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290B1 -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 Google Patents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290B1
KR102149290B1 KR1020190146485A KR20190146485A KR102149290B1 KR 102149290 B1 KR102149290 B1 KR 102149290B1 KR 1020190146485 A KR1020190146485 A KR 1020190146485A KR 20190146485 A KR20190146485 A KR 20190146485A KR 102149290 B1 KR102149290 B1 KR 10214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guide plate
axis direction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욱
Original Assignee
윤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욱 filed Critical 윤정욱
Priority to KR102019014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04G21/1816Adjustable positioning means between line-holder bars and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과,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지지하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1축 방향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과, 위치 조절유닛에 지지되고 조적용 가이드유닛에 연결되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과, 위치 조절유닛을 지지하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3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과, 위치 조절유닛에 지지되고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에 연결되며 조적용 가이드유닛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Corner guide device for masonry construction and masonr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벽돌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일정한 패턴으로 쌓아서 만드는 조적 벽체는 상하부 벽돌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씩 어긋나게 쌓으면서 모르타르를 이용해서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골조 공사 후 상하방향으로 내하중이 실리지 않는 벽체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적공사에서는 벽돌을 일정한 패턴으로 가지런하게 쌓는 것이 중요한다. 벽돌이 가지런하지 않게 위치되는 경우 조적 품질이 조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수평실과 수직실을 길게 띄워 수평실 및 수직실을 따라 벽돌을 쌓았다. 그러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평실 및 수직실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특히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서 수평실과 수직실로 직각을 잡는다는 것은 고도의 감각이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공이라도 조적 벽체의 코너부를 정확하게 쌓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다.
최근 작업 현장에서 숙련공을 구하기 어려운 여건 상 미숙련공이라도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447호(2004.05.2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1축 방향과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 상기 위치 조절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상기 위치 조절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상기 제3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절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은, 설치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3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 상기 회전 블록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닛용 링기어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용 링기어부에 치합되는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 및 상기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용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유닛은, 상기 회전 블록부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에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 상기 회전 블록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에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 및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은, 상기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 및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상쇄하는 하중 부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가 결합되는 연결 몸체부; 및 상기 연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 부가부가 결합되는 밸런싱용 아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은, 상기 연결 몸체부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몸체부의 상기 제3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연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몸체부를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유닛은,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의 상부 영역에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조절용 관통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 하단부가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각각의 상기 수평조절용 관통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의 하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를 상기 제3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탄성체; 및 각각의 상기 수평조절용 나사봉부에 치합되고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3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나비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와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이 형성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를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를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과,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1축 방향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과,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과, 조적용 가이드유닛을 제3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과, 조적용 가이드유닛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여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이 빠르고 정확하게 시공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조절유닛과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과 수평 조절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위치 조절유닛과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과 수평 조절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B부분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상술한 도면들에서 제1축 방향은 X로 표시하고,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은 Y로 표시하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은 Z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용 가이드유닛(110)과, 위치 조절유닛(120)과,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과,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과, 수평 조절유닛(150)을 포함한다.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은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은,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와,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연결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에 연결되는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와,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에 연결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상쇄하는 하중 부가부(117)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작업자가 조적할 벽돌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는, 도 3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의 사이 각도가 직각을 이루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의 표면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수개의 눈금선(S)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눈금선(S)은 작업자가 벽돌을 배치할 위치의 기준을 제시하여 준다. 또한, 이러한 눈금선(S)은 배치된 벽돌이 수평을 이루고 있는지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 눈금선(S)이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의 일부 영역에만 도시되었는데,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눈금선(S)은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의 전체 표면에 표시된다.
또한, 도 6에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는 벽돌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는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11b)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수평실(W)이 걸림결합되는 대수개의 걸림공(F)이 형성된다.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결합되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와,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가 결합되는 연결 몸체부(114)와, 연결 몸체부(114)에 결합되며 하중 부가부(117)가 결합되는 밸런싱용 아암부(11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에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결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는, 연결 몸체부(114)에 결합에 결합되는 연결 아암 본체(113a)와, 연결 아암 본체(113a)에 장착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용 브라켓(113b)을 포함한다. 연결 아암 본체(113a)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플레이트 결합용 브라켓(113b)에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 결합용 브라켓(113b)에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몸체부(114)에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의 연결 아암 본체(113a)가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아암 본체(113a)에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의 후술할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가 관통하는 제3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된다.
