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44U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3644U KR20160003644U KR2020150002354U KR20150002354U KR20160003644U KR 20160003644 U KR20160003644 U KR 20160003644U KR 2020150002354 U KR2020150002354 U KR 2020150002354U KR 20150002354 U KR20150002354 U KR 20150002354U KR 20160003644 U KR20160003644 U KR 2016000364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unit plate
- correlation
- elastic member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58 Gastr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bstract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는,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해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입상관 결합유닛은, 입상관에 결합되는 유닛 플레이트; 및 유닛 플레이트에 결합되되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며, 관통부의 벽면과 입상관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접촉되어 입상관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킬 수 있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를 배수하는 오수 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틀어 입상관이라 한다.
입상관은 보통 건물의 시공 시 건물에 함께 매설된 슬리브(sleeve) 내에 배관되거나 건물을 그때로 뚫어 형성된 관통부 내에 배관된다. 참고로, 슬리브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좀 더 부연하면, 건물 시공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슬리브를 건물에 함께 매설한 다음, 슬리브 내로 슬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입상관을 배관한 후에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슬리브가 없는 경우라면 콘크리트에 직접 홀(HOLE)을 천공한 후, 이 홀에 입상관을 배관할 수도 있다.
한편, 슬리브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입상관은 슬리브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입상관을 슬리브 내에 설치한 후에는 입상관을 고정해야 한다.
만약,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으면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일 실시예에서는 벽면 등에 고정되어 있는 앵글에 U형 볼트를 결합하여 입상관을 고정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방식을 이용하면 입상관 교체시나 하자 보수 시 철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를 사용하여 입상관을 고정시키고 있다.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대한 기술은 현재 다양하게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이미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 즉 슬리브 혹은 콘크리트 홀을 포함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지 못하거나 설치된다 하더라도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상의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롭고도 진보된 타입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대한 구조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킬 수 있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입상관에 결합되는 유닛 플레이트;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부의 벽면과 상기 입상관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입상관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부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 및 상기 교차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교차 연장부의 일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교차 연장부와 함께 상기 입상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를 아크(arc) 형태로 연결하는 아크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상기 교차 연장부 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부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단면은 사각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리벳 결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입상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분할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에 각각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단부에 걸려 결합되는 터널형 결합부; 및 상기 터널형 결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내벽에 배치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의 스커트부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패킹의 스커트부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이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통과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는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공의 주변에는 상기 앵커공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가공은 상기 앵커공들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내화 충진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내화 충진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확대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은 도 1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내화 충진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110)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입상관(110)의 유동을 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구비하는 입상관 결합유닛(130)과, 입상관 결합유닛(130)에 결합되어 입상관(1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패킹(1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부는 입상관(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드릴로 직접 뚫어 형성한 홀(hole)일 수도 있고, 도면처럼 별도의 구조물로서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120, sleeve)에 의한 내부 구멍일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후자를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통부를 슬리브(120)라 하여 설명한다.
관통부로서 슬리브(120)가 적용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간격(G)에 설치되어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을 통해 슬리브(120)에 대하여 입상관(110)을 고정, 즉 입상관(110)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간격(G)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역할을 겸한다.
참고로, 입상관(110)은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등을 배수하는 오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pipe)로서 필요에 따라 적용된다.
그리고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는 것으로서 보통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입상관(110)도 마찬가지이지만 슬리브(120) 역시 건물의 용도 혹은 규격에 따라 그 사이즈가 다른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20)의 일측에는 연장날개부(120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돌출리브(120b)가 형성된다.
돌출리브(120b)는 슬리브(120)가 몰타르층에 매입될 때의 매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장날개부(120a)는 볼트 체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슬리브(120) 내에는 내화단열재인 세라크울을 비롯하여 충막음 부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거나 설사 매입되지 않더라도 연장날개부(120a)를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건물에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진동에 의해 입상관(110)이 파손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110)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입상관 결합유닛(130)과, 다수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와, 패킹(180)을 포함한다.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도 1 및 도 2처럼 입상관(110)에 결합되어 입상관(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금속 재질, 비철 금속 재질, 연질 혹은 경질의 합성수지 등 어떠한 재질로 제작되어도 관계없다.
