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240B1 -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 Google Patents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240B1
KR101190240B1 KR1020120053687A KR20120053687A KR101190240B1 KR 101190240 B1 KR101190240 B1 KR 101190240B1 KR 1020120053687 A KR1020120053687 A KR 1020120053687A KR 20120053687 A KR20120053687 A KR 20120053687A KR 101190240 B1 KR101190240 B1 KR 101190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ixing member
bent
plate
connec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산업
Priority to KR102012005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one touch type joiner for raceway}
본 발명은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관한 것이다.
레이스 웨이란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이다.
이러한 레이스 웨이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절단된 레이스 웨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한 레이스 웨이 사이에 조이너가 설치된다. 조이너를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레이스 웨이에 결합하게 되면서 조이너와 레이스 웨이의 결합이 다소 불편하였다. 또한, 조이너와 레이스 웨이의 결합에 따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45191호 2007.07.26.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4117호 2007.10.25.
본 발명은 절단된 레이스 웨이들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조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는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의 밑판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밑판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판에는 상기 관통 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각각,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 바닥판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관통 공 부분에 위치하는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내부 바닥판에 접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 양측 끝은 상기 연결 몸체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은 상기 연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연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고정 부재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연결 몸체의 상면을 상기 구부림 홈 내부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밑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측 끝이 상기 밑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밑판에서 떨어져 있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 몸체가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바닥판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반원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및 상기 밑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원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반원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본체와 제2 본체 연결 시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걸쳐 위치한 연결 몸체의 상단면이 고정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구부림 홈 내부면에 밀착되어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연결 몸체를 통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수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의하여 연결된 제1 및 제 2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는 도 2에 도시한 Ⅲ-Ⅲ선을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의하여 연결된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의하여 연결된 제1 및 제 2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는 도 2에 도시한 Ⅲ-Ⅲ선을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에 의하여 연결된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100)는, 밑판(11), 밑판(11) 양측에 수직하게 위치한 측판(12), 그리고 측판(12) 상단에서 밑판(11)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13a)을 갖는 구부림부(13)를 포함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를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 몸체(110) 및 고정 부재(120a)를 포함한다.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접하게 된다.
이때 연결 몸체(110)를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연결 몸체(110)의 일측은 제1 본체(10a) 부분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2 본체(10b)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 몸체(110)는 바닥판(111) 및 측면판(112)을 포함한다.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은 밑판(11)에 접하며, 측면판(112)은 측판(12)에 접한다. 이때 측면판(112)의 상면(113)은 구부림 홈(13a) 부분에 위치한다. 연결 몸체(1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지는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 몸체(110)의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연결 몸체(110)의 좌우 양측에는 관통 공(111a)들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공(111a)은 밑판(11)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아울러, 밑판(11)에는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몸체(110)가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통공(11a)과 관통 공(111a)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공(111a) 및 통공(11a)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관통 공(111a)과 통공(11a) 중 어느 하나만 생략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a)는 연결 몸체(110)가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 몸체(121) 및 걸림 돌기(122)를 포함한다.
고정 몸체(1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면 일측이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고정 몸체(121)는 연결 몸체(110)에 용접 또는 리벳 따위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 몸체(121)와 연결 몸체(110)의 결합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 몸체(121)의 타측은 관통 공(111a) 부분에 위치한다. 고정 몸체(121)의 타측은 바닥판(111)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걸림 돌기(122)는 고정 몸체(121)의 타측에서 밑판(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걸림 돌기(122)의 끝은 관통 공(111a)을 관통하여 통공(11a)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 돌기(122)가 통공(11a)에 위치하면서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 몸체(110)가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에 겹쳐 있는 상태에서 고정된다. 연결 몸체(110)는 고정 부재(120a)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20b)는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과 밑판(11)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 부재(120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고정 부재(120b)의 일측은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20b)의 고정은 용접, 리벳, 볼트 따위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b)의 타측은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에 단순히 접해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120b)의 타측은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에서 떨어져 바닥판(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고정 부재(120b)에는 구부러진 부분에 의하여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탄성력이 발생한 고정 부재(120b)가 결합된 연결 몸체(110)를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바닥판(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고정 부재(120b)의 가운데 부분이 바닥판(111)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바닥판(111)에 접한 고정 부재(120b)의 타측이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 부재(120b)에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탄성력은 연결 몸체(110)의 상면(113)이 구부림부(13)의 구부림 홈(13a) 내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부재(12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 몸체(110)의 상면이 구부림 홈(13a)의 내부면에 접하게 되면서 연결 몸체(11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몸체(110)의 상면(113)과 구부림 홈(13a)의 내부면이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연결 몸체(110)와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의 결합력을 증진시킨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고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20c)는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의 밑판(11)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20c)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고정 부재(120c)의 일측과 타측은 밑판(1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때 고정 부재(120c)의 고정은 용접, 리벳, 볼트 따위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c)는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고정 부재(120c)의 가운데 부분은 밑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때 고정 부재(120c)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고정 부재(120c)의 일측은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의 단부와 근접된 부분이다. 고정 부재(120c)의 가운데 부분이 구부러져 있어 고정 부재(120c) 가운데 부분에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연결 몸체(110)를 탄성력을 갖는 고정 부재(120c)가 결합된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연결 몸체(110)의 양측 단부가 고정 부재(120c)의 경사진 부분에 접하게 된다. 이때 경사진 부분은 밑판(11)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력은 연결 몸체(110)의 상면(113)이 구부림부(13)의 구부림 홈(13a) 내부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 몸체(110)가 고정 부재(120c)에 접하게 되면 제1 본체(10a) 및 제2 본체(10b)의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몸체(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고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20d)는 돌출부(123) 및 반원 홈(124)을 포함한다.
돌출부(123)는 연결 몸체(110)의 바닥판(111)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123)는 밑판(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23)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123)를 반원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반원 홈(124)은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밑판(11)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반원 홈(124)은 돌출부(1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출부(123)와 반원 홈(124)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연결 몸체(110)를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의 내부에 위치시키면 연결 몸체(110)의 일측은 제1 본체(10a) 부분에 위치하고 타측은 제2 본체(10b)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123)와 반원 홈(124)이 서로 결합하게 되면 연결 몸체(110)가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 제1 본체(10a)와 제2 본체(10b)를 돌출부(123)와 반원 홈(124)으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120d)가 결합된 연결 몸체(110)를 이용하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a: 제1 본체 10b: 제2 본체
11: 밑판 11a: 통공 12: 측판 13: 구부림부 13a: 구부림 홈
100: 조이너
110: 연결 몸체 111: 바닥판 111a: 관통 공 112: 측면판 113: 상면
120a, 120b, 120c, 120d: 고정 부재
121: 고정 몸체 122: 걸림 돌기
123: 돌출부 124: 반원 홈

