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49B1 -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49B1
KR100877149B1 KR1020070061668A KR20070061668A KR100877149B1 KR 100877149 B1 KR100877149 B1 KR 100877149B1 KR 1020070061668 A KR1020070061668 A KR 1020070061668A KR 20070061668 A KR20070061668 A KR 20070061668A KR 100877149 B1 KR100877149 B1 KR 10087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edge block
fixture
slee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783A (ko
Inventor
문학조
Original Assignee
문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학조 filed Critical 문학조
Priority to KR102007006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14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는,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와, 차폐판부와 연결되고 이격공간 내에서 입상관의 외면과 슬리브의 내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스커트부를 갖는 고정구본체; 한 쌍의 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입상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쐐기블록; 및 고정구본체와 쐐기블록을 연결하며,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입상관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접근되면서 입상관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위치 간을 쐐기블록이 이동될 수 있도록 쐐기블록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관을 고정시키면서도 동시에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 종래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들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 및 다양한 작업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입상관, 고정, 고정구, 건축, 슬리브(sleeve)

Description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A FIX DEVICE FOR STANDING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2 : 입상관
10 :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20 : 고정구본체
30 : 차폐판부 31 : 덧살리브
32 : 플랜지부 34 : 통공
41,42 : 스커트부 50 : 쐐기블록
51,52 : 테이퍼면 60 : 블록이동부
61 : 머리부 62 : 축부
63 : 와셔 65 : 인서트너트
본 발명은,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상관을 고정시키면서도 동시에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 종래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들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 및 다양한 작업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를 배수하는 오수 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틀어 소위, 입상관이라 한다. 입상관은 보통 건물의 시공 시 건물에 함께 매설된 슬리브(sleeve) 내에 배관된다. 슬리브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파이프(pipe)를 의미한다.
즉, 건물 시공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슬리브를 건물에 함께 매설한 다 음, 슬리브 내로 슬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입상관을 배관한 후에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상관은 슬리브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입상관을 슬리브 내에 설치한 후에는 입상관을 고정해야 한다.
만약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일 실시예에서는 벽면 등에 고정되어 있는 앵글에 U형 볼트를 결합하여 입상관을 고정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방식을 이용하여 입상관을 고정하는 경우, 상대적인 직경 차로 인해 발생된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이 건물의 층간 소음을 야기하거나 혹은, 화재 발생 시 화공 역할을 하고, 이물질의 축적 공간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상관을 고정하기는 하되, 이에 더하여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에 발생된 이격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의 한 예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2000-0000556호 및 10-2005-0023069호 등으로서 공지된 바 있다.
그런데, 공지된 기술들은,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를 슬리브에 직접 하나씩 조여서 일일이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층막 음 입상관 고정구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각종 작업 로스(loss)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관을 고정시키면서도 동시에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 종래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들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 및 다양한 작업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와, 상기 차폐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입상관의 외면과 상기 슬리브의 내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스커트부를 갖는 고정구본체;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상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쐐기블록; 및 상기 고정구본체와 상기 쐐기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입상관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접근되면서 상기 입상관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위치 간을 상기 쐐기블록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블록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는, 상기 차폐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위치 시 상기 입상관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내측 스커트부; 및 상기 차폐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내측 스커트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위치 시 상기 슬리브의 내면에 접촉지지되는 외측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쐐기블록의 양측 외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은 테이퍼진 테이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쐐기블록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 테이퍼면; 및 상기 쐐기블록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2 테이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이퍼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 테이퍼면의 경사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동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은, 상기 차폐판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차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 사이로 배치되고 상기 쐐기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는 상기 쐐기블록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는 상기 쐐기블록 내에 인서트 삽입된 인서트너트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는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단위부분 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입상관의 외면 및 상기 슬리브의 내면과의 접촉 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는 미끄럼방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본체에는 앵커 체결용 통공이 구비된 플랜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부의 내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면과의 면접촉 지지를 위한 덧살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는, 슬리브(1, sleeve)와, 슬리브(1) 내에 삽입된 입상관(2) 사이에 상대적인 직경 차로 인해 발생되는 이격공간(S) 영역에 설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는, 슬리브(1)와 입상관(2) 사이의 이격공간(S)에 설치되어 입상관(2)을 고정하는 역할과, 이격공간(S)을 차폐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참고로, 슬리브(1)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M)에 매입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연장날개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돌출리브(1b)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슬리브(1)의 형상이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을 필요는 없다. 즉, 슬리브(1)는 단순한 파이프(pipe) 형태일 수도 있다.
