 있어 메인파이프의 높낮이 조절로 서포트바가 하강할 때, 메인파이프가 바디에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보다 안정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즉 메인파이프를 수직면에 설치 시 압축되는 탄성수단은 서포트바의 탄성수단에 의하여 밀려올라가고, 공사가 끝난 후 해체 시에 다시 돌아오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서포트바가 밀려내려오면 바디의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서포트바의 이탈을 방지하며, 동시에 탄성수단을 지지하여 주어 별도의 연결부품 필요없이 하나의 걸림부재로 인하여 안정성과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별도 결합 및 해체 과정이 없어 건축물의 공사 시 조적작업의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서포트바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부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가 있어,
공사 현장에서의 수직면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는 암나사로 형성되어 암나사의 상부가 바디의 이탈방지부재의 하단과 맞닿아 탄력수단에 의하여 조절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메인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바디를 받쳐 고정시킬 수 있어, 탄성수단이 안정되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서포트의 안정성과 탄성수단의 내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바디 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의 정확하고 안전한 압착을 유도하여 천장의 슬라브나 조적물을 지지하여 정확한 수직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이 바디 내에서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기 위해 가이드부가 코일스프링에 내삽되어 진 서포트바를 갖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성수단 하단에 배열된 이탈방지부재에 가로막혀 있는 상태에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바디 내에 위치한 탄성수단의 정확하고 안전한 압착을 유도하여 천장의 슬라브나 조적물을 지지하여 정확한 수직면을 유지하여, 거칠게 자재를 다루는 거치대의 안정성을 높여 건설현장에서의 작업효율성을 높이는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수도관 설치 시 수전구를 고정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공사 완료 후 브라켓의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재활용도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메인파이프가 내삽되는 가이드슬리브와, 이 가이드슬리브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가이드슬리브를 메인파이프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수전구 설치구가 더 구비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메인파이프가 바디와 결합하여 바디와의 결합을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부재는 메인파이프보다 단면적이 더 커서 메인파이프가 바디와 결합하지 못하고 이탈하여도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메인파이프가 지지되어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메인파이프와 결합된 서포트가 천장의 슬라브나 조적물의 하중에 의하여 꽉 조여지는 현상으로 인해 결합된 부분이 너무 조여져서 잘 빠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 무리하게 외력을 가하여 서포트장치가 파손되거나,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빼려다 갑자기 분리되어 주위의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슬리브에는 대칭된 위치에 두 분리고리가 형성되고, 각 분리고리와 충돌하는 타격돌기와 상기 메인파이프가 수용되는 리세스를 갖는 웨이트와, 이 웨이트에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서포트 분리기구를 더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는
금속재 메인파이프; 및
상기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내장된 탄성수단,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서포트바,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서포트바가 바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금속재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의 바디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삽입고정부를 갖고, 상기 메인파이프는 사각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는 상기 바디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는 상기 서포트바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이며,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코일스프링에 내삽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는,
서포트의 주요부분, 즉 서포트를 모두 금속재로 제조하여 서포트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서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서포터에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이 메인파이프와 서포트의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삽입고정부가 바디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이로인하여 작업속도가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조적공사의 부실위험도 낮출 수 있다.