이러한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의 제1 힌지(141)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유닛 플레이트(14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입상관(110)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150)와,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0)는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갖는다. 이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체에서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가공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제조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유닛 플레이트(140)의 판면에는 입상관(110)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미도시)이 통과되는 열선통과구(1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선통과구(142)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맞닿는 영역에 근접되게 유닛 플레이트(140)에 한 개 형성된다. 하지만, 열선통과구(142)의 위치와 개수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유닛 플레이트(140)의 한 쌍의 코너 영역에는 도시 않은 앵커를 이용하여 유닛 플레이트(140)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14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0)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공된 마름모 형상을 갖기 때문에 앵커공(143)은 라운드지지 않은 쪽의 한 쌍의 코너 영역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마련된다.
유닛 플레이트(140)가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앵커공(143) 영역은 슬리브(120)의 바깥쪽 콘크리트 벽체에 배치되는데, 이때 앵커공(143)으로 앵커를 삽입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시킴으로써 유닛 플레이트(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앵커공(143)의 주변에는 앵커공(143)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미도시)를 이용하여 유닛 플레이트(140)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144)이 더 형성된다.
앵커는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다소 오래 걸릴 수 있는 반면 고정력이 세고, 타카는 유압의 힘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빠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닛 플레이트(140)에는 이와 같은 앵커공(143)과 타카공(144)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타카공(144)은 한 쌍의 앵커공(143)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유닛 플레이트(14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앵커공(143)과 타카공(144)이 형성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단차부(145)를 형성할 수 있다.
입상관 지지벽체(150)는 유닛 플레이트(14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입상관(110)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장소를 이룬다. 즉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유닛 플레이트(140)와 함께 입상관(110)을 둘러싸면서 입상관(110)을 지지한다.
유닛 플레이트(140)의 제1 힌지(141)에 대응되게 입상관 지지벽체(150)에도 제2 힌지(151)가 마련된다.
따라서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위치되는 체결부(160)를 풀면 제1 및 제2 힌지(141,151)에 의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도 5처럼 상호 벌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입상관(110)에 체결하면 된다.
체결부(160)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도 3 및 도 4 참조) 푸는(도 5 참조) 역할을 한다.
체결부(160)는 볼트(B)와 너트(N)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와셔가 개재될 수도 있다.
너트(N)는 한 쌍의 플랜지(153)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153)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플랜지(153)에는 장공(161)이 형성된다. 이에, 볼트(B)를 장공(161)으로 삽입하여 너트(N)에 체결함으로써, 도 5처럼 벌어져 있던 부분을 도 3 및 도 4처럼 체결하여 조일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는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에 배치되어 슬리브(120) 내에서 입상관(110)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입상관(110)의 직경이 슬리브(120)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입상관(110)은 흔들릴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은 입상관(110)의 흔들림, 즉 입상관(110)의 유동을 다수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가 탄성적으로 저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은 유닛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즉 3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도면과 달리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은 4개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고, 혹은 2개가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 모두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플레이트(140)의 밑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71)와, 고정부(171)의 일측에서 고정부(171)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172)와, 교차 연장부(172)의 단부에서 교차 연장부(172)의 일측으로 절곡되며, 교차 연장부(172)와 함께 입상관(1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7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가 단면이 사각 형상인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는 리벳(R)으로 유닛 플레이트(140)의 밑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의 고정부(171)와 유닛 플레이트(140)에 각각 제1 및 제2 리벳공(171a,140a)이 형성된다.
이에, 리벳(R)을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의 고정부(171)에 형성되는 제1 리벳공(171a)으로 삽입시켜 유닛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제2 리벳공(140a)으로 체결함으로써,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에는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를 아크(arc) 형태로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아크 연결부(174)가 마련된다.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173)의 단부에는 단부 절곡부(175)가 더 마련된다. 단부 절곡부(175)는 탄성부(173)의 단부에서 교차 연장부(172) 쪽으로 절곡 형성된다. 단부 절곡부(175)가 형성되기 때문에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에 배치되었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다시 빼내기가 용이하다.
