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542A -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542A
KR20220043542A KR1020200127069A KR20200127069A KR20220043542A KR 20220043542 A KR20220043542 A KR 20220043542A KR 1020200127069 A KR1020200127069 A KR 1020200127069A KR 20200127069 A KR20200127069 A KR 20200127069A KR 20220043542 A KR20220043542 A KR 2022004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raceway
joiner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261B1 (ko
Inventor
김중영
김주국
Original Assignee
김중영
김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영, 김주국 filed Critical 김중영
Priority to KR10202001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 레이스 웨이 사이의 연결부에 조이너를 결합하고 고정브래킷을 회전시켜 가압돌기의 가압에 의해 제1,2 레이스 웨이를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고정브래킷이 회전된 상태에서 절곡고정편을 걸림턱 측으로 절곡하여 고정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Race way divice}
본 발명은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2 레이스 웨이 사이의 연결부에 조이너를 결합하고 고정브래킷을 회전시켜 가압돌기의 가압에 의해 제1,2 레이스 웨이를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고정브래킷이 회전된 상태에서 절곡고정편을 걸림턱 측으로 절곡하여 고정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 웨이(Race way)는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레이스 웨이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절단된 레이스 웨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한 레이스 웨이 사이에 조이너가 설치된다. 조이너를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레이스 웨이에 결합하게 되면서 조이너와 레이스 웨이의 결합이 다소 불편하였다.
또한, 조이너와 레이스 웨이의 결합에 따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240호로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특허는 절단된 레이스 웨이들을 별도의 공구나 부품 없이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조이너가 본체에 연결된 이후 상호간의 유격이 발생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240호 (2012. 10. 05.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 레이스 웨이 사이의 연결부에 조이너를 결합하고 고정브래킷을 회전시켜 가압돌기의 가압에 의해 제1,2 레이스 웨이를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고정브래킷이 회전된 상태에서 절곡고정편을 걸림턱 측으로 절곡하여 고정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는, 전기배선을 위한 제1 레이스 웨이와 제2 레이스 웨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레이스 웨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레이스 웨이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조이너; 상기 조이너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돌기가 바닥판을 가압하여 제1,2 레이스 웨이를 고정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양측 단부에 절곡고정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이너의 양측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회전시 절곡고정편을 걸림턱 측으로 절곡시켜 고정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이너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판; 상기 하판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돌기가 회전하는 회전공간; 상기 회전공간과 인접하는 측면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회전공간 내에서 회전하는 가압돌기; 상기 가압돌기의 단부에 관통되어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공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은 조이너의 측면판에 형성되어 고정브래킷의 회전시 절곡고정편의 단부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레이스 웨이 사이의 연결부에 조이너를 결합하고 고정브래킷을 회전시켜 가압돌기의 가압에 의해 제1,2 레이스 웨이를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고정브래킷이 회전된 상태에서 절곡고정편을 걸림턱 측으로 절곡하여 고정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레이스 웨이에 결합되는 상태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레이스 웨이에 결합되는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는, 조이너(100), 고정브래킷(200), 회전 방지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레이스 웨이는 천정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하단에 결합되는 행거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앵커볼트와 행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이스 웨이는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재질이 가볍고, 외부로 노출될 때 쉽게 부식되지 않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스 웨이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이며, 일측에 위치한 제1 레이스 웨이(10)와 타측에 위치한 제2 레이스 웨이(10')의 양단부가 접하게 된다.
상기 조이너(100)는 제1,2 레이스(10)(10') 웨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단부는 제1 레이스 웨이(10)의 내부로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레이스 웨이(10')의 내부로 결합된다.
상기 조이너(100)는 각종 전선이 안착되는 하판(110)과, 상기 전선들의 이탈을 방지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11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공간(130)이 관통형성되어 고정브래킷(200)의 가압돌기(220)가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공간(130)과 인접하는 측면판(120)의 내측면에는 고정브래킷(2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1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0)은 측면판(120)에 축핀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버링가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조이너(100)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레이스 웨이(10)와 제2 레이스 웨이(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몸체(210), 가압돌기(220), 회전공(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이며, 일측에는 파지기능의 손잡이(211)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220)는 몸체(210)의 양측에 몸체(2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220)는 조이너(100)의 회전공간(130) 내에 위치하여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수직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공(230)은 가압돌기(220)의 단부에 관통형성되어 회전축(140)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몸체(2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부(300)는 고정브래킷(200)의 회전으로 제1 레이스 웨이(10)와 제2 레이스 웨이(1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0)이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 방지부(300)는 절곡고정편(310)과 걸림턱(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고정편(310)은 고정브래킷(2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되 절곡고정편(310)의 일측에 연장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절곡시킬 수 있도록 2mm 이내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320)은 조이너(100)의 측면판(120) 양측 단부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절곡고정편(310)의 절곡된 단부가 밀착되어 걸림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의 조립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제1,2 레이스 웨이(10)(10')를 앵커볼트와 행거를 통해 설치하되, 상기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양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조이너(100)의 일측 단부는 제1 레이스 웨이(10)의 내부로 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제2 레이스 웨이(10')의 내부로 결합한다.
이때, 조이너(100)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브래킷(200)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가압돌기(220)가 회전공간(13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고정브래킷(200)을 제1,2 레이스 웨이(10)(10')에 결합시 가압돌기(220)가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바닥판(11)에 간섭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2 레이스 웨이(10)(10')에 조이너(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200)의 손잡이(211)를 파지하여 몸체(210)를 하판(110) 측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몸체(21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몸체(2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압돌기(220)는 회전공간(130) 내에서 수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가압돌기(220)의 단부가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바닥판(11)을 가압하면서 제1,2 레이스 웨이(10)(10')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브래킷(200)을 회전하여 제1,2 레이스 웨이(10)(10')를 연결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고정편(310)을 공구를 이용하여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측판(12) 측으로 가압하여 절곡시키게 되면, 상기 절곡고정편(310)의 단부가 걸림턱(320)의 하부로 절곡되어 걸리게 되면서 고정브래킷(200)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200)을 회전시켜 가압돌기(220)의 가압만으로도 제1,2 레이스 웨이(10)(10')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외부의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제1,2 레이스 웨이가 흔들릴 경우 고정브래킷(200)이 회전하여 제1,2 레이스 웨이(10)(10')의 연결상태가 풀릴 우려가 있으므로 회전 방지부(300)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 레이스 웨이 10': 제2 레이스 웨이
100: 조이너 110: 하판
120: 측면판 130: 회전공간
140: 회전축 200: 고정브래킷
210: 몸체 220: 가압돌기
230: 회전공 300: 회전 방지부
310: 절곡고정편 320: 걸림턱

