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632B1 - 트러스 바 체결구 - Google Patents
트러스 바 체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6632B1 KR101016632B1 KR1020100062109A KR20100062109A KR101016632B1 KR 101016632 B1 KR101016632 B1 KR 101016632B1 KR 1020100062109 A KR1020100062109 A KR 1020100062109A KR 20100062109 A KR20100062109 A KR 20100062109A KR 101016632 B1 KR101016632 B1 KR 1010166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bar
- fastener
- connector
- horizontal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며,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상, 하면을 감싸며,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를 교차부분에서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의 체결력 및 하중 지지력을 강화한 트러스 바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또는 상업용 빌딩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 벽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건축 외장재를 설치하여 건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미게 된다. 이러한 건축 외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건축 외장재 시공 시 별도의 트러스 조립체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트러스 조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트러스 바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위에 체결된 밴드형의 체결구는 트러스 바의 표면과 체결구의 내면의 접촉압력에 의해 수평의 트러스 바를 수직의 트러스 바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므로, 대리석 등과 같이 중량이 큰 건축 외장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평 트러스 바가 수직 트러스 바로부터 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건축 외장재의 고정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파손되거나 인접한 외장재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어 외관이 손상되게 된다. 또한 수평 트러스 바는 밴드형 체결구의 양쪽 평판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결합력이 약하여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위치가 변동되어, 건축 외장재의 고정위치가 변형되어 외장재가 파손되거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트러스 바 및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는 트러스 바 체결구의 수평 결합부의 형상을 개선하고, 격자형 체결구를 이용함으로써, 수직 트러스 바 및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위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트러스 바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며,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상, 하면을 감싸며,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 후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 및 하면 또는 전면 및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가 관통하는 사각통 형상의 연결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와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제1 연결구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2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3 연결구; 및 상기 제3 연결구와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제3 연결구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4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체결구에서, 상기 제4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구에서, 상기 제3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4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는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채널형상의 제3 연결구; 및 상기 제3 연결구와 십자(+) 형태를 이루어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며, 좌우측 중 일측은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되고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중 타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제5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5 연결구의 수평 채널의 개구부가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6 연결구; 및 상기 제6 연결구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수평 트러스 바가 삽입되는 사각통 형상의 제7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체결구에서, 상기 제6 연결구 및 제7 연결구의 전면에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8 연결구; 및 상기 제8 연결구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9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9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8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9 연결구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는,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10 연결구; 및 상기 제10 연결구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어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제11 연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는, 상기 제11 연결구의 좌우측 중 일측은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되며, 좌우측 중 타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는, 상기 제11 연결구의 수평 채널의 개구부가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는 수직 트러스 바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서, 수직 트러스 바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므로써, 트러스 바 체결구가 수직 트러스 바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는 채널의 양 끝단부의 폭이 채널 바닥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를 용이하게 채널부 안쪽으로 밀어넣기 위하여 채널부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확산되어(벌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의 내외부 표면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러스 바 체결구에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수직 트러스 바의 전면과 접촉하는 부위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요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교차부위에서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위에의 소음을 방지하고 체결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밴드식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트러스 바 체결구를 트러스 바에 체결시키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트러스 바 체결구가 트러스 바에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트러스 바 체결구를 트러스 바에 체결시키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의 트러스 바 체결구가 트러스 바에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밴드식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300)를 나타내고, 도 2는 트러스 바 체결구를 트러스 바에 체결시키는 고정부재(15)를 나타낸다. 