또한 조적 공사가 이루어지는 건물 공간의 바닥 및 천장과 양단이 접촉하여 지지의 주된 역할을 하는 사각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서포트의 바디를 원형파이프를 기본으로 제조하되 서포트의 바디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여 삽입고정부를 도입함으로써,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결합상태의 우수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단부의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삽입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된 메인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바디 내부에 위치해 있는 서포트바의 걸림부재가 맞닿아 상기 서포트바가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탄성수단과 서포트바의 이탈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메이파이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서포트장치의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생산되어 서포트가 내구성이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서포트바의 걸림부재가 서포트바와 일체로 결합하여 있어 탄성수단이 걸림부재에 받쳐 있어 메인파이프의 높낮이 조절로 서포트바가 하강할 때, 메인파이프가 바디에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보다 안정된 지지를 할 수 있도록
즉 메인파이프를 수직면에 설치 시 압축되는 탄성수단은 서포트바의 탄성수단에 의하여 밀려올라가고, 공사가 끝난 후 해체 시에 다시 돌아오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서포트바가 밀려내려오면 바디의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서포트바의 이탈을 방지하며, 동시에 탄성수단을 지지하여 주어 별도의 연결부품 필요없이 하나의 걸림부재로 인하여 안정성과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별도 결합 및 해체 과정이 없어 건축물의 공사 시 높은 작업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서포트바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공사 현장에서의 수직면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는 암나사로 형성되어 암나사의 상부가 바디의 이탈방지부재의 하단과 맞닿아 탄력수단에 의하여 조절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메인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바디를 받쳐 고정시킬 수 있어, 탄성수단이 안정되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서포트의 안정성과 탄성수단의 내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견고한 서포트로 인하여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보장할 수 있고,
또 바디 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이 바디 내에서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기 위해 가이드부가 코일스프링에 내삽되어 진 서포트바로 구성되어 있어 바디 내의 코일스프링이 정확하고 안전한 압착을 유도하여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아울러 탄성수단의 하단에 배열된 이탈방지부재에 가로막혀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바디 내에 위치한 탄성수단의 정확하고 안전한 압착을 유도하여 천장의 슬라브나 조적물을 지지하여 정확한 수직면을 유지하고, 거칠게 자재를 다루는 서포트의 안정성을 높여 건설현장에서의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메인파이프가 내삽되는 가이드슬리브와, 이 가이드슬리브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가이드슬리브를 메인파이프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수전구 설치구가 구비되어 있어 수도관 설치 시 수전구를 고정하여 정확하게 위치시켜 조적작업을 할 수 있고, 분리와 결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이 수전구 설치구 또한 금속재로 제작되어 겨울철 빙점이하의 온도로 인하여 브라켓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다시 장착하여 쓸 수 있어 제작기간과 공사비용 등이 감소되어 보다 능률적인 작업환경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부재는 메인파이프보다 단면적이 더 커서 메인파이프가 천장과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탄성수단이 탄성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때 메인파이프가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고, 특히 서포트바의 걸림부재가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 서포트바의 이탈도 동시에 방지하여 준다.
아울러 상기 메인파이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가이드슬리브에는 대칭된 위치에 두 분리고리가 형성되고, 각 분리고리와 충돌하는 타격돌기와 상기 메인파이프가 수용되는 리세스를 갖는 웨이트와, 이 웨이트에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서포트 분리기구를 더 포함되어 있어,
메인파이프와 결합된 서포트가 천장의 슬라브나 조적물의 하중에 의하여 꽉 조여지는 현상으로 인해 결합된 부분이 너무 조여져서 잘 빠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 무리하게 외력을 가하여 서포트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빼려다 갑자기 분리되어 주위의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위험성을 감소하여 서포트장치의 내구성과 작업환경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용 서포트장치 중 탈착 보조부를 갖는 변형된 바디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적용 서포트장치에서 서포트 분리기구가 더 부가된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S)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특정하면,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단 및 상단을 정하고,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S)는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금속재 메인파이프(10), 금속재 서포트(20)로 이루어지고, 메인파이프(10)에 서포트(20)를 결합하는 용도 등의 기능을 하는 바디(21)를 통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적이 진행되는 건축물의 높이, 구체적으로 바닥 및 천장 사이의 거리, 일반화하여 본 서포트장치(S)가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사이의 거리에 맞게 서포트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주된 길이를 차지하는 메인파이프(10)(예:1~2.5m)가 조적이 진행되는 건축물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거리 보다 짧고,
동일한 건축물에서도 미세하게 차이가 있는 거리에도 불구하고
상기 서포트(20)는 서포트장치(S)가 안정되고 긴장된 상태로, 그리고 범용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트(20)는 상기 바디(21) 내에 탄성수단, 특히 코일스프링(22)이 내장되고, 이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서포트바(23)가 바디(21)에 장착된다.