이처럼 슬리브(1)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M)에 매입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지만, 입상관(2)은 필요에 따라 슬리브(1)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에 의해 반드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는 크게, 고정구본체(20)와, 쐐기블록(50)과, 블록이동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만약, 본 실시예와 같이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의 도넛(doughnut) 형상을 갖는다면,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가 2개의 단위부분(10a,10b)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처럼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가 2개의 단위부분(10a,10b)으로 상호 분리 되면, 입상관(2)을 사이에 두고 2개의 단위부분(10a,10b)을 상호 맞물리면서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는 3개 혹은 3개 이상의 단위부분(미도시)으로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되는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은 실질적으로 대칭형으로서 그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2개의 단위부분(10a,10b)에 대한 개괄적인 참조부호만 구별하고, 나머지 세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부호를 구별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을 이루는 고정구본체(20), 쐐기블록(50) 및 블록이동부(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구본체(20)는, 입상관(2)과 슬리브(1) 사이의 이격공간(S)을 횡방향으로 차폐하는 차폐판부(30)와, 차폐판부(30)와 연결되고 이격공간(S) 내에서 입상관(2)의 외면과 슬리브(1)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스커트부(41,42)를 구비한다.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 형성된 차폐판부(30)는 실질적으로 도넛(doughnut) 형상을 절반으로 자른 형태를 가지며,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 형성된 차폐판부(30)가 상호 조립됨으로써 이격공간(S)을 차폐한다.
결국, 차폐판부(30)는 슬리브(1)와 입상관(2) 사이의 이격공간(S)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폐판부(30)의 내면에는 입상관(2)의 외면과의 면접촉 지지를 위한 덧살리브(31)가 더 형성되어 있다. 차폐판부(30)의 판면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덧살리브(31)로 인해 차폐판부(30)는 해당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입상관(2)과 차폐판부(30) 사이에 발생 가능한 공간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덧살리브(31)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차폐판부(30)의 외주면에는, 차폐판부(30)의 판면과 나란하도록 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 면적의 플랜지부(32)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32)의 판면에는 플랜지부(32)를 관통하는 앵커 체결용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 체결용 통공(34)은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슬리브(1)나 혹은 몰타르층(M)에 한 번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고자 앵커(미도시)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앵커 체결용 통공(34)은 작업의 편의를 위해 장공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물론, 앵커 체결용 통공(34)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슬리브(1)의 상면에 플랜지부(32)와 유사한 형태의 덧살(미도시)이 있어야 하며, 그래야만 앵커(미도시)를 체결용 통공(34)으로 삽입하여 덧살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덧살이 없는 슬리브(1)에 본 실시예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장착하려 한다면, 플랜지부(32)가 없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차폐판부(30)가 주로 이격공간(S)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반해, 한 쌍의 스커트부(41,42)는 실질적으로 입상관(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한 쌍의 스커트부(41,42)는 후술할 쐐기블록(50)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호 좁혀지거 나(접근되거나) 혹은 상호 벌어지게(이격되게) 되는데, 상호 벌어지는 과정에서 입상관(2)을 고정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스커트부(41,42) 중에서 내측에 위치하여 입상관(2)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내측 스커트부(41)라 하고, 내측 스커트부(4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슬리브(1)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외측 스커트부(42)라 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입상관(2)의 외면 및 슬리브(1)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의 외면에는 미끄럼방지부로서의 요철부(41a,4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41a,42a)는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가 입상관(2)의 외면 및 슬리브(1)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될 경우에,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철부(41a,42a)로 인해 입상관(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요철부(41a,42a)는 사각 치형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치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요철부(41a,42a) 대신에 고무 패드 등을 부착하여 미끄럼방지부의 역할을 대신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는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 2개씩 마련된다. 따라서 후술할 쐐기블록(50) 역시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 2개씩 마련된다. 이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에 대한 재료비 및 중량을 전반적으로 낮추기 위한 한 방안에 해당한다.
쐐기블록(50)은,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사이에 배치되어 입상관(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가 상호 좁혀지도록(접근되도록) 혹은 상호 벌어지도록(이격되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쐐기블록(50)의 동작은 후술할 블록이동부(60)에 의해 행해진다.
쐐기블록(50)의 동작에 의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의 내면에 각각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쐐기블록(50)의 양측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면(51)은 내측 스커트부(41)의 내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고, 제2 테이퍼면(52)은 외측 스커트부(42)의 내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물론, 쐐기블록(50)의 양측 외면 모두에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쐐기블록(50)의 양측 외면 중에서 어느 한 면만이 테이퍼진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의 경사각도는 서로 다르게 제작된다. 즉, 제2 테이퍼면(52)의 경사각도는 제1 테이퍼면(51)의 경사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블록이동부(60)의 동작에 의해 쐐기블록(50)이 상승할 경우, 제2 테이퍼면(52)으로 인해 외측 스커트부(4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좀 더 많이 이동하면서 슬리브(1)의 내면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이 각각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의 내면은 모두가 직선의 형태 를 취할 수도 있고, 혹은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과 대응되는 형태의 경사도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블록이동부(60)는 고정구본체(20)와 쐐기블록(50)을 연결하여 쐐기블록(5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블록이동부(60)는, 쐐기블록(50)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가 상호 이격되면서 입상관(2)을 고정하는 고정위치(도 6 참조)와,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가 상호 접근되면서 입상관(2)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위치(도 5 참조)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쐐기블록(5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블록이동부(60)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판부(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60)로서 블록이동부(60)를 구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면,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 2개씩의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그리고 쐐기블록(5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볼트(60) 역시 쐐기블록(50)의 개수에 맞게 2개 마련된다.