고정부재(15)에는 장방형의 베이스판(16)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6)의 단축방향의 폭은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의 폭보다 작으므로, 고정부재(15)를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에 끼워넣은 다음 회전시키면 고정부재(15)가 슬릿부(321)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0)는 수직 트러스 바(310)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며,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에 정렬되며 고정부재(15)가 관통하는 홀(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11); 및 수평 트러스 바(320)의 전면 및 상, 하면을 감싸며,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311)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15)가 관통하는 홀(14)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결합부(12)에는 상, 하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서, 수평 트러스 바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결합부(11)의 홀(13) 및 상기 제2 결합부(1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트러스 바(310)와 수평 트러스 바(320)는 트러스 바 체결구(10)에 의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수직 트러스 바(310) 및 수평 트러스 바(320)를 교차시킨 다음에, 트러스 바 체결구(10)의 제1 결합부(11)를 수직 트러스 바(310)의 전면 및 양 측면에 접촉시켜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와 제1 결합부의 장방형 홀(13)을 정렬시키고, 제2 결합부(12)를 수평 트러스 바(320)의 전면 및 상, 하면에 접촉시켜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311)와 제2 결합부의 장방형 홀(14)을 정렬시킨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을 상기 제1 결합부의 홀(13)과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 및 제2 결합부의 홀(14)과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311)를 통해 통해 관통시켜 삽입한 다음에 고정부재(15)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5)의 단부에 너트(17)를 결합시켜 체결하면, 트러스 바 체결구(10)에 의해 수평 트러스 바(320)가 수직 트러스 바(3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0)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20)의 제2 결합부(22)는 수평 트러스 바(320)의 전, 후면 및 하면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평 트러스 바(320)가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0)를 이용한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0)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30)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30)의 제2 결합부(32)는 수평 트러스 바(320)의 전면 및 하면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평 트러스 바(320)가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30)를 이용한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0)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40)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40)의 제2 결합부(42)는 수평 트러스 바(320)의 전면 및 상면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평 트러스 바(320)가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40)를 이용한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0)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50)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50)의 제2 결합부(52)는 수평 트러스 바(320)가 관통하는 사각통 형상의 연결구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트러스 바(320)가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거나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수직 트러스 바(310)와 수평 트러스 바(320)는 트러스 바 체결구(50)에 의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수평 트러스 바(320)를 트러스 바 체결구(50)의 연결구(52)로 관통시킨 다음에, 트러스 바 체결구(50)의 제1 결합부(51)를 수직 트러스 바(310)의 전면 및 양 측면에 접촉시켜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와 제1 결합부의 장방형 홀(13)을 정렬시킨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을 상기 제1 결합부의 홀(13)과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321) 및 제2 결합부의 홀(14)과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311)를 통해 통해 관통시켜 삽입한 다음에 고정부재(15)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5)의 단부에 너트(17)를 결합시켜 체결하면, 트러스 바 체결구(50)에 의해 수평 트러스 바(320)가 수직 트러스 바(3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60)는 수직 트러스 바(410)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1 연결구(61); 및 제1 연결구와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제1 연결구 후면에 형성되고 수평 트러스 바(420)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2 연결구(62)를 포함한다. 제1 연결구(61)의 홀(13) 및 상기 제2 연결구(6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60)의 제1 연결구(61)가 수직 트러스 바(410)가 관통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연결구(62)가 수평 트러스 바(420)가 관통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가 십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수직 트러스 바(120) 및 수평 트러스 바(420)를 결합시키므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60)의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수직 트러스 바(410)와 수평 트러스 바(420)는 트러스 바 체결구(60)에 의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수평 트러스 바(420)를 트러스 바 체결구(60)의 제2 연결구(62)로 관통시키고, 수직 트러스 바(120)를 제1 연결구(61)로 관통시킨다(수직 트러스 바(120)를 먼저 체결구(60)에 관통시킨 다음에 수평 트러스 바(420)를 체결구(60)에 관통시킬 수도 있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을 상기 제1 연결구(61)의 홀(13)과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421) 및 제2 연결구의 홀(14)과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411)를 통해 통해 관통시켜 삽입한 다음에 고정부재(15)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5)의 단부에 너트(미도시)를 결합시켜 체결하면, 트러스 바 체결구(60)에 의해 수평 트러스 바(110)가 수직 트러스 바(4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2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7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70)는 수직 트러스 바(410)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3 연결구(71); 및 상기 제3 연결구(71)와 십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제3 연결구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4 연결구(7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연결구(71)의 홀(13) 및 상기 제4 연결구(7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70)의 