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30Y1 -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30Y1
KR200331230Y1 KR20-2003-0014340U KR20030014340U KR200331230Y1 KR 200331230 Y1 KR200331230 Y1 KR 200331230Y1 KR 20030014340 U KR20030014340 U KR 20030014340U KR 200331230 Y1 KR200331230 Y1 KR 200331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iece
flang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공영
Priority to KR20-2003-0014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원형 밴드편(1a)과 상기 밴드편(1a)의 하단부에 형성되면서 저면에 지지편(1ba)이 형성된 플랜지(1b)와 상기 밴드편(1a)과 플랜지(1b)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 후측체결부(1c)와, 상기 각 지지편(1ba)이 각각 삽입되는 패드(1d)로 이루어진 일측 배관용 파이프 지지부(1)와;
상기 일측 배관용 파이프지지부(1)의 전, 후측체결부(1c)에 서로 마주 대하는 전, 후측 체결부(3a)의 각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 후측의 원호형상의 밴드편(3b)과, 상기 전, 후측의 각 밴드편(3b)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지관안치부(3c)와, 전, 후측의 플랜지(3d)와, 상기 전, 후측 플랜지(3d)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패드(3e)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편(3da)이 각각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타측 배관파이프지지부(3)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배관파이프(6) 내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진동이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배관파이프(6)의 위치가 이탈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게 되고,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를 슬리브(4)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SUPPORTER OF PIPE FOR PIPING WORK}
본 고안은 다층건물의 각 슬라브의 배관덕트(duct) 내의 슬리브에 설치되는 배관용 파이프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관과 지관이 연결되는 관이음쇠인 와이티(YT)가 슬리브 내의 정위치인 중간부위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용 파이프(이하, 배관파이프라고 함)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입상의 배관파이프 또는 각층의 바닥면인 슬라브의 상면에 밀착되게 시공되어서 씽크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등 하숫물이 배수되면서 티에 연결된 배관파이프인 지관과 주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앵글 가대를 제작한 후, 빗드내에 상기 앵글가대를 설치하여 상기 배관파이프를 U볼트로 앵글가대에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관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일이 앵글가대를 제작하여야 하고, 빗드내에 앵글가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상, 하층 사이를 배관파이프가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통공이 슬라브에 성형되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된 슬리브의 중공부를 통과하는 부위의 배관파이프의 보온 및 소음방지가 어려우며, 상기 배관파이프를 상기 앵글가대에 U볼트로 고정하였을 때 배관파이프가 슬리브 내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배관파이프의 U볼트가 접하고 있는 플라스틱관의 일측부가 U볼트에 눌려 각층마다 배관파이프의 상기 일측부가 잘록하게 찌그러들면서 배관파이프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배관파이프 내로 흐르는 오수 등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앵글가대를 설치하여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데에 노무비 등 막대한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0-209862호의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는 반원형 밴드체와 플랜지 및 단턱을 가지는 볼트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2등분으로 된 반원형 배관파이프지지구와; 상기 배관파이프지지구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볼트 및 너트와; 양측 배관파이프지지구의 상접된 볼트체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고무패드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배관파이프지지구의 저면 양측에 지지편이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각 지지편에 고무패드가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횡주관 고정용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는 입상만의 배관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씽크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숫물이 배수되면서 각층의 바닥면인 슬라브의 상면에 밀착되게 시공되는 지관을 주관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와이티를 고정하여 상기 주관과 지관을 슬리브의 정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파이프인 주관과 지관이 결합된 와이티를 슬라브의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슬리브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 인건비 등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와 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배관파이프지지부 1a : 반원형 밴드편
1b, 3d : 플랜지 1ba, 3da : 지지편
1d, 2, 3e : 패드 3b : 원호형상의 밴드편
3c : 지관안치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 밴드편(1a)과 상기 반원형 밴드편(1a)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플랜지(1b)와 상기 밴드편(1a)과 플랜지(1b)의 양단부에 상기 밴드편(1a)과 플랜지(1b)의 단부를 이어주면서 볼트체결용 홈(1ca)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전, 후측체결부(1c)와, 상기 플랜지(1b)의 저면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1ba)과, 상기 각 지지편(1ba)이 각각 삽입되어서 밀착되게 고정되면서 삽입공(1da)이 중심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패드(1d)로 이루어진 일측 배관용 파이프지지부(1)와;