밸런싱용 아암부(115)는 연결 몸체부(114)에 결합된다. 이러한 밸런싱용 아암부(115)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런싱용 아암부(115)에는 하중 부가부(117)가 결합된다.
하중 부가부(117)는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중 부가부(117)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하중에 의해 연결 몸체부(114)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상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부가부(117)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싱용 아암부(115)에 결합되는 추 적재부(117a)와, 추 적재부(117a)에 적재되는 평형추(117b)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중 부가부(117)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교체 시 추 적재부(117a)에 적재되는 평형추(117b)의 개수를 변경시켜 교체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하중에 의해 연결 몸체부(114)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은 위치 조절유닛(120)을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은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은,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141)와, 베이스부(141)에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142)와, 회전 블록부(14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와, 베이스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에 치합되는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와,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에 결합되며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용 핸들부(14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41)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된다. 회전 블록부(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 블록부(142)는 베이스부(141)에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는 회전 블록부(14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의 회전에 의해 회전 블록부(142)가 회전된다.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는 베이스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는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에 치합된다.
회전유닛용 핸들부(145)는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유닛용 핸들부(145)의 회전에 의해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회전 블록부(142)가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이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 정확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위치 조절유닛(120)은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유닛(120)은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1축 방향(X)과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유닛(120)은, 도 1 내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록부(142)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제2축 방향(Y)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와,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와, 회전 블록부(142)에 지지되고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연결되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7)와,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제1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와,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에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와,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지지되고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연결되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는 회전 블록부(142)의 상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는 제2축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는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7)는 회전 블록부(142)에 지지되고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7)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록부(142)에 제2축 방향(Y)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형성된 제2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2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되는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와,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에 결합되며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를 회전시키는 제2축 방향 이동용 핸들부(127b)를 포함한다.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는 회전 블록부(142)에 제2축 방향(Y)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형성된 제2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의 외주면에는 제2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된다.
제2축 방향 이동용 핸들부(127b)는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2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7a)를 회전시킨다.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의 상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는 제1축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는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에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3)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지지되고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3)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3)는, 도 1,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형성된 제1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1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되는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와,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에 결합되며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를 회전시키는 제1축 방향 이동용 핸들부(123b)를 포함한다.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형성된 제1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의 외주면에는 제1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된다.
제1축 방향 이동용 핸들부(123b)는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1축 방향 이동용 스크류부(123a)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120)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 정확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수평 조절유닛(150)은 위치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치 조절유닛(120)에 지지된다. 이러한 수평 조절유닛(150)은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유닛(15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부 영역에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와, 하단부가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각각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와,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하면부에 연결되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를 제3축 방향(Z)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탄성체(155)와, 각각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에 치합되고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제3축 방향(Z)으로 이동되어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나비너트부(157)와,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수평을 표시하는 수평 표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부 영역에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는 4개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이 형성되며, 이러한 4개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은 4개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는 4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4개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는 4개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단부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각각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을 관통한다. 이러한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는,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의 내주면과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간격(G)이 형성되도록, 외경이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의 외경이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수평조절 시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가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이룰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장소에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의 베이스부(141)가 배치되더라도 수평 조절유닛(150)이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평조절용 탄성체(155)는 4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4개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수평조절용 탄성체(155)는, 하단부가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하면부에 연결됨으로써,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를 제3축 방향(Z)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의 나비너트부(157)는 4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에 치합된다. 이러한 나비너트부(157)에는 내주면에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수평조절용 나사공(157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비너트부(157)의 하단부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부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나비너트부(157)는 회전에 의해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를 따라 제3축 방향(Z)으로 이동되어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한다.
즉, 4개의 나비너트부(157)가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4개의 모서리 부위의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한 간격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조절된다.