Claims (5)

  1. 삭제
  2.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몸체의 밑판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밑판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판에는 상기 관통 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각각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 바닥판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관통 공 부분에 위치하는 고정 몸체 및
    상기 고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내부 바닥판에 접하는 걸림 돌기
    를 포함하는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3.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은 상기 연결 몸체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접하고 있으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연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연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고정 부재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연결 몸체의 상면을 상기 구부림 홈 내부면으로 밀착시키는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4.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밑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측 끝이 상기 밑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밑판에서 떨어져 있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 몸체가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설정하는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5. 밑판, 상기 밑판 양측에서 수직한 측판, 그리고 상기 측판 상단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부림 홈을 갖는 구부림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 상기 측판, 그리고 상기 구부림 홈의 둘레면에 접하는 연결 몸체 및
    일측이 상기 연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연결 몸체의 바닥판에서 상기 밑판 방향으로 반원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및 상기 밑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원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반원 홈을 포함하는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1020120053687A 2012-05-21 2012-05-21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101190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87A KR101190240B1 (ko) 2012-05-21 2012-05-21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87A KR101190240B1 (ko) 2012-05-21 2012-05-21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240B1 true KR101190240B1 (ko) 2012-10-12

Family

ID=4728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687A KR101190240B1 (ko) 2012-05-21 2012-05-21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2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KR200475626Y1 (ko) 2013-10-31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변형 방지장치
KR101480480B1 (ko) * 2014-07-25 2015-01-12 (주)석영엔터프라이즈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220043542A (ko) 2020-09-29 2022-04-05 김중영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119A (ja) * 1999-05-20 2000-11-28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異径継ぎ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119A (ja) * 1999-05-20 2000-11-28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異径継ぎ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KR200475626Y1 (ko) 2013-10-31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변형 방지장치
KR101480480B1 (ko) * 2014-07-25 2015-01-12 (주)석영엔터프라이즈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220043542A (ko) 2020-09-29 2022-04-05 김중영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240B1 (ko)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393061B1 (ko)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398676B1 (ko)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구
KR10185763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JP5832933B2 (ja) 軒裏見切り部分用のシール材と、シール構造
US20150059131A1 (en) Fixing Structure for Rope
KR101436814B1 (ko) 비상유도 케이블 트레이
JP5931965B2 (ja) スライド台アセンブリ
KR2004753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RU159633U1 (ru) Плинтус
KR101977790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접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0916945B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
JP201905273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7075266B2 (ja) 電線固定具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JP4788007B2 (ja) ケーブル固定構造
JP2019094634A (ja) 足場板材の連結具およびその連結金具を用いた足場板材の連結構造
KR20150003931U (ko) 에어컨 냉매 파이프용 커버
JP6184729B2 (ja) 結合部材
KR10196728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