상기 일측 배관용 파이프지지부(1)의 전, 후측체결부(1c)에 볼트체결공(2a)이 형성된 평판으로 형성된 사각형상의 패드(2)가 사이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서로 마주 대하면서 볼트체결홈(3aa)이 각각 형성된 수직방향의 전, 후측체결부(3a)와, 상기 전, 후측 체결부(3a)의 각 일단부에 연장되어서 각각 형성된 전, 후측의 원호형상의 밴드편(3b)과, 후술하는 지관(6b)을 안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 후측의 각 밴드편(3b)의 일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 연장되어서 형성된 전, 후측의 안내편(3ca)으로 구성된 지관안치부(3c)와, 상기 전방측 또는후방측체결부(3a)의 하단부와, 전방측 또는 후방측 밴드편(3b)의 하단부와,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안내편(3ca)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주면서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전, 후측플랜지(3d)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전, 후측 안내편(3ca)의 각 외측단부의 하단부의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편(3cb)과, 상기 전방측 또는 후방측 플랜지(3d)의 저면의 소정의 부위에 지지편(3d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지지편(3da)이 각각 삽입되어서 밀착되게 고정되면서 삽입공(3ea)이 중심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패드(3e)로 이루어진 타측 배관파이프지지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b)는 그 외주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편(3cb)을 포함한 전후측 플랜지(3d)도 상기 플랜지(1b)의 반원형상의 외주면과 동일한 반원형상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각 플랜지(1b)(3d)와 연결편(3cb)은 슬리브(4)의 중공부(4a)에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지지장치의 하부를 삽입시켰을 때에 슬리브(4)의 내주면에 지지편(1ba)(3da)이 밀착되게 접하면서 삽입되어 고정되면서 슬리브(4)의 상면 및 슬라브(5)의 상면에 플랜지(1b) 및 전, 후측의 플랜지(3d)가 걸려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ba)(3da)들은 상기 각 패드(1d)(3e)에 원활하게 밀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봉형상이면서 하부가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로 굵기가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1d)(3e)는 배관파이프 지지장치의 하측부를 슬리브(4)의 중공부(4a)에 삽입시켜서 고정시킬 때 슬리브(4)의 중공부(4a)내의 내주면에 지지편(1ba)(3da)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각 지지편(1ba)(3da)이 각 패드(1d)(3e)의 삽입공(1da)(3e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4)의 내주면에 상기 패드(1d)(3e)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적합한 규모의 패드(1d)(3e)를 사용하여 패드(1d)(3e)의 삽입공(1da)(3ea) 내에 각 지지편(1ba)(3da)을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재질은 강인하고 견고하면서 가벼운 특성을 지니고 있는 합성수지 재질 특히, A, B, S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패드(1d)(2)(3e)는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1은 보강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의 작용에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측의 배관파이프지지부(1) 와 타측의 배관파이프지지부(3)의 밴드편(1a)(3b)을 와이티(7)의 중간부위에 패드(2)를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로 서로 접하게 부착한 후, 볼트체결홈(1ca)과 패드(2) 및 와셔(8)를 통하여 체결볼트(9)와 너트(10)를 체결하고, 각 지지편(1ba)(3da)을 적합한 패드(1d)(3e)의 삽입공(1da)(3ea)에 각각 삽입시킨 후, 양측의 배관파이프 지지부(1)(3)의 상기 각 패드(1d)(3e)가 씌워진 각 지지편(1ba)(3da)을 슬라브(5)에 설치된 슬리브(4)의 상단부에 올려놓고 눌러서 각 패드(1d)(3e)가 씌워진 지지편(1ba)(3da)을 슬리브(4)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시킨다.
그 다음에 배관파이프(6)중 상, 하측 주관(6a)을 와이티(7)의 상, 하측 주관결합부(7a)에 결합하고, 일측의 지관(6b)을 와이티(7)의 일측 지관결합부(7b)에 결합하면 주관(6a) 및 지관(6b)이 건물의 슬라브(5)에 견고하면서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기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의 타측 배관파이프지지부(3)의 연결편(3cb)의 상면에 지관(6b)이 연결되는 와이티(7)의 지관결합부(7b)가 접하면서 전, 후측 안내편(3ca)의 사이에 지관결합부(7b)가 삽입되어서 안치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티(7)는 물론, 와이티(7)에 연결된 주관(6a) 및 지관(6b)이 견고하게 슬리브(4) 내의 정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양측 배관파이프지지부(1)(3)가 건물의 슬라브(5)의 내부에 설치된 슬리브(4)의 중공부(4a)에 밀착되게 삽입되어서 견고하면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양측 배관파이프지지부(1)(3)의 각 밴드편(1a)(3b)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관(6a)이 연결된 와이티(7)에 양측 배관파이프지지부(1)(3)의 각 밴드편(1a)(3b)이 꼭 조이면서 밀착되게 부착되어서 와이티(7)를 고정시킨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배관파이프(6)인 상, 하측의 주관(6a) 및 지관(6b)의 일측부가 잘록하게 찌그러들면서 내측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게 되고, 배관파이프(6) 내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배관파이프(6) 내에서 유체가 펌프로부터의 압력이나 수격현상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배관파이프(6)의 위치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변형이 되는 일이 없이 안정된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되고, 주관(6a)이 슬리브(4)의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슬리브(4)와 와이티(7)의 하부 사이 및 슬리브(4)와 배관파이프(6) 사이의 공간부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로 단열재를 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는 주관(6a)과 지관(6b)이 연결된 와이티(7)에 양측 배관파이프지지부(1)(3)의 각 밴드편(1a)(3b)이 밀착되게 부착되어서 와이티(7)를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와이티(7)에 결합되어서 연결된 배관파이프(6)가 잘록하게 찌그러 들지 않게 되어 배관파이프(6) 내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펌프로부터의 압력이나 수격현상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배관파이프(6)의 위치가 이탈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와이티(7)에 결합된 본 고안의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를 슬리브(4)에 올려놓고 눌러주기만하면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가 슬리브(4)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서 설치되기 때문에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슬리브(4)의 중심부에 배관파이프(6)의 주관(6a)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슬리브(4) 내에 단열재가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배관파이프(6)에 대한 보온 및 소음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 밴드편과, 상기 밴드편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밴드편과 플랜지의 양단부에 상기 밴드편과 플랜지의 단부를 이어주면서 볼트체결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전, 후측체결부와, 상기 플랜지의 저면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일측 배관파이프지지부와;