수평 표시기(미도시)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수평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표시기(미도시)는 버블형 수평 표시기(미도시)가 사용된다. 이러한 수평 표시기(미도시)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Y)으로 배치되어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Y)의 수평을 모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150)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 수평이 맞춰진 자세로 정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은 수평 조절유닛(150)에 연결되어 위치 조절유닛(120)에 지지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은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에 연결되어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은, 도 1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몸체부(114)가 연결되며 연결 몸체부(114)의 제3축 방향(Z)의 이동을 안내하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131)와, 연결 몸체부(114)에 연결되며 연결 몸체부(114)를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131)는 연결 몸체부(114)가 연결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131)는 연결 몸체부(114)의 제3축 방향(Z)의 이동을 안내하여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제3축 방향(Z)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131)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조절유닛(150)에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부(131a)와, 가이드 샤프트부(131a)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 몸체부(114)가 결합되는 볼 부쉬부(131b)와,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부(131a)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부(131c)를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부(131a)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샤프트부(131a)의 하단부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 결합된다.
볼 부쉬부(131b)는 가이드 샤프트부(131a)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볼 부쉬부(131b)에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연결 몸체부(11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볼 부쉬부(131b)에는 가이드 샤프트부(131a)가 관통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관통구(미도시)의 내벽에는 복수의 볼(ball) 회전체(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바아부(131c)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부(131a)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바아부(131c)는 가이드 샤프트부(131a)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133)는 연결 몸체부(114)에 연결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133)는 연결 몸체부(114)를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133)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조절유닛(150)에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연결 몸체부(114)에 형성된 제3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3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마련되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와,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링기어부(135)와, 수평 조절유닛(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링기어부(135)에 치합되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와,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에 결합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를 회전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핸들부(137)와,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면부에 장착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쓰러스트 베어링부(TB)와, 연결 바아부(131c)에 장착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상단부 영역을 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부(RB)를 포함한다.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는 수평 조절유닛(150)에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하단부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면부에 장착된 쓰러스트 베어링부(TB)에 결합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의 외주면에는 제3축 방향 나사공(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는 수평 조절유닛(150)의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링기어부(135)에 치합된다.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핸들부(137)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에 결합된다. 이러한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핸들부(137)의 회전에 의해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연결기어부(136)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용 스크류부(134)가 회전되어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이 제3축 방향(Z)인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인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 정확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벽돌의 적층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위쪽으로 계속 상승시켜 조적작업을 중단 없이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적 벽체의 모서리를 형성할 위치에 인접한 장소에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를 배치한다. 이때,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의 베이스부(141)가 설치면에 지지된다.
다음,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을 작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방향을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의 방향에 대략적으로 맞춘다.
이후, 위치 조절유닛(120)을 작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Y)의 위치를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에 정위치시킨다. 이때,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을 다시 작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방향을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의 방향으로 다시 정확하게 맞춘다.
이후, 수평 조절유닛(150)을 작동시켜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수평을 맞춤으로써,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 지지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수평도 맞추어 진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에 수평 상태를 이루면서 정위치로 배치된다.
이렇게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형성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벽돌을 쌓는다.
벽돌이 계속 적층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상승이 필요한 경우에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을 작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부(111)를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볼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과,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120)과,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과,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과,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150)을 구비함으로써,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여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이 빠르고 정확하게 시공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이드 플레이트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조적용 가이드유닛(210)의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조적용 가이드유닛(210)의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부(211)는, 도 7 내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의 사이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상호 간의 사이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직각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조적 벽체의 모서리가 대략 60도 내지 120도를 이루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부(211)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의 후술할 회전 중심축(213c)이 관통하는 플레이트용 관통공(PH)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용 가이드유닛(210)은, 도 7 내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와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를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와,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연결되며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를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아암 본체(213a)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지지부재(213d)와, 연결 아암 본체(213a)에 연결되는 연결 포스트부(213b)와, 연결 포스트부(213b)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중심축(213c)과, 연결 포스트부(213b)와 회전 중심축(213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13e)를 포함한다.
연결 포스트부(213b)는 연결 아암 본체(213a)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포스트부(213b)의 상단부에는 체결용 나사(N)가 치합되는 나사홈(M1)이 마련된다.