제4 연결구(72)의 일면이 개구된 채널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수평 트러스 바(420)를 개구부쪽으로 밀어넣으면 제4 연결구의 양 끝단부의 내측 굴곡부가 트러스 바(410)의 몸체를 클램프 형식으로 감싸서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수평 트러스 바가 수직 트러스 바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서, 트러스 바 조립시에 정 위치 설정이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수직 트러스 바(410)를 체결구(70)에 조립할 경우에는, 수직 트러스 바(410)의 몸체를 제3 연결구(71)의 일측의 개구부로 밀어넣은 다음에 수직 트러스 바(41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직 트러스 바(410)를 신속히 체결구(70)에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을 상기 제1 연결구(61)의 홀(13)과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421) 및 제2 연결구의 홀(14)과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411)를 통해 통해 관통시켜 삽입한 다음에 고정부재(15)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5)의 단부에 너트(17)를 결합시켜 체결하면, 트러스 바 체결구(70)에 의해 수평 트러스 바(420)가 수직 트러스 바(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70)의 제3 연결구(71)와 제4 연결구(7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80)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80)의 상기 제4 연결구(82)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트러스 바(420)를 제4 연결구(82)에 결합시킬 때에는 상방향의 개구부를 통하여 수평 트러스 바(420)의 몸체부를 밀어넣으면 된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80)를 이용한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70)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90)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90)의 제4 연결구(9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00)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00)의 제4 연결구(10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10)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10)의 상기 제3 연결구(111)의 채널의 개구방향과 상기 제4 연결구(112)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20)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20)의 제4 연결구(12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90, 100, 110, 120)를 이용한 수직 트러스 바와 수평 트러스 바의 고정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70)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30)는 수직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는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채널형상의 제3 연결구(131); 및 상기 제3 연결구와 십자(+) 형태를 이루어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관통 결합시키며, 좌우측 중 일측은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되고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중 타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제5 연결구(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연결구(131)의 홀(13) 및 상기 제5 연결구(13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5 연결구(132)의 슬릿(134)의 폭도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30)의 제5 연결구(132)의 일측이 일면이 개구된 채널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수평 트러스 바(420)를 개구부쪽으로 밀어넣으면 제5 연결구의 양 끝단부의 내측 굴곡부가 트러스 바(410)의 몸체를 클램프 형식으로 감싸서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수평 트러스 바가 수직 트러스 바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서, 트러스 바 조립시에 정 위치 설정이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5 연결구(132)의 다른 일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므로 중공부 안으로 수평 트러스 바(420)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다. 수직 트러스 바(410)를 체결구(130)에 조립할 경우에는, 수직 트러스 바(410)의 몸체를 제3 연결구(131)의 일측의 개구부로 밀어넣은 다음에 수직 트러스 바(41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직 트러스 바(410)를 신속히 체결구(130)에 결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을 상기 제3 연결구(131)의 홀(13)과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421) 및 제5 연결구의 홀(14) 및 슬릿(134)과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411)를 통해 통해 관통시켜 삽입한 다음에 고정부재(15)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5)의 단부에 너트(17)를 결합시켜 체결하면, 트러스 바 체결구(130)에 의해 수평 트러스 바(420)가 수직 트러스 바(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30)의 제3 연결구(131)와 제5 연결구(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40)를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40)의 제5 연결구(142)의 수평 채널의 개구부가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제5
실시예
도 18은 복수의 수직 트러스 바와 복수의 수평 트러스 바가 동일 평면상에서 격자형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50)는 수직 트러스 바(510)를 관통 결합시키는 사각통 형상의 제6 연결구(151); 및 상기 제6 연결구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수평 트러스 바(520)가 삽입되는 사각통 형상의 제7 연결구(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6 연결구(151)의 홀(13) 및 상기 제7 연결구(15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50)의 제6 연결구(151)가 수직 트러스 바(510)가 관통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7 연결구(152)가 수평 트러스 바(520)가 양쪽에서 삽입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6 연결구(151)와 제7 연결구(152)가 십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수직 트러스 바(510) 및 수평 트러스 바(520)를 결합시키므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50)의 제6 연결구(151)와 제7 연결구(15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60)를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60)의 제7 연결구(15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다.
