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40U - 배수용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40U
KR20090004240U KR2020070017692U KR20070017692U KR20090004240U KR 20090004240 U KR20090004240 U KR 20090004240U KR 2020070017692 U KR2020070017692 U KR 2020070017692U KR 20070017692 U KR20070017692 U KR 20070017692U KR 20090004240 U KR20090004240 U KR 20090004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trap
main body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양
Original Assignee
박주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양 filed Critical 박주양
Priority to KR2020070017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40U/ko
Publication of KR20090004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홈 및 배수공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수홈과 배수공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테두리 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얹혀지는 통공이 다수 천공된 걸름판과,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과 연결되어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용 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트랩의 본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에 상기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 내측이 끼워지는 제1 접속관 또는 제2 접속관이 나사결합부 또는 끼움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배수량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1 접속관 또는 제2 접속관을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으로 편리하게 본체에 단독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므로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한 설치장소에 적합한 용량의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배수관의 직경에 적합한 접속관을 사용함으로써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하나의 접속관을 사용하므로 부품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배수, 트랩, 접속관, 배수관, 결합수단

Description

배수용 트랩 {A Trap of Drain Water}
본 고안은 욕실(a bath room), 베란다(a veranda) 및 발코니(a balcony)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하수(下水)의 악취를 차단함은 물론 배수관의 크기에 적합한 배수 직경을 갖는 연결관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수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베란다 및 발코니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용 트랩은 수직방향 또는 L자관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하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중 역류하는 하수(下水)의 악취를 본체에 잔류하는 하수 또는 정수가 차단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설치장소와 하수관의 규격에 따라 연결되는 배수관의 크기가 다르거나 욕실에 설치된 욕조를 철거하고 직접 배수용 트랩을 설치할 경우 욕조의 배수호수를 접속하고 있는 기존의 배수관은 직경이 작기 때문에 배수용 트랩의 연결부위가 불일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방법으로는 각각의 규격에 적합한 트랩을 규격별로 준비하여 해당 규격의 트랩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생산 비용의 증대와 재고관리의 어려움 및 시공을 위한 준비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8-066891호 "바닥배수용 트랩"이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제안되었다. 상기 바닥배수용 트랩(1a)에 직경이 크고 작은 제1 배수관(13a) 및 제2 배수관(13b)의 내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 본체(10)의 하단 둘레에 제1 외주벽(11)과 제2 외주벽(1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23980호 "배수트랩"이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제안되었다. 상기 배수트랩(1b)에 직경이 크고 작은 제1 배수관(13a) 및 제2 배수관(13b)의 내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 본체(10a)의 하단 둘레에 제1 끼움홈부(14)와 제2 끼움홈부(15)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0052722호 "관경 가변형 배수트랩"이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제안되었다. 상기 배수트랩(1c)에 직경이 크고 작은 제1 배수관(13a) 및 제2 배수관(13b)의 내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 본체(10b)의 외측 둘레에 제1 끼움홈부(14a)와 제2 끼움홈부(15a)를 좀더 깊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직경이 크고 작은 제1 배수관(13a) 및 제2 배수관(13b)의 내경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의 원통 본체(10,10a,10b) 하단 또는 외측에 형성된 제1 외주벽(11)과 제2 외주벽(12) 그리고 제1 끼움홈부(14,14a)와 제2 끼움홈부(15,15a)을 형성함으로써 배수관의 직경의 크기 변화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배수관의 직경의 크기 변화에 관계없이 배수되는 양이 항상 일정하므로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한 설치장소에 적합한 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제1 접속관과 제2 접속관을 본체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배수관에 적용이 가능하면서 배수관의 직경에 적합한 하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부품의 감소로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배수용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수홈 및 배수공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수홈과 배수공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테두리 지지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얹혀지는 통공이 다수 천공된 걸름판과,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과 연결되어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용 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트랩의 본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에 상기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 내측이 끼워지는 제1 접속관 또는 제2 접속관이 나사결합부 또는 끼움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배수량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트랩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접속관 또는 제2 접속관을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으로 편리하게 본체에 단독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므로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한 설치장소에 적합한 용량의 제1 배수관 또는 제2 배수관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배수관의 직경에 적합한 접속관을 사용함으로써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하나의 접속관을 사용하므로 부품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종단면도로서, 배수용 트랩(1)은 저수홈(21) 및 배수공(22)을 갖는 본체(2)와, 상기 저수홈(21)과 배수공(2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저수홈(21)에 채워지는 물에 테두리가 잠겨져 악취의 방출을 막는 커버(3)와,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배치되어 테두리를 감싸는 지지대(4)와,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얹혀져 오물은 거르고 하수는 낙하하도록 통공(61)이 다수 천공된 걸름판(6)과, 상기 배수공(22)에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 내측이 끼워지는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이 결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도 2에서와 같이 배수공(22) 및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에 암나사 및 수나사를 각각 형성한 나사결합부(81)를 형성하여 도 3a에서와 같이 직경이 큰 제1 배수관(7a)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배수공(22) 및 제1 접속관(5a)의 나사결합부(81)를 통해 장착하고 제2 접속관(5b)은 제외한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도 3b에서와 같이 직경이 작은 제2 배수관(7b)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배수 공(22) 및 제2 접속관(5b)의 나사결합부(81)를 통해 장착하고 제1 접속관(5a)은 제외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욕실, 발코니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할 때 기설치된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 직경의 크기에 적합한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배수공(22)에 나사결합 하는 구성이므로 매우 조립이 편리하며, 선택된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는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의 직경과 일치하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a 및 4b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에서와 같이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을 본체(2)의 배수공(22)에 장착하는 결합수단을 돌기 및 L자형 홈을 각각 형성한 끼움결합부(82)로 구성하여 선택된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을 편리하게 끼워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2 접속관(5b)의 내경 상측에 돌기(51)를 사방에 형성함으로써 체결 또는 분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단독적으로 본체(2)의 배수공(22)에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되는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이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의 직경과 일치하므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 제조원가의 절감과 장착의 편리성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종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트랩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배수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종래의 배수용 트랩들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랩 2: 본체
3: 커버 4: 지지대
5a: 제1 접속관 5b: 제2 접속관
6: 걸름판 7a: 제1 배수관
7b: 제2 배수관 21: 저수홈
22: 배수공 81: 나사결합부
82: 끼움결합부