이 서포트바(23)는 탄력적으로 바디에 대하여 노출 정도가 조절되고, 메인파이프(10)의 일단에 결합된 바디(21)를 갖는 서포트(20)는
서포트바(23)가 조적이 진행되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천정, 또는 이 둘 모두와 접촉하고,
메인파이프(10)의 타단이 천정 또는 바닥에 접촉(서포트가 메인파이프 양단에 구비된 경우에는 메인파이프는 천정이나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하게 되어
결국 서포트장치는 조적 용도로 사용되거나
수전구 설치용도로 활용시 수전구 설치 높이 등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하도록 하는 수전구 설치구(30)가 구비된 경우
조적이 진행되는 건축물의 바닥 및 천장 사이에 꼭 맞게, 안정되고 긴장된 상태로, 그리고 범용성을 보장하여 안정된 조적 공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파이프(10)는 시장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면서 수전구 설치구(30) 등의 조적 공사용 보조기구가 특정방향으로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평단면 형상이 사각, 특히 정사각형인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포트의 바디는 이에 맞게 메인파이프(10)에 내삽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탄성수단, 즉 코일스프링을 내장하고, 또 여기에 서포트바(23)의 가이드부(23c)가 내장 결합되어야 하는데, 서포트바의 안정된 탄지와 제조용이성, 단가경쟁력 등 측면에서 서포트(20)의 바디(21), 코일스프링, 서포트바는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여
메인파이프의 필요사양과 서포트의 필요사양이 상충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메인파이프(10)는 평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원래의 것을 사용하고, 서포트(20)의 바디(21)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채용하면서, 하단, 즉 메인파이프 결합부위를 사각형으로 가공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따라서 서포트(20)의 바디(21)는 원형파이프를 기본으로 제조하여 상부의 주요부분은 삽입안내부(21b)(도 3 참조)를 구성하고,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외면 상부의 평단면 형상이 각 모서리가 라운드 진 사각형이고, 외면 상단의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고정부(21a)를 가져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삽입고정부(21a)의 외면 상단부터 내삽되어 점차적으로 억지끼움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하단에서 꼭맞음이 이루어져 임의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하여,
결국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결합상태의 우수성까지 확보한 내구성이 향상된 서포트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파이프(10)는 여러 가지 종류의 길이로 구성되어 있지만 메인파이프(10)가 삽입고정부(21a)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10)는 억지끼움에 의하여 바디(21)의 삽입고정부(21a) 결합되도록 상호 같은 사각형의 모양을 갖고, 또한 메인파이프(10)의 단면적이 종류별로 다르다 하여도 상기 금속재 파이프의 한 부분은 바디(21)의 삽입고정부(21a)와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금속재 메인파이프(1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소재는 강철과 같은 금속재 등으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재 서포트(20)는 바디(21), 탄성수단, 특히 코일스프링(22), 서포트바(23), 고정부재(24)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파이프(10)와 마찬가지로 같은 소재로 강철과 같은 금속재 등으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 서포트(20)로 인하여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천장을 지지하여 수직면을 맞출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안전성과 작업속도를 향상시켜 완공이 빨라 결과적으로는 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재 메인파이프(10)와 결합할 수 있는 바디(21)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삽입고정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고정부(21a)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각형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바디(21)는 외면 상단이 하단 삽입고정부(21a)와 연결되고 원형 평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안내부(21b)를 구성하고 있어 메인파이프(10)와 서포트(20)의 결합을 쉽고 용이하게 유도하고, 메인파이프(10)와 서포트(20)가 결합한 후 안정적으로 유지를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21a)보다 삽입안내부(21b)가 길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바디(21)와 메인파이프(10)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삽입고정부(21a)가 마모되어 메인파이프(10)가 삽입고정부(21a)와 분리되어 이탈하여도 삽입안내부(21b)가 보조지지대 역할을 하여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와의 완전 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조적 공사가 이루어지는 건물 공간의 바닥 및 천장과 양단이 접촉하여 지지의 주된 역할을 하는 사각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서포트의 바디를 원형파이프(이것이 상기 서포트의 바디는 외면 상단이 하부 삽입고정부와 연결되고 원형 평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안내부를 구성한다)를 기본으로 제조하되 서포트의 바디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여 삽입고정부를 도입함으로써,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부품간의 결합상태의 우수성까지 확보한 조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바디(21)는 삽입고정부(21a)를 포함하고, 코일스프링(22)과 서포트바(23)의 가이드부(23c)의 삽입공간을 제공하므로써 고정부재(24)에 의해 메인파이프(10)의 받침대 역할까지 하게 되어 복잡하지 않은 구성으로 제작이 쉽고 생산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사 시 효율성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21)는 서포트바(23)에 의하여 외력을 받은 코일스프링(2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면서 코일스프링(22)을 지지해주고, 또 가이드부(23c)의 노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 걸림방지부(21d)가 구성된다.
