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90Y1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890Y1 KR200470890Y1 KR2020120001545U KR20120001545U KR200470890Y1 KR 200470890 Y1 KR200470890 Y1 KR 200470890Y1 KR 2020120001545 U KR2020120001545 U KR 2020120001545U KR 20120001545 U KR20120001545 U KR 20120001545U KR 200470890 Y1 KR200470890 Y1 KR 2004708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pair
- tube
- granular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는, 일 영역이 입상관과 슬리브(sleeve)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게 고정되며, 부분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입상관을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입상관 고정유닛; 및 입상관 고정유닛에 클램핑되어 입상관 고정유닛이 벌어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며, 고정클램프는, 단부에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힌지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입상관 고정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을 조이기 위해 한 쌍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한 쌍의 플랜지부에 마련되어 체결부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클램프가 풀릴 우려가 없어 입상관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입상관이 강관이거나 주철관 등으로 제작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그 적용 범위를 종래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를 배수하는 오수 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틀어 소위, 입상관이라 한다. 입상관은 보통 건물의 시공 시 건물에 함께 매설된 슬리브(sleeve) 내에 배관된다. 슬리브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좀 더 부연하면, 건물 시공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슬리브를 건물에 함께 매설한 다음, 슬리브 내로 슬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입상관을 배관한 후에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상관은 슬리브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입상관을 슬리브 내에 설치한 후에는 입상관을 고정해야 한다.
만약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일 실시예에서는 벽면 등에 고정되어 있는 앵글에 U형 볼트를 결합하여 입상관을 고정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방식을 이용하여 입상관을 고정하는 경우, 상대적인 직경 차로 인해 발생된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이 건물의 층간 소음을 야기하거나 혹은, 화재 발생 시 화공 역할을 하고 이물질의 축적 공간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입상관 고정구를 사용하여 입상관을 고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입상관 고정구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9274호(선행기술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입상관 고정구(1)는 슬래브(slab) 공사 시 매설되는 합성수지제 슬리브(3, sleeve)를 이용하여 입상관(2)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상관(2)을 감쌀 수 있도록 양분되는 한 쌍의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와,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의 상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밴드 이탈방지턱(6a,6a')을 구비한다.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의 수평면에는 이웃하는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의 상측에 포개어지도록 덮개판(9,9')이 형성된다.
이에, 한 쌍의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를 벌려 입상관(2)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판(9,9')이 이웃하는 플랜지형 고정구부재(4,4')의 상측에 포개어지도록 하고, 이어서 금속제 밴드인 케이블 밴드(7)를 밴드 이탈방지턱(6a,6a')에 고정시킴으로써 입상관 고정구(1)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통상적인 케이블 타이 형식의 케이블 밴드(7)를 이용하여 입상관(2)을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케이블 밴드(7)가 풀릴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만약, 케이블 밴드(7)가 풀리게 되면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조 보완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케이블 밴드(7)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압축 하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입상관(2)이 무거운 강관이거나 주철관 등인 경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효율적인 구조의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클램프가 풀릴 우려가 없어 입상관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입상관이 강관이거나 주철관 등으로 제작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그 적용 범위를 종래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영역이 입상관과 슬리브(sleeve)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게 고정되며, 부분적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입상관을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입상관 고정유닛; 및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에 클램핑되어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이 벌어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램프는, 단부에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힌지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을 조이기 위해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체결부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노출 단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마주보는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서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마주보는 내벽 모두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은 각각 표면에 보강홈부가 형성되는 반달 형상의 플레이트(plate)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볼트, 너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은, 상기 입상관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입상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결합부; 및 상기 유닛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결합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클램프가 배치되는 넥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유닛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클램프의 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클램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저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닛 바디의 둘레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결합부는, 외면에 빗살저항부가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외벽부와 이격 배치되는 내벽부; 및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은 연질의 합성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클램프가 풀릴 우려가 없어 입상관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입상관이 강관이거나 주철관 등으로 제작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그 적용 범위를 종래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입상관 고정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가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에 조립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상관 고정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로서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이 벌어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전(前)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8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후(後)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가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에 조립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상관 고정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로서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이 벌어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전(前)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8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후(後) 상태의 구조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가 입상관과 슬리브 사이에 조립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상관 고정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고정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로서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이 벌어진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전(前)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8은 고정클램프의 클램핑 후(後) 상태의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상관 고정구(130)는, 슬리브(120, sleeve)와 슬리브(120) 내에 삽입되는 입상관(110) 간의 상대적인 직경 차로 인해 발생되는 이격공간(S) 영역에 설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입상관 고정구(130)는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공간(S)에 설치되어 입상관(110)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이격공간(S)을 차폐하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참고로, 입상관(110)은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등을 배수하는 오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관(pipe)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용된다.