Claims (3)

  1. 저수홈(21) 및 배수공(22)을 갖는 본체(2)와, 상기 저수홈(21)과 배수공(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3)와,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배치되는 테두리 지지대(4)와,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얹혀지는 통공(61)이 다수 천공된 걸름판(6)과,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과 연결되어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용 트랩(1)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트랩(1)의 본체(2) 중앙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22)에 상기 제1 배수관(7a) 또는 제2 배수관(7b) 내측이 끼워지는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이 결합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배수량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배수공(22) 및 제1 접속관(5a) 또는 제2 접속관(5b)에 암나사 및 수나사를 각각 형성한 나사결합부(81) 또는 돌기 및 L자형 홈을 각각 형성한 끼움결합부(8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트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관(5b)의 내경 상측에 체결용 돌기(51)를 사방에 형성한 것ㅇ르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트랩.
KR2020070017692U 2007-11-01 2007-11-01 배수용 트랩 KR200900042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92U KR20090004240U (ko) 2007-11-01 2007-11-01 배수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92U KR20090004240U (ko) 2007-11-01 2007-11-01 배수용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40U true KR20090004240U (ko) 2009-05-07

Family

ID=4129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92U KR20090004240U (ko) 2007-11-01 2007-11-01 배수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4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12B1 (ko) * 2012-02-06 2013-07-03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350158B1 (ko) * 2012-02-06 2014-01-08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354072B1 (ko) * 2012-02-06 2014-01-22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970604B1 (ko) * 2018-02-15 2019-04-19 문면곤 배수트랩
KR102045492B1 (ko) * 2018-09-28 2019-11-15 주식회사 미도크린테크 배수트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12B1 (ko) * 2012-02-06 2013-07-03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350158B1 (ko) * 2012-02-06 2014-01-08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354072B1 (ko) * 2012-02-06 2014-01-22 김보섭 배수 트랩
KR101970604B1 (ko) * 2018-02-15 2019-04-19 문면곤 배수트랩
KR102045492B1 (ko) * 2018-09-28 2019-11-15 주식회사 미도크린테크 배수트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37A1 (en) Odorless drain assembly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0375384Y1 (ko)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KR101177493B1 (ko) 배관 연결구조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2007198021A (ja) 排水枡のトラップ取付構造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0746732B1 (ko)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CN212896682U (zh) 一种小便斗自由排下水器
KR200314109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200305366Y1 (ko) 배수 트랩
KR200375988Y1 (ko)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JP6019287B2 (ja) 排水トラップ
CN211621814U (zh) 一种积水排出承插件
JP3202968U (ja) 有効容量水位調整管付水槽
CN215253210U (zh) 一种新型排水汇集器
KR200270192Y1 (ko) 독립형 배수트랩
KR200270244Y1 (ko) 배수장치
CN201358497Y (zh) 一种防臭地漏
KR20060040947A (ko)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