또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안적으로 가스, 압축공기, 진공과 같은 기체와 물, 기름과 같은 액체 등 탄성력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되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서포트바(23)는 코일스프링과 바디(21)에 내삽되는 가이드부(23c)와 함께 걸림부재(23a), 수나사부(23b), 지지링(23d)가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바(23)의 수나사부(23b)에 고정부재(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바(23)는
바디(21) 하단부에 결합된 이탈방지부재(21c)에 걸림부재(23a)가 걸려 상호 조립후 바디(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서포트바(23)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부재(23a)가 바디(21) 하단의 이탈방지부재(21c)와 맞닿아 더 이상 코일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고,
바닥과 천장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밀려 올라가면 코일스프링(22)의 하단에 걸림부재(23a)에 걸려 코일스프링은 압축되고, 코일스프링(22)의 상단은 바디(21)의 걸림방지부(21d)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되며,
서포트바(23)는 바디(21)의 걸림방지부(21d)와 걸림부재(23a) 사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조절 위치에 따라 상단이 바디(21)의 통공(21e)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고
압축되는 코일스프링(22)에 의하여 서포트바(23)는 조립된 바디(21)에서 분리되어 외부로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서포트바(23)로 인하여 수직면을 보다 정확하게 규준하고 메인파이프(10)의 안정되고 탄력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23a)는 코일스프링(22)을 지지할 수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의 면을 형성할 수 있고, 걸림부재(23a)의 지름은 코일스프링(22)의 지름 보다는 크고, 이탈방지부재(21c)의 관통공 보다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바(23)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사 현장에서의 수직면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고정부재(24)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24a)를 가져 고정부재(24)의 상부가 바디(21)의 이탈방지부재(21c)의 하단과 맞닿아 하강하는 메인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바디(21)를 받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암나사(24a)는 나비형 너트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어 손으로도 쉽게 돌릴 수 있고, 또한 스패너를 이용할 수 있도록 너트형식을 같이 구성하여 좀 더 강한 조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전구 설치구는 브라켓(31), 가이드슬리브(32), 스토퍼(33)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브라켓(31)은 가이드슬리브(32)에 결합되어 메인파이프(10)의 길이 내에서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브라켓(31)에 수전구를 고정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고정공(34)이 형성된 금속재 플레이트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리브(32)는 브라켓(31)과 결합되어 있고 메인파이프(10)가 삽입되며, 상기 수전구 설치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조적공사 시 수전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할 수 있다.