예컨대, 도 9처럼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10)를 제거하려면 도 9의 위쪽 방향으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10)를 들어 올리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탄성부(173)의 단부가 슬리브(120)의 내벽에 걸릴 수도 있는데, 이처럼 탄성부(173)의 단부가 슬리브(120)의 내벽에 걸리면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10)를 들어올려 빼기가 어렵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탄성부(173)의 단부에 단부 절곡부(175)가 더 마련되면, 단부 절곡부(175)로 인해 뾰족한 단부가 없어지기 때문에 도 9의 위쪽 방향으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10)를 들어 올리더라도 큰 저항 없이 잘 뺄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에는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F.S 충진재라고도 불리는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는 화재 발생 시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이루는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의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는 플렉시블한 재질이기 때문에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이루는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기에 충분한데, 이와 같은 공간에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가 결합될 경우, 화재 발생 시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11처럼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가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이루는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는 것은 하나의 선택사항이며, 반드시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킹(180)은 입상관 결합유닛(130)의 입상관 지지벽체(15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며,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입상관(110)을 감싸면서 지지할 때, 입상관(110)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패킹(180)을 통해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입상관(110)을 감싸 지지하고, 체결부(160)를 조이게 됨으로써 입상관(110)을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킹(180)은 분할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입상관 지지벽체(150)에 각각 대칭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패킹(18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패킹(18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단부에 걸려 결합되는 터널형 결합부(181)와, 터널형 결합부(18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내벽에 배치되는 스커트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패킹(180)의 스커트부(182)에는 결합용 돌기(183a,183b)가 마련되고, 입상관 지지벽체(150)에는 결합용 돌기(183a,183b)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공(150a,15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결합용 돌기(183a,183b)와 돌기 결합공(150a,150b)이 마련되면 터널형 결합부(181)와 더불어 패킹(180)을 좀 더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패킹(180)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용 돌기(183a,183b)는 중앙의 제1 결합용 돌기(183a)가 사이드의 제2 결합용 돌기(183b)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결합공(150a,150b) 역시, 이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킹(180)의 스커트부(182)에는 결합용 돌기(183a,183b)가, 그리고 입상관 지지벽체(150)에 돌기 결합공(150a,150b)이 형성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8처럼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를 입상관(110)에 끼운다. 그런 다음, 도 9처럼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으로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를 가압한다.
그러면 도 8에서 도 9처럼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즉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좁아지면서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이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에 다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위치 고정된 슬리브(120)에 대하여 입상관(110)이 유동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만약, 도 11처럼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를 사용할 때는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190)를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를 이루는 교차 연장부(172)와 탄성부(173) 사이의 공간에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 8에서 도 9처럼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으로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이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즉 슬리브(120) 내에 입상관(110)이 정 중앙에 위치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편심 배치되더라도 다수의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들이 간격에 맞게 탄성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 즉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입상관(110)의 유동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270)에 형성되는 단부 절곡부(275)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여러 번 말린 달팽이 구조를 갖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단부 절곡부(275)가 형성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가 단면이 사각 형상인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제작되었고,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170)가 리벳(R, 도 6 참조) 결합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37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예컨대 와이어(wire) 타입으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37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인 고정부(371), 교차 연장부(372), 탄성부(373), 아크 연결부(374) 및 단부 절곡부(375)를 포함한다.
이럴 경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370)의 고정부(371)는 용접(welding)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110 : 입상관
120 : 슬리브 130 : 입상관 결합유닛
140 : 유닛 플레이트 140a : 제2 리벳공
141 : 제1 힌지 142 : 열선통과구
143 : 앵커공 144 : 타카공
145 : 단차부 150 : 입상관 지지벽체
150a,150b : 돌기 결합공 151 : 제2 힌지
153 : 플랜지 160 : 체결부
170 :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 171 : 고정부
171a : 제1 리벳공 172 : 교차 연장부
173 : 탄성부 174 : 아크 연결부
175 : 단부 절곡부 180 : 패킹
181 : 터널형 결합부 182 : 스커트부
183a,183b : 결합용 돌기 190 :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
120 : 슬리브 130 : 입상관 결합유닛
140 : 유닛 플레이트 140a : 제2 리벳공
141 : 제1 힌지 142 : 열선통과구
143 : 앵커공 144 : 타카공
145 : 단차부 150 : 입상관 지지벽체
150a,150b : 돌기 결합공 151 : 제2 힌지
153 : 플랜지 160 : 체결부
170 :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 171 : 고정부
171a : 제1 리벳공 172 : 교차 연장부
173 : 탄성부 174 : 아크 연결부
175 : 단부 절곡부 180 : 패킹
181 : 터널형 결합부 182 : 스커트부
183a,183b : 결합용 돌기 190 :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
Claims (14)