그리고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는 연장날개부(120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돌출리브(120b)가 형성된다. 하지만, 슬리브(120)의 형상이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을 필요는 없다. 즉, 슬리브(120)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일 수 있다.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슬리브(120) 내에는 내화단열재인 세라크울을 비롯하여 충막음 부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지만, 입상관(110)은 필요에 따라 슬리브(120)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입상관 고정구(130)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11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110)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본 실시예의 입상관 고정구(130)는 부분적으로 분할 형성되는 입상관 고정유닛(140)과, 입상관 고정유닛(140)에 클램핑되어 입상관 고정유닛(140)이 벌어지는 것을 지지시키는 고정클램프(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상관 고정유닛(140)은 연질의 합성섬유로 제작된다. 즉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EPDM, 난연제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EPDM은 에틸렌과 프로필렌, 그리고 디엔을 삼원공중합한 열가소성합성고무이다. EPDM은 일반 합성고무(SBR. SBS, NBR 등)와 달리 부타디엔성분이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후성이 일반 합성고무보다 우수하고 전기 절연성도 뛰어나다.
이와 같은 재질로 입상관 고정유닛(140)이 제작되기 때문에 밀폐성, 방음, 난연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고 부식이 되지 않아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공간(S)에 설치되어 입상관(110)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이격공간(S)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알려진 입상관 고정구 중에는 재질적 혹은 구조적인 단점으로 인해 차음, 진동, 방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있으나 본 실시예의 입상관 고정유닛(140)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입상관 고정유닛(140)은,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141)와, 유닛 바디(141)의 일측에 마련되며,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결합부(142)와, 유닛 바디(141)를 기준으로 삽입결합부(142)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고정클램프(150)가 배치되는 넥크부(143)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상관 고정유닛(140)을 유닛 바디(141), 삽입결합부(142) 및 넥크부(143)로 분리하여 설명하겠지만 이들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유닛 바디(141)는 원반 형상의 평평한 부분으로서 유닛 바디(141)의 둘레면에는 날개부(144)가 마련된다. 날개부(144)는 유닛 바디(141)의 둘레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통공(144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44a)은 앵커 체결을 위한 장소를 형성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입상관 고정구(130)를 몰타르층에 한 번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고자 앵커(미도시)를 사용할 때, 앵커가 날개부(144)의 통공(144a)으로 체결될 수 있다. 통공(144a)은 도면과 달리 장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날개부(144)에 통공(144a)이 없는 모델이 사용될 수도 있고, 아예 날개부(144)가 없는 모델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들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삽입결합부(142)는 유닛 바디(141)의 일측에 마련되며,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삽입결합부(142)는, 외면에 빗살저항부(142a)가 형성되는 외벽부(142b)와, 외벽부(142b)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벽부(142b)와 이격 배치되는 내벽부(142c)와, 외벽부(142b)와 내벽부(142c)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142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삽입결합부(142)를 외벽부(142b)와 내벽부(142c)의 이중 벽체 구조로 만들면서 외벽부(142b)와 내벽부(142c) 사이에 다수의 보강 리브(142d)를 형성시키는 경우, 강도 유지에 탁월하면서도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벽부(142b)의 외면에 빗살저항부(142a)가 형성됨에 따라 삽입결합부(142)를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삽입시킬 경우, 쉽게 빠지지 않고 제위치에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넥크부(143)는 유닛 바디(141)를 기준으로 삽입결합부(142)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고정클램프(150)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넥크부(143)의 단부에는 유닛 바디(141)와의 사이에 고정클램프(150)의 자리를 형성하며, 고정클램프(150)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저지부(145)가 마련된다. 이탈저지부(145)는 넥크부(143)의 다른 부분보다 부피가 큰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정클램프(150)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넥크부(143)의 내벽에도 입상관(110)과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빗살저항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입상관 고정유닛(140)은 일측이 절개된 즉 찢어진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입상관(110)을 둘러싸면서 입상관(110)에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다만, 입상관 고정유닛(140)을 벌려 입상관(110)에 결합시킨 후에는 입상관 고정유닛(140)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해야 하는데, 이를 고정클램프(150)가 담당하는 것이다. 입상관 고정유닛(140)과 달리 고정클램프(15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클램프(150)는, 단부에 플랜지부(152)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과,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을 조이기 위해 한 쌍의 플랜지부(152)에 체결되는 체결부(154)와, 한 쌍의 플랜지부(152)에 마련되어 체결부(154)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부(155)를 포함한다.