또 수도관 설치 시 수전구를 고정공(34)에 고정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공사 완료 후 브라켓(31)의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재활용도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메인파이프(10)가 내삽되는 가이드슬리브(32)와,
이 가이드슬리브(32)에 결합된 브라켓(31), 상기 가이드슬리브(32)를 메인파이프(10)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수전구 설치구(30)가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31)은 가이드슬리브(32)에 결합되어 고정공(34)에 걸린 수전구를 고정한 채로 메인파이프(10)의 길이 내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한 후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1c)는 메인파이프(10)보다 단면적이 더 커서, 재활용이나 재생 등을 위하여 메인파이프에서 서포트를 분리하는 경우 메인파이프와 서프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파이프 하단 외주면에 돌출된 이탈방지부재를 공구를 이용하여 가격하거나 잡고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이탈방지부재(21c)의 기본 기능은 바디(21)의 하단부, 즉 삽입고정부(21a)의 개구부를 일부 막아 서퍼트바(23)의 수나사부(23b)와 가이드부(23c) 사이에 위치한 걸림부재(23a)가 걸려 바디에서 서포트바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의 일점 쇄선 원 내 및 도 4 내지 도 5에 변형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20)의 재활용 또는 재생시의 분리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변형 수전구 설치구(30m)는 가이드슬리브(32)에 대칭된 위치, 즉 양측에 두 분리고리(32a)가 결합되어 있다.
또 이러한 변형 수전구 설치구(30m)에 활용될 수 있는 분리 공구로 서포트 분리기구(50)를 안출하였는데, 이 서포트 분리기구(50)는 각 분리고리(32a)와 충돌하는 타격돌기(51b)를 각각 갖는 두 타격돌기(51b)와,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수용되고 두 타격돌기(51b)에 형성된 리세스(51a)를 갖는 웨이트(51)와, 이 웨이트(51)에 결합된 핸들(52)을 포함한다.
상기 웨이트(51)의 상단은 하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강화된 금속재로 구성된 두 돌출부(51c)가 웨이트(51) 하측 양면 대칭으로 형되어 있고, 돌출부(51c)가 이탈방지부재(21c)와 닿을 수 있도록 대칭되어 있는 돌출부(51c)의 거리가 이탈방지부재(21c)의 지름보다 짧다.
핸들(52)을 잡고 망치질을 하듯이 가격을 하면, 웨이트(51)의 두 돌출부(51c)의 각 타격돌기(51b)가 수전구 설치구(30m)의 분리고리(32a)와 충돌하게 되고, 이어 상기 메인파이프(10)에 끼워진 가이드슬리브(32)가 바디(21)의 이탈방지부재(21c)가 충돌하게 되어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51c)를 이용하여 메인파이프(10)보다 단면적이 더 큰 이탈방지부재(21c)에 충격을 가하여 삽입고정부(21a)에 결합되어 있는 메인파이프(10)를 보다 쉽게 이탈 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을 보다 효과적으로 올릴 수 있다.
상기 웨이트(51)의 돌출부(51c)와 분리고리(32a)가 충돌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슬리브(32)가 에 의하여 고정된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의 삽입고정부(21a)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이탈을 쉽게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가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되기 위하여서는 돌출부(51c)와 분리고리(32a)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웨이트(51)의 상단에 충격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서포트의 분리 용이성을 위한 또 다른 변형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 서포트는 도 3의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포트의 바디(21) 하단 삽입고정부(21a) 측에 탈착보조홈(61)을 형성하고, 여기에 탈착휠(62)이 결합되어 있는 탈착보조부(60)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탈착보조부는 바디(21)의 삽입고정부(21a)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메인파이프(1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탈착보조부(60)는 톱니바퀴 형태의 원형 금속재로써 상기 삽입고정부(21a)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메인파이프(10)의 결합 및 분리시 탈착휠(62)이 고정핀(63)에 걸려 있어 탈착휠(62)의 회전에 의하여 따로 충격을 가하거나 외력을 심하게 주지 않아도 탈착이 쉽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바디(21)의 삽입고정부(21a)에 결합되어 있는 탈착보조부(60)는 바디(21) 내부의 코일스프링(22)과 가이드부(23c)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S)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10: 메인파이프
20: 서포트
21: 바디 21a: 삽입고정부 21b: 삽입안내부 21c: 이탈방지부재
21d: 걸림방지부 21e:통공
22: 탄성수단
23: 서포트바 23a: 걸림부재 23b: 수나사부 23c: 가이드부
23d: 지지링
24: 고정부재 24a: 암나사
30: 수전구 설치구 31: 브라켓 32: 가이드슬리브 32a:분리고리
33: 스토퍼
34: 고정공
50: 서포트 분리기구
51: 웨이트 51a: 리세스 51c: 돌출부
52: 핸들
60: 탈착보조부 61: 탈착보조홈 62:탈착휠 63:고정핀

Claims (4)

  1. 금속재 메인파이프(10); 및

    상기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바디(21),
    상기 바디에 내장된 탄성수단(22),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서포트바(23),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서프트바가 바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는 금속재 서포트(20);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리브(32)와, 가이드슬리브(32)에 양측에 결합된 두 분리고리(32a)를 포함하는 수전구 설치구(30m); 및