제6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70)를 나타낸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70)의 제6 연결구(171) 및 제7 연결구(172)의 전면에는 각각 슬릿(173, 174)이 형성된다. 상기 트러스 바의 슬릿(173, 174)의 폭은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의 폭보다는 크고, 베이스판(16)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는 작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70)의 제6 연결구(171)는 수직 트러스 바(510)가 관통하며 전면에 슬릿(173)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7 연결구(172)는 수평 트러스 바(520)가 양쪽에서 삽입되며 전면에 슬릿(174)이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6 연결구(171)와 제7 연결구(172)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수직 트러스 바(510) 및 수평 트러스 바(520)를 결합시키므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70)의 제6 연결구(171)와 제7 연결구(17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80)를 나타낸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80)의 상기 제7 연결구(182)가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제7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1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90)는 수직 트러스 바(510)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8 연결구(191); 및 상기 제8 연결구(191)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수평 트러스 바(520)를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널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9 연결구(192)를 포함한다. 상기 제8 연결구(191)의 홀(13) 및 상기 제9 연결구(192)의 홀(14)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190)의 제8 연결구(191)의 일면이 개구된 채널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수직 트러스 바(510)를 개구부쪽으로 밀어넣으면 제8 연결구의 양 끝단부의 내측 굴곡부가 트러스 바(510)의 몸체를 클램프 형식으로 감싸서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수직 트러스 바가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서, 트러스 바 조립시에 정 위치 설정이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수평 트러스 바(520)를 체결구(190)에 조립할 경우에는, 수평 트러스 바(520)의 몸체를 제9 연결구(192)의 양측의 개구부로 각가 밀어넣으면 수평 트러스 바(520)를 신속히 체결구(19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190)의 제8 연결구(191)와 제9 연결구(19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00)를 나타낸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00)의 제9 연결구(192)의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10)를 나타낸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10)의 제9 연결구(212)는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20)를 나타낸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20)의 제8 연결구(221)의 채널부와 제9 연결구(222)의 채널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30)를 나타낸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30)의 제9 연결구(232)는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제8
실시예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40)는 수직 트러스 바(510)를 관통 결합시키며, 일면이 개방된 채널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의 제10 연결구(241); 및 상기 제10 연결구(241)와 동일 평면상에서 십자(+) 형태를 이루어 수평 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수평 트러스 바(520)를 결합시키며, 좌우측 중 일측은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중 타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제11 연결구(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0 연결구(241)의 홀(13) 및 상기 제11 연결구(242)의 슬릿(244)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15)의 베이스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240)의 제10 연결구(241)의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수직 트러스 바(510)를 개구부쪽으로 밀어넣으면 제10 연결구의 양 끝단부의 내측 굴곡부가 트러스 바(510)의 몸체를 클램프 형식으로 감싸서 고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수직 트러스 바(510)가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서, 트러스 바 조립시에 정 위치 설정이 매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1 연결구(242)의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므로 중공부 안으로 수평 트러스 바(520)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40)의 제10 연결구(241)와 제11 연결구(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50)를 나타낸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50)의 제11 연결구(252)는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에만 형성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60)를 나타낸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60)의 제11 연결구(262)의 좌우측 중 일측은 양 끝단부가 내측으로 굴곡된 채널의 개구방향이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중 타측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수평방향의 슬릿이 형성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70)를 나타낸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70)의 제11 연결구(272)의 수평 채널의 개구부가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와 이들의 변형예에 있어서, 트러스 바 체결구의 양단부가 개구된 채널부는 채널 양단부의 폭이 채널 바닥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서,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를 채널부 안으로 밀어넣으면, 양단부에 내측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의 양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로 트러스 바 체결구를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트러스 바 체결구는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를 용이하게 채널부 안쪽으로 밀어넣기 위하여 채널부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벌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
실시예
도 3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280)를 나타낸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280)의 수직 트러스 바 접촉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81)가 형성되어서, 수직 트러스 바에 형성된 홀(282) 또는 오목부(미도시)에 맞물려 결합되므로써, 트러스 바 체결구(280)가 수직 트러스 바에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바 체결구(280)의 내측 돌기(281)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기계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트러스 바에 제공되는 홀(282) 또는 오목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드릴 가공, 기계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의 내부 표면은, 예를 들어, 엠보싱, 톱니형상, 줄무늬, 물결무늬 등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의 내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경우,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와의 접촉시 마찰력이 증대되어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와 체결구의 결합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바 체결구의 내외부 표면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러스 바 체결구의 내외부 표면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되면, 트러스 바 조립시 체결구와 수직 또는 수평 트러스 바의 결합부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며, 접촉부에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방음 및 방청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 트러스 바 체결구