회전 중심축(213c)은 연결 포스트부(213b)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 중심축(213c)은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의 플레이트용 관통공(PH)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가 회전 중심축(213c)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중심축(213c)에는 체결용 나사(N)가 치합되는 나사홈(M1)이 마련된다.
덮개부(213e)는 연결 포스트부(213b)와 회전 중심축(213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부(213e)에는 체결용 나사(N)의 나사몸체가 관통하는 덮개용 관통공(M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213e)는 체결용 나사(N)에 의해 연결 포스트부(213b)와 회전 중심축(213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와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를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대해 상대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와,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218e)이 형성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와,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를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는 원형이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의 지지부재(213d)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218e)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를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대해 상대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에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공(218d)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의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가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218e)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가 회전 중심축(213c)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와,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를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9c)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는 상술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의 사이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적용 가이드유닛(210)을 구비함으로써, 시공해야 할 조적 벽체의 모서리의 각도가 직각이 아닌 경우인 경우(예를 들어, 120도인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조적용 가이드유닛 111, 211: 가이드 플레이트부
111a, 211a: 제1 가이드 플레이트 111b, 211b: 제2 가이드 플레이트
112: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 113, 213: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
114: 연결 몸체부 115: 밸런싱용 아암부
117: 하중 부가부 120: 위치 조절유닛
121: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 122: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
123: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 125: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
126: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 127: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
130: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131: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
133: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
140: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 141: 베이스부
142: 회전 블록부 143: 회전유닛용 링기어부
144: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 145: 회전유닛용 핸들부
150: 수평 조절유닛 151: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
151a: 수평조절용 관통공 153: 수평조절용 나사봉부
155: 수평조절용 탄성체 157: 나비너트부
218: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
218a: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
218b: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
218c: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
218e: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
219: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
219a: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
219b: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
219c: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

Claims (4)

  1.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을 형성하는 벽돌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적용 가이드유닛(110);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지지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제1축 방향(X)과 상기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유닛(120);
    상기 위치 조절유닛(120)에 지지되고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에 연결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상기 제1축 방향(X)과 상기 제2축 방향(Y)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
    상기 위치 조절유닛(120)을 지지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을 상기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 및
    상기 위치 조절유닛(120)에 지지되고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수평 조절유닛(15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용 회전유닛(140)은,
    설치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141);
    상기 베이스부(141)에 상기 제3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142);
    상기 회전 블록부(14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
    상기 베이스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용 링기어부(143)에 치합되는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 및
    상기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용 연결기어부(144)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용 핸들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유닛(120)은,
    상기 회전 블록부(142)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축 방향(Y)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
    상기 제2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5)에 상기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
    상기 회전 블록부(142)에 지지되고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연결되며,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를 상기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7);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의 상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 방향(X)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
    상기 제1축 방향용 가이드 레일부(121)에 상기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 및
    상기 제2축 방향 이동블록부(126)에 지지되고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연결되며,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방향용 이동 구동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110)은,