복수의 볼트(60) 각각은, 차폐판부(30)의 상면에 마련되는 머리부(61)와, 머리부(61)와 연결되며, 차폐부를 관통하여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사이로 배치되고 쐐기블록(50)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62)를 갖는다. 축부(62)는 쐐기블록(50) 내에 인서트 삽입된 인서트너트(65)에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구본체(20)를 비롯하여 쐐기블록(50)이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쐐기블록(50)에 인서트너트(65)를 삽입하고 인서트너트(65)에 축부(62)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만약, 쐐기블록(50)이 보다 견고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혹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경우라면, 쐐기블록(50) 내에 굳이 인서트너트(65)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럴 경우라면, 쐐기블록(50) 내에 축부(62)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미도시)을 형성시키면 된다.
이에, 머리부(61)를 일방향 혹은 타방으로 회전시키면, 축부(62)와 나사 결합된 인서트너트(65)로 인해 쐐기블록(50)이 도 6과 같이 상승하여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를 이격시키거나(도 6 참조), 쐐기블록(50)이 도 5와 같이 하강하여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는 접근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61)는 육각 렌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십자형 혹은 일자형의 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머리부(61)와 차폐판부(30)의 상면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63)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 내에 입상관(2)을 설치한 후, 입상관(2)을 중심으로 2개로 분할되어 있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좌우로 끼워 맞추어 이격공간(S)에 장착한다.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이격공간(S)에 장착하면 차폐판부(30)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이격공간(S)을 차폐하게 되고,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는 이격공간(S) 내에 수용된다.
다음, 작업자가 차폐판부(30)의 상부에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머리부(6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축부(62)에 나사 결합된 인서트너트(65)가 축부(62)를 따라 머리부(61) 쪽으로 이동(상승)하면서 전반적으로 쐐기블록(50)을 상승시킨다. 쐐기블록(50)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사이에서 상승하면 쐐기블록(50)의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에 의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는 상호 벌어지면서 각각이 입상관(2)의 외면과 슬리브(1)의 내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1) 내에 설치된 입상관(2)은 고정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반대로, 체결되어 있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를 해제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머리부(6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축부(62)에 나사 결합된 인서트너트(65)가 축부(62)를 따라 머리부(61) 반대쪽으로 이동(하강)하면서 전반적으로 쐐기블록(50)을 하강시킨다. 쐐기블록(50)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사이에서 하강하면 쐐기블록(50)의 제1 및 제2 테이퍼면(51,52)이 이탈되는 현상에 의해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는 상호 좁혀지면서 입상관(2)의 외면과 슬리브(1)의 내면을 가압했던 힘에 제거된다. 따라서 슬리브(1) 내에 설치된 입상관(2)은 고정해제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상관(2)을 고정시키면서도 동시에 입상관(2)과 슬리브(1) 사이의 이격공간(S)을 차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종래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10)들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 및 다양한 작업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 구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2개의 단위부분(10a,10b) 각각에는 2개씩의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41,42), 그리고 쐐기블록(50)이 마련되어 있었다.
하지만,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위부분(110a,110b) 각각에 분리되지 않은 일체형 타입의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141,142), 그리고 쐐기블록(150)이 마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플랜지부(32)에는 플랜지부(32)를 관통하는 앵커 체결용 통공(34)이 뚫린 상태로 형성되었다.