    상기 일측 배관파이프지지부의 전, 후측체결부에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패드가 사이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 대하면서 볼트체결홈이 각각 형성된 수직방향의 전, 후측체결부와, 일측에 형성된 지관안치부와, 저면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타측 배관파이프지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관파이프지지부의 지지편에 패드가 각각 삽입되어서 밀착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배관파이프지지부는 상기 전, 후측 체결부의 각 일단부에 연장되어서 각각 형성된 전, 후측의 원호형상의 밴드편과, 상기 전, 후측의 각 밴드편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관안치부와, 상기 전방측 또는 후방측 체결부의 하단부와, 전방측 또는 후방측 밴드편의 하단부와 지관안치부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주면서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전, 후측 플랜지와, 상기 전방측 또는 후방측 플랜지의 저면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각 지지편에 각각 삽입되는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관안치부는 상기 전, 후측의 각 밴드편의 일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전, 후측의 안내편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전, 후측 안내편의 각 외측단부의 하단부의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2003-0014340U 2003-05-09 2003-05-09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31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340U KR200331230Y1 (ko) 2003-05-09 2003-05-09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340U KR200331230Y1 (ko) 2003-05-09 2003-05-09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30Y1 true KR200331230Y1 (ko) 2003-10-23

Family

ID=4941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340U KR200331230Y1 (ko) 2003-05-09 2003-05-09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45B1 (ko) 2006-01-18 2007-11-20 한재광 입상관 고정장치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9-04-15 박점순 배수관 고정장치
KR100951038B1 (ko) 2010-01-25 2010-04-05 심현일 입상배관용 고정 장치 및 그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081Y1 (ko) * 1996-06-12 1999-04-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2000240269A (ja) * 1999-02-23 2000-09-05 Inaba Denki Sangyo Co Ltd 閉塞材支持具
KR200209862Y1 (ko) * 2000-06-09 2001-01-15 주식회사영진공영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JP2002130535A (ja) * 2000-10-17 2002-05-09 Nichiei Intec Co Ltd 配管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支持構造
JP2002228049A (ja) * 2001-02-02 2002-08-14 Inaba Denki Sangyo Co Ltd 配管カバ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081Y1 (ko) * 1996-06-12 1999-04-01 한상열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2000240269A (ja) * 1999-02-23 2000-09-05 Inaba Denki Sangyo Co Ltd 閉塞材支持具
KR200209862Y1 (ko) * 2000-06-09 2001-01-15 주식회사영진공영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JP2002130535A (ja) * 2000-10-17 2002-05-09 Nichiei Intec Co Ltd 配管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支持構造
JP2002228049A (ja) * 2001-02-02 2002-08-14 Inaba Denki Sangyo Co Ltd 配管カ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45B1 (ko) 2006-01-18 2007-11-20 한재광 입상관 고정장치
KR100892784B1 (ko) 2007-06-20 2009-04-15 박점순 배수관 고정장치
KR100951038B1 (ko) 2010-01-25 2010-04-05 심현일 입상배관용 고정 장치 및 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3616A (en) Flexible drainage trap
KR20044067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US20080196161A1 (en) Flexible Bathtub Waste Pipe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CA2661387C (en) Off-set carrier
KR200331230Y1 (ko)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396463Y1 (ko) 배관용 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JP4155649B2 (ja) 集合管継手及び集合管継手の支持方法
KR101403385B1 (ko) 건축시설물 배관의 지지가대 고정용 브라켓
KR102095153B1 (ko) 설치가 용이한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의 슬리브 연결구
KR200362351Y1 (ko) 건축용 배관 파이프의 지지장치
JP2003206557A (ja) 排水管装置
JP2000205456A (ja) 集合管継手の支持方法
JP2001214485A (ja) 集合住宅における要排水設備の排水ヘッダーの設置構造
JP3805445B2 (ja) 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0936461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0187820Y1 (ko) 입상관 고정구
JP2004143759A (ja) 排水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JP3050968B2 (ja) 配管構造
JPH04181088A (ja) 金属ベローズ付伸縮管継手
JPH0316362Y2 (ko)
JPH0217263Y2 (ko)
CN212338405U (zh) 一种便于安装的进管口支撑件
JPS61418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