11, 21, 31, 41, 51 : 제1 결합부
12, 22, 32, 42, 52 : 제2 결합부
13, 14 : 홀
15 : 고정부재
16 : 베이스판
17 : 너트
61 : 제1 연결구
62 : 제2 연결구
71, 131 : 제3 연결구
72, 82, 92, 102, 112, 122 : 제4 연결구
132 : 제5 연결구
151, 171 : 제6 연결구
152, 172, 182 : 제7 연결구
191 : 제8 연결구
192, 212, 222, 232 : 제9 연결구
241 : 제10 연결구
242, 252, 262, 272 : 제11 연결구
281 : 돌기
282 : 홀
310, 410, 510 : 수직 트러스 바
311, 321, 411, 421, 511, 521 : 슬릿
320, 420, 520 : 수평 트러스 바
11, 21, 31, 41, 51 : 제1 결합부
12, 22, 32, 42, 52 : 제2 결합부
13, 14 : 홀
15 : 고정부재
16 : 베이스판
17 : 너트
61 : 제1 연결구
62 : 제2 연결구
71, 131 : 제3 연결구
72, 82, 92, 102, 112, 122 : 제4 연결구
132 : 제5 연결구
151, 171 : 제6 연결구
152, 172, 182 : 제7 연결구
191 : 제8 연결구
192, 212, 222, 232 : 제9 연결구
241 : 제10 연결구
242, 252, 262, 272 : 제11 연결구
281 : 돌기
282 : 홀
310, 410, 510 : 수직 트러스 바
311, 321, 411, 421, 511, 521 : 슬릿
320, 420, 520 : 수평 트러스 바
Claims (32)
-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며,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상면을 감싸며,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하면을 더 감싸도록 형성된
트러스 바 체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후면을 더 감싸도록 형성된
트러스 바 체결구. -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바와 몸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슬릿부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트러스 바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며,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수직 트러스 바와 상기 수평 트러스 바를 체결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트러스 바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며, 수직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전면 및 하면을 감싸며, 수평 트러스 바의 슬릿부에 정렬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트러스 바 체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수평 트러스 바의 후면을 더 감싸도록 형성된
트러스 바 체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109A KR101016632B1 (ko) | 2010-06-29 | 2010-06-29 | 트러스 바 체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109A KR101016632B1 (ko) | 2010-06-29 | 2010-06-29 | 트러스 바 체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6632B1 true KR101016632B1 (ko) | 2011-02-23 |
Family
ID=4377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2109A KR101016632B1 (ko) | 2010-06-29 | 2010-06-29 | 트러스 바 체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663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9468B1 (ko) * | 2013-10-07 | 2014-03-03 | 덕인금속 주식회사 |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
KR200479587Y1 (ko) * | 2014-02-26 | 2016-02-15 | 신용활 | 패널 연결 장치 |
KR102107971B1 (ko) | 2019-08-01 | 2020-05-07 | (주)삼우에이피엔 |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
KR102246528B1 (ko) * | 2020-11-13 | 2021-04-29 | 류도수 | 트램펄린의 안전커버 어셈블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062A (ja) * | 1995-06-26 | 1997-01-07 | Sankyo Jiyuuken:Kk | 木造建築物用継手金具 |
JPH09151543A (ja) * | 1995-09-29 | 1997-06-10 | Kanechiyuu:Kk | 接合部材 |
JPH09165831A (ja) * | 1995-12-19 | 1997-06-24 | Shierutaa Home Kk | 建築部材用継手装置 |
KR100900062B1 (ko) | 2008-06-02 | 2009-06-01 | 백종균 |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
-
2010
- 2010-06-29 KR KR1020100062109A patent/KR1010166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062A (ja) * | 1995-06-26 | 1997-01-07 | Sankyo Jiyuuken:Kk | 木造建築物用継手金具 |
JPH09151543A (ja) * | 1995-09-29 | 1997-06-10 | Kanechiyuu:Kk | 接合部材 |
JPH09165831A (ja) * | 1995-12-19 | 1997-06-24 | Shierutaa Home Kk | 建築部材用継手装置 |
KR100900062B1 (ko) | 2008-06-02 | 2009-06-01 | 백종균 |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9468B1 (ko) * | 2013-10-07 | 2014-03-03 | 덕인금속 주식회사 |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
KR200479587Y1 (ko) * | 2014-02-26 | 2016-02-15 | 신용활 | 패널 연결 장치 |
KR102107971B1 (ko) | 2019-08-01 | 2020-05-07 | (주)삼우에이피엔 |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
KR102246528B1 (ko) * | 2020-11-13 | 2021-04-29 | 류도수 | 트램펄린의 안전커버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072618B (zh) | 封板固定装置 | |
CA2905831C (en) | Teardrop and offset notch bridging connector | |
KR101016632B1 (ko) | 트러스 바 체결구 | |
KR101266585B1 (ko) |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 |
KR101911038B1 (ko) | 내진용 석재패널 고정 구조체 | |
KR101303196B1 (ko) |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 |
KR101763694B1 (ko) |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및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 |
KR102224280B1 (ko) | 내진용 천정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805849B1 (ko) | 건물외장구조물의 설치방법 | |
KR20190140297A (ko) | 전단보강용 조립식 철근헤드 | |
KR101474512B1 (ko) |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 |
KR101190240B1 (ko) |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 |
KR200470890Y1 (ko)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
KR200470819Y1 (ko) |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 |
JP5588756B2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具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方法、並びに屋根構造 | |
KR101232026B1 (ko) | 로드 프레임 조인트 유닛 | |
KR20190129714A (ko) | 바닥구조 | |
JP5979038B2 (ja) | 固定金具及び壁面材の固定構造 | |
KR20090011629U (ko) | 천장 보드 설치용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결합 구조 | |
KR200451739Y1 (ko) |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 |
KR101938974B1 (ko) |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 |
KR20160000774U (ko) |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 |
JP4993348B2 (ja) | 屋根補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屋根補修構造 | |
JP6339803B2 (ja) | 内外装材の取付具及び型枠パネル | |
KR200414300Y1 (ko) | 앵커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