    상기 조적 벽체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111);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연결되며,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에 연결되는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 및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에 연결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에 인가되는 모멘트를 상쇄하는 하중 부가부(117)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용 연결 프레임부(11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111)가 결합되는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113)가 결합되는 연결 몸체부(114); 및
    상기 연결 몸체부(114)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 부가부(117)가 결합되는 밸런싱용 아암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업/다운(up/down) 이동유닛(130)은,
    상기 연결 몸체부(114)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몸체부(114)의 상기 제3축 방향(Z)의 이동을 안내하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가이드부(131); 및
    상기 연결 몸체부(114)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몸체부(114)를 상기 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용 이동 구동부(133)를 포함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유닛(150)은,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부 영역에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
    하단부가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각각의 상기 수평조절용 관통공(151a)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하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를 상기 제3축 방향(Z)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조절용 탄성체(155); 및
    각각의 상기 수평조절용 나사봉부(153)에 치합되고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3축 방향(Z)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평조절용 플레이트부(151)의 상기 제1축 방향 이동블록부(122)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나비너트부(157)를 포함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211)는,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 및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와의 사이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용 가이드유닛(210)은,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를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 및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와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를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8)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21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218e)이 형성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 및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8a)를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8b)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8c)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회전 구동부(219)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21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
    상기 플레이트용 연결 아암부(2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 및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나사봉부(219a)를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안내봉부(219b)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용 조정 핸들부(219c)를 포함하는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4. 삭제
KR1020190146485A 2019-11-15 2019-11-15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KR10214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85A KR102149290B1 (ko) 2019-11-15 2019-11-15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485A KR102149290B1 (ko) 2019-11-15 2019-11-15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290B1 true KR102149290B1 (ko) 2020-08-28

Family

ID=7226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85A KR102149290B1 (ko) 2019-11-15 2019-11-15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080A1 (en) * 2022-05-12 2023-11-16 Martin Hughes A building profile
KR102629882B1 (ko) * 2023-05-10 2024-01-29 김황래 조적수평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15B1 (ko) * 1983-08-06 1985-08-20 남상욱 벽 돌 조 적 기
JP2935808B2 (ja) * 1994-06-22 1999-08-16 大成建設株式会社 天井及び壁内装施工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KR200352447Y1 (ko) 2004-03-05 2004-06-04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적공사용 수평실 시공장치
KR100510781B1 (ko) * 2005-02-22 2005-08-2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조적공사용 코너부 기준설정구조
KR200434878Y1 (ko) * 2006-09-29 2006-12-28 박상수 조적용 시공장치
US20080072441A1 (en) * 2005-08-05 2008-03-27 Daniel Charpentier Masonry guiding tool
KR101073019B1 (ko) * 2010-02-09 2011-10-12 하상진 돔 구조물 축조방법
KR200467285Y1 (ko) * 2012-10-16 2013-06-07 한재홍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15B1 (ko) * 1983-08-06 1985-08-20 남상욱 벽 돌 조 적 기
JP2935808B2 (ja) * 1994-06-22 1999-08-16 大成建設株式会社 天井及び壁内装施工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KR200352447Y1 (ko) 2004-03-05 2004-06-04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적공사용 수평실 시공장치
KR100510781B1 (ko) * 2005-02-22 2005-08-2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조적공사용 코너부 기준설정구조
US20080072441A1 (en) * 2005-08-05 2008-03-27 Daniel Charpentier Masonry guiding tool
KR200434878Y1 (ko) * 2006-09-29 2006-12-28 박상수 조적용 시공장치
KR101073019B1 (ko) * 2010-02-09 2011-10-12 하상진 돔 구조물 축조방법
KR200467285Y1 (ko) * 2012-10-16 2013-06-07 한재홍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080A1 (en) * 2022-05-12 2023-11-16 Martin Hughes A building profile
KR102629882B1 (ko) * 2023-05-10 2024-01-29 김황래 조적수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290B1 (ko) 조적공사를 위한 코너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공사방법
JP4303237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検査装置のパネル供給装置
US10111797B2 (en)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n operating table
US20150375389A1 (en) Device for angularly precise machining of a workpiece by a tool guided on a guide rail
JP7202232B2 (ja) 回転テーブルおよび真円度測定機
JP2021011014A (ja) 工作機械
WO2014203660A1 (ja) 支持脚
JP4376545B2 (ja) 円すいころ軸受の円すい面形状測定方法
KR20230086448A (ko) 위치 미세 조절 장치
CN104091748A (zh) 电离室调节装置
CN210713862U (zh) 大跨度桁架的临时支撑装置
KR102574003B1 (ko) Lpg탱크 가접장치
JPH08151903A (ja) ロータ回転受台装置
JP7068815B2 (ja) 耐荷性能試験装置および耐荷性能試験方法
EP3164666B1 (de) Koordinatenmessgerät
EP0899536B1 (de) Koordinatenmessgerät oder Bearbeitungsmaschine
DE102011054932B4 (de) Koordinatenmessgerät
KR20070028802A (ko) 3점 지지를 이용한 고정밀 틸트 스테이지 장치
CN110319742A (zh) 一种螺牙检测机
US3779500A (en) Form support bracket
CN109760170A (zh) 木托盘生产设备
CN107253006B (zh) 齿座焊接装置
CN212763022U (zh) 定位装置
JP2015003794A (ja) 支持治具
CN207571098U (zh) 一种塑料燃烧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