하지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앵커 체결용 통공(34)은 필요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제1 실시예와 같이, 뚫려져 있을 필요는 없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32)에 앵커 체결용 통공(미도시)을 간편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통공절개선(134)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8과 같을 경우, 필요시 사용자가 통공절개선(134)을 가압하여 구멍을 만든 후, 이를 이용하면 된다. 통공절개선(134)은 도 8과 같이, 원형일 수도 있고 혹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장공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블록이동부(60)에서 머리부(61)는 차폐판부(3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였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부(30)에 일정한 함몰홈부(37)를 형성하고, 머리부(61)가 함몰홈부(37) 내에 삽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는 PVC나 PP 재질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PVC나 PP 재질 외의 다른 재질이 사용되거나 복합 재료가 사용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는 상대적으로 유연하거나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관을 고정시키면서도 동시에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등 종래의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들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 및 다양한 작업 로스(loss)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11)

  1.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와, 상기 차폐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입상관의 외면과 상기 슬리브의 내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호 이격배치된 한 쌍의 스커트부를 갖는 고정구본체;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상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쐐기블록; 및
    상기 고정구본체와 상기 쐐기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입상관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가 상호 접근되면서 상기 입상관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위치 간을 상기 쐐기블록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블록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동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이며,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은,
    상기 차폐판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폐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 사이로 배치되며, 상기 쐐기블록 내에 인서트 삽입된 인서트너트에 직접 나사 결합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는,
    상기 차폐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위치 시 상기 입상관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내측 스커트부; 및
    상기 차폐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내측 스커트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위치 시 상기 슬리브의 내면에 접촉지지되는 외측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쐐기블록의 양측 외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은 테이퍼진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쐐기블록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 테이퍼면; 및
    상기 쐐기블록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스커트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2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면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1 테이퍼면의 경사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는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단위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입상관의 외면 및 상기 슬리브의 내면과의 접촉 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는 미끄럼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본체에는 앵커 체결용 통공이 구비된 플랜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부의 내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면과의 면접촉 지지를 위한 덧살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1020070061668A 2007-06-22 2007-06-22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10087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68A KR100877149B1 (ko) 2007-06-22 2007-06-22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68A KR100877149B1 (ko) 2007-06-22 2007-06-22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83A KR20080112783A (ko) 2008-12-26
KR100877149B1 true KR100877149B1 (ko) 2009-01-07

Family

ID=4037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68A KR100877149B1 (ko) 2007-06-22 2007-06-22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238B1 (ko) * 2010-10-01 2012-11-27 하헌식 층막음 고정구 전용 관통 슬리브
KR20160042403A (ko) 2016-03-14 2016-04-19 (주)대륜이엔에스 스탠드 파이프 보호 캡
KR101666369B1 (ko) * 2015-05-13 2016-10-17 (주)세이프코리아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KR20230000310U (ko) 2021-08-03 2023-02-10 박성우 가스 입상관 보호 커버용 안전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19B1 (ko) * 2009-12-04 2012-01-31 박찬석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57795Y1 (ko) * 2010-06-23 2012-01-03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KR200470890Y1 (ko) * 2012-02-28 2014-02-04 문학조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KR200488953Y1 (ko) * 2017-06-28 2019-04-10 주식회사 피앤아이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1957432B1 (ko) * 2018-08-21 2019-03-12 주식회사 파이어넷 일반 슬리브용 입상배관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08B1 (ko) * 2004-07-09 2005-06-28 (주)위더스 파이프 고정장치
KR100626620B1 (ko) 2005-03-31 2006-09-22 한재광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100676727B1 (ko) 2005-03-31 2007-02-01 한재광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100788022B1 (ko)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08B1 (ko) * 2004-07-09 2005-06-28 (주)위더스 파이프 고정장치
KR100626620B1 (ko) 2005-03-31 2006-09-22 한재광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100676727B1 (ko) 2005-03-31 2007-02-01 한재광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100788022B1 (ko) 2007-01-12 2007-12-21 박점순 배수관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238B1 (ko) * 2010-10-01 2012-11-27 하헌식 층막음 고정구 전용 관통 슬리브
KR101666369B1 (ko) * 2015-05-13 2016-10-17 (주)세이프코리아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KR20160042403A (ko) 2016-03-14 2016-04-19 (주)대륜이엔에스 스탠드 파이프 보호 캡
KR20230000310U (ko) 2021-08-03 2023-02-10 박성우 가스 입상관 보호 커버용 안전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83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149B1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200479400Y1 (ko) 입상배관 시공구조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US5293724A (en) Coupling assembly for corrugated decks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reto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964848B1 (ko) 조립식 알루미늄과 스크류 케미칼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물의 설치 공법 및 그 구조체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EP2014838B1 (en) Wall bend fixture for water pipes leading through a wall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JP2008115595A (ja) 合流継ぎ手
KR200405550Y1 (ko) 파이프 써포트
FI12380U1 (fi) Läpivientikappale viemäriputken viemiseksi talon välipohjan läpi
KR100709781B1 (ko) 슬래브 관통용 배관의 고정방법과 그 지지장치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102415362B1 (ko) 단열기능과 천공관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102166905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0393413B1 (ko) 입상관 고정구
JP6321463B2 (ja) 配管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496747Y1 (ko) 입상배관용 고정장치
CN101235658A (zh) 一种膨胀锚栓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101904290B1 (ko)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JP4668219B2 (ja) 排水設備及びその排水設備の更新方法
KR200320872Y1 (ko) 건축 외장재 연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