- 건축 구조물의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입상관에 결합되는 유닛 플레이트;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부의 벽면과 상기 입상관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입상관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저지시키는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부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 및
상기 교차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교차 연장부의 일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교차 연장부와 함께 상기 입상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를 아크(arc) 형태로 연결하는 아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상기 교차 연장부 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부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단면은 사각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리벳 결합 또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입상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분할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에 각각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단부에 걸려 결합되는 터널형 결합부; 및
상기 터널형 결합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내벽에 배치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스커트부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패킹의 스커트부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유동 저지용 탄성부재의 상기 교차 연장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며, 화재 발생 시 팽창되면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차폐하여 층을 막는 층막음용 내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이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통과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는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앵커공의 주변에는 상기 앵커공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가공은 상기 앵커공들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354U KR20160003644U (ko) | 2015-04-13 | 2015-04-13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354U KR20160003644U (ko) | 2015-04-13 | 2015-04-13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644U true KR20160003644U (ko) | 2016-10-21 |
Family
ID=5723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354U KR20160003644U (ko) | 2015-04-13 | 2015-04-13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3644U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13754A (zh) * | 2017-05-24 | 2017-08-04 | 天津二建水电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防坠卡子以及施工工艺 |
KR101845696B1 (ko) * | 2017-11-07 | 2018-04-06 | 이노화학 주식회사 | 관통 파이프용 슬리브 연결 고정대 |
KR20190105450A (ko) * | 2018-03-05 | 2019-09-17 | 주식회사 근화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KR20200058861A (ko) * | 2018-11-20 | 2020-05-28 | 보광테크윈(주)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KR102123188B1 (ko) * | 2019-11-12 | 2020-06-15 | (주)워터풀 | 원터치 쐐기형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
KR20230000310U (ko) | 2021-08-03 | 2023-02-10 | 박성우 | 가스 입상관 보호 커버용 안전 캡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6334U (ko) | 1999-01-29 | 2000-08-25 | 밍 루 | 차량용 쇽업소버 |
-
2015
- 2015-04-13 KR KR2020150002354U patent/KR2016000364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6334U (ko) | 1999-01-29 | 2000-08-25 | 밍 루 | 차량용 쇽업소버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13754A (zh) * | 2017-05-24 | 2017-08-04 | 天津二建水电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防坠卡子以及施工工艺 |
CN107013754B (zh) * | 2017-05-24 | 2023-02-28 | 天津二建水电安装工程有限公司 | 一种防坠卡子以及施工工艺 |
KR101845696B1 (ko) * | 2017-11-07 | 2018-04-06 | 이노화학 주식회사 | 관통 파이프용 슬리브 연결 고정대 |
KR20190105450A (ko) * | 2018-03-05 | 2019-09-17 | 주식회사 근화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KR20200058861A (ko) * | 2018-11-20 | 2020-05-28 | 보광테크윈(주)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KR102123188B1 (ko) * | 2019-11-12 | 2020-06-15 | (주)워터풀 | 원터치 쐐기형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
KR20230000310U (ko) | 2021-08-03 | 2023-02-10 | 박성우 | 가스 입상관 보호 커버용 안전 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03644U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KR200440679Y1 (ko) |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 |
KR200451427Y1 (ko) |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 |
KR102505320B1 (ko) |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 |
US9580921B2 (en) | Line conduit | |
KR101663691B1 (ko) |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 |
KR200470890Y1 (ko)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
JP4717301B2 (ja) |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 |
KR101807987B1 (ko) |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46654Y1 (ko) |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 |
KR20140005173U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JP6408928B2 (ja) |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用の伸縮継手設置方法 | |
KR102104180B1 (ko) |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 |
KR20210003036A (ko) | 입상관 고정구 | |
KR101580671B1 (ko) |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 |
KR101459276B1 (ko) |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하는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용 클립형 걸이 및 상기 클립형 걸이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직관으로 이용한 직결구조식 에어덕트 직관의 시공방법 | |
KR20110075788A (ko) | 덕트용 클램프 | |
JP5057593B2 (ja) |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 |
KR101012275B1 (ko) |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 |
KR102285050B1 (ko) |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 |
KR101413131B1 (ko) |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 |
KR102074452B1 (ko) | 건축 기계 설비 및 소방 설비용 배관의 내진 보강 장치 | |
KR102329194B1 (ko) | 구조물 고정을 위한 전산볼트용 내진 인서트 유닛 및 그 설치방법 | |
KR100704658B1 (ko) | 냉온수배관용 바닥매립형 엘보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냉온수배관 연결시공방법 | |
RU55088U1 (ru) |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газопровод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