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은 힌지(153)에 의해 상호간 접근(도 4 참조) 또는 이격(도 6 참조)되면서 입상관 고정유닛(140)의 넥크부(143)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은 반달 형상의 플레이트(plate) 구조물로서, 그 표면에는 보강홈부(151a)가 형성된다. 보강홈부(151a)는 클램프 아암(151)의 내벽 쪽에서 외벽을 향해 가압된 형태로 제작되며, 클램프 아암(151)이 임의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보강 기능을 담당한다. 물론, 클램프 아암(151)에 보강홈부(151a)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은 힌지(153)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입상관 고정유닛(140)의 넥크부(143)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각각 상호간 나란하게 플랜지부(15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52)는 클램프 아암(151)의 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으로서 체결부(154)가 결합되는 장소를, 또한 풀림방지부(155)가 마련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체결부(154)는 볼트(B), 너트(N) 또는 와셔(W)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W)는 평 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포함할 수 있는데, 스프링 와셔가 적용되면 볼트(B)와 너트(N)가 잘 풀리지 않는 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의 임의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풀림방지부(155)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을 조이기 위해 체결한 체결부(154), 즉 체결부(154)의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풀림방지부(155)는 체결부(154)에 이웃된 한 쌍의 플랜지부(152)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155)는 한 쌍의 플랜지부(152)의 노출 단부 영역에서 한 쌍의 플랜지부(152)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결한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풀림방지부(155)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1) 한 쌍의 플랜지부(152) 사이에 탄성이 큰 스프링와셔나 댐핑(damping)이 큰 고무와셔를 끼우는 방법, 2) 혀붙이와셔 또는 톱니붙이와셔를 사용하여 너트(N)를 고정하는 방법, 3) 록너트(더블너트, 고정너트)를 이용하는 방법, 4) 너트(N)가 볼트(B)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분할핀을 이용하여 너트(N)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 5) 볼트(B) 면에 플라스틱이 들어간 너트(미도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한 쌍의 플랜지부(152)의 마주보는 내벽 모두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해 풀림방지부(155)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한 쌍의 플랜지부(152)의 마주보는 내벽 중 어느 한 쪽에서 상대편을 향해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의 돌출부는 플랜지부(152)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플랜지부(15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공법이 사용되면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풀림방지부(155)로서의 돌출부는, 도 7에서 도 8처럼 체결부(154)의 볼트(B)와 너트(N)를 조일 때, 서로 접촉되어 한 쌍의 플랜지부(152)의 단부 영역이 상호간 이격되도록 하는데, 이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를 계속 조이면 돌출부의 반대편 영역, 즉 클램프 아암(151)과 플랜지부(152) 사이 영역이 서로 좁아지면서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이 조여져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트(B)와 너트(N)를 조이면서 실제로 힘을 가압하는 방향과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이 조여져 클램핑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벡터 성분의 힘으로 인하여 기체결된 체결부(154)의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기 어렵게 되며, 이로써 입상관(110)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처럼 풀림방지부(155)로서의 돌출부 없이 단순히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한 쌍의 플랜지부(152)를 그대로 조이면 한 쌍의 플랜지부(152)가 나란한 상태에서 서로 좁아지면서 한 쌍의 클램프 아암(151)이 조여져 클램핑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 한 쌍의 플랜지부(152)가 벌어지려는 역방향으로의 힘이나 진동이 작용되면 볼트(B)와 너트(N)가 임으로 풀리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리브(120) 내에 입상관(110)을 배치한 후, 그 사이의 이격공간(S)으로 입상관 고정유닛(140)을 배치하여 입상관(110)을 감싸도록 한 다음, 입상관 고정유닛(140)의 넥크부(143)에 고정클램프(150)를 배치하여 체결부(154)의 볼트(B)와 너트(N)를 조이면 도 2처럼 입상관 고정구(130)의 조립이 손쉽게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풀림방지부(155)로 인해 체결부(154)의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기 어렵기 때문에 입상관(110)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클램프(150)가 풀릴 우려가 없어 입상관(110)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입상관(110)이 강관이거나 주철관 등으로 제작되더라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그 적용 범위를 종래보다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입상관 120 : 슬리브
130 : 입상관 고정구 140 : 입상관 고정유닛
141 : 유닛 바디 142 : 삽입결합부
143 : 넥크부 144 : 날개부
144a : 통공 145 : 이탈저지부
150 : 고정클램프 151 : 클램프 아암
151a : 보강홈부 152 : 플랜지부
153 : 힌지 154 : 체결부
155 : 풀림방지부
130 : 입상관 고정구 140 : 입상관 고정유닛
141 : 유닛 바디 142 : 삽입결합부
143 : 넥크부 144 : 날개부
144a : 통공 145 : 이탈저지부
150 : 고정클램프 151 : 클램프 아암
151a : 보강홈부 152 : 플랜지부
153 : 힌지 154 : 체결부
155 : 풀림방지부
Claims (11)
- 입상관과 슬리브(sleeve) 사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와,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입상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결합부와, 상기 유닛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결합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고정클램프가 배치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상관을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입상관 고정유닛; 및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에 클램핑되어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이 벌어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며,