    상기 수전구 설치구(30m) 및 서포트(20)와 메인파이프(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서포트 분리기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포트(20)의 바디(21)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삽입고정부(21a)를 갖고, 상기 메인파이프(10)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21c)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23)는 상기 이탈방지부재(21c)에 걸려 바디(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23a)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23)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이며,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코일스프링에 내삽되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서포트 분리기구(50)는 타격돌기(51b)를 갖는 두 돌출부(51c) 및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수용되고 두 돌출부(51c)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51a)를 갖는 웨이트(51)와, 상기 웨이트(51)와 결합되는 핸들(5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웨이트(51) 돌출부(51c)의 타격돌기(51b)와 수전구 설치구(30m)의 분리고리(32a)의 충돌시 상기 가이드슬리브(32)에 의한 바디(21)의 이탈방지부재(21c)의 충돌로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9436U 2012-10-16 2012-10-18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2004672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9338 2012-10-16
KR2020120009338 2012-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83U Division KR20140002388U (ko) 2012-10-16 2013-01-30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285Y1 true KR200467285Y1 (ko) 2013-06-07

Family

ID=513864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36U KR200467285Y1 (ko) 2012-10-16 2012-10-18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2020130000783U KR20140002388U (ko) 2012-10-16 2013-01-30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83U KR20140002388U (ko) 2012-10-16 2013-01-30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672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27U (ko) 2017-02-14 2018-08-22 김윤수 건축용 가설 지지대
CN111441612A (zh) * 2020-05-09 2020-07-24 福州大学 土木工程施工用支撑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149290B1 (ko) * 2019-11-15 2020-08-28 윤정욱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KR20210000362U (ko) 2019-08-05 2021-02-17 김국환 조적용 세로 규준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28Y1 (ko) 2011-04-26 2011-12-15 강희준 조적용 서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28Y1 (ko) 2011-04-26 2011-12-15 강희준 조적용 서포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27U (ko) 2017-02-14 2018-08-22 김윤수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210000362U (ko) 2019-08-05 2021-02-17 김국환 조적용 세로 규준대
KR102149290B1 (ko) * 2019-11-15 2020-08-28 윤정욱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CN111441612A (zh) * 2020-05-09 2020-07-24 福州大学 土木工程施工用支撑装置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388U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285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CN204343677U (zh) 一种建筑施工现场预留孔洞的可拆式套管模具
CN203271112U (zh) 一种碗扣式脚手架用碗扣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1017134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0647842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강구조
KR1009443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슬리브
KR101120430B1 (ko) 고정클립을 갖는 철근스페이서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CN201507516U (zh) 一种长度伸缩的传动杆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38688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CN205804950U (zh) 一种房屋梁模板卡紧装置
KR20180053050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087041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20150004064U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041275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1669817B1 (ko) 원터치 타입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KR20090004401U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CN214384049U (zh) 端盖固定座及端盖
CN210344550U (zh) 一种化工用管道安装组件
CN1702259A (zh) 用于固定墙体上保温板的锚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