고정클램프는,
단부에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힌지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을 조이기 위해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체결부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의 삽입결합부는,
외면에 빗살저항부가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외벽부와 이격 배치되는 내벽부; 및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노출 단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마주보는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서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의 마주보는 내벽 모두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은 각각 표면에 보강홈부가 형성되는 반달 형상의 플레이트(plate) 구조물이며,
상기 체결부는, 볼트, 너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유닛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클램프의 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클램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저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바디의 둘레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고정유닛은 연질의 합성섬유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545U KR200470890Y1 (ko) | 2012-02-28 | 2012-02-28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545U KR200470890Y1 (ko) | 2012-02-28 | 2012-02-28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277U KR20130005277U (ko) | 2013-09-05 |
KR200470890Y1 true KR200470890Y1 (ko) | 2014-02-04 |
Family
ID=5141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1545U KR200470890Y1 (ko) | 2012-02-28 | 2012-02-28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89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6087A (ko) | 2021-08-17 | 2023-02-24 | (주)대승산업 | 입상관 고정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305Y1 (ko) * | 2014-12-12 | 2015-02-13 | 이상춘 | 레벨링 풋패드 |
KR102505320B1 (ko) * | 2016-03-11 | 2023-03-07 |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
KR200483900Y1 (ko) * | 2016-11-10 | 2017-07-07 | 한윤식 | 자연대류와 난방이 되는 조립식 돔 하우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191Y1 (ko) * | 2005-04-04 | 2005-07-08 |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
KR20080001340U (ko) * | 2008-05-06 | 2008-05-26 | 김동현 | 개량형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KR20080112783A (ko) * | 2007-06-22 | 2008-12-26 | 문학조 |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
KR20100005084U (ko) * | 2008-11-07 | 2010-05-17 |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
-
2012
- 2012-02-28 KR KR2020120001545U patent/KR20047089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191Y1 (ko) * | 2005-04-04 | 2005-07-08 |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
KR20080112783A (ko) * | 2007-06-22 | 2008-12-26 | 문학조 |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
KR20080001340U (ko) * | 2008-05-06 | 2008-05-26 | 김동현 | 개량형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KR20100005084U (ko) * | 2008-11-07 | 2010-05-17 |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6087A (ko) | 2021-08-17 | 2023-02-24 | (주)대승산업 | 입상관 고정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277U (ko) | 2013-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0890Y1 (ko)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
KR102505320B1 (ko) |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 |
US4130977A (en) | Concrete insert | |
KR20160003644U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KR20090001385U (ko) |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 |
JP4428886B2 (ja) | ハンドホール継手 | |
KR20150084353A (ko)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 |
JP4551777B2 (ja) | 分岐管継ぎ手の固定装置 | |
KR101224843B1 (ko) |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 |
KR101142918B1 (ko) |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커튼월 샷시조립체 | |
KR20210003036A (ko) | 입상관 고정구 | |
KR200446654Y1 (ko) |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 |
KR20130044906A (ko) | 배관용 클램프 및 브래킷 장치 | |
KR101016632B1 (ko) | 트러스 바 체결구 | |
JP2008031685A (ja) | ワイヤ係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落下防止構造 | |
KR200474699Y1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KR20160125661A (ko)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407613Y1 (ko) |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 |
EP2156083A1 (en) | Clamp for suspending a pipe | |
KR20110003503U (ko) | 케이블 포설기구 | |
KR101027121B1 (ko) | 가스배관 고정구 | |
KR20080000888U (ko) | 암거용 강선 인장구 패킹제 | |
KR200479751Y1 (ko) |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 |
KR101122349B1 (ko) | 배관 고정장치 | |
KR200399658Y1 (ko) |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