Claims (4)

  1. 전기배선을 위한 제1 레이스 웨이(10)와 제2 레이스 웨이(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레이스 웨이(1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레이스 웨이(10')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조이너(100);
    상기 조이너(100)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21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돌기(220)가 바닥판(11)을 가압하여 제1,2 레이스 웨이(10)(10')를 고정하는 고정브래킷(200);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양측 단부에 절곡고정편(31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이너(100)의 양측 단부에 걸림턱(32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200)의 회전시 절곡고정편(310)을 걸림턱(320) 측으로 절곡시켜 고정브래킷(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이너(100)는,
    하판(110);
    상기 하판(110)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20);
    상기 하판(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가압돌기(220)가 회전하는 회전공간(130);
    상기 회전공간(130)과 인접하는 측면판(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회전축(140)이 구비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브래킷(200)은,
    일측에 손잡이(211)가 형성되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양측에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회전공간(130) 내에서 회전하는 가압돌기(220);
    상기 가압돌기(220)의 단부에 관통되어 회전축(140)에 결합되는 회전공(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은 조이너(200)의 측면판(120)에 형성되어 고정브래킷(200)의 회전시 절곡고정편(310)의 단부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KR1020200127069A 2020-09-29 2020-09-29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KR10250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69A KR102501261B1 (ko) 2020-09-29 2020-09-29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69A KR102501261B1 (ko) 2020-09-29 2020-09-29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42A true KR20220043542A (ko) 2022-04-05
KR102501261B1 KR102501261B1 (ko) 2023-02-17

Family

ID=8118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69A KR102501261B1 (ko) 2020-09-29 2020-09-29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2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792A (ja) * 2007-05-16 2007-11-22 Mirai Ind Co Ltd 線材連結金具
KR20080085832A (ko) * 2005-12-19 2008-09-2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결 부재
KR101190240B1 (ko) 2012-05-21 2012-10-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CN206283205U (zh) * 2016-12-29 2017-06-27 国家电网公司 电视墙输出线固定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832A (ko) * 2005-12-19 2008-09-2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결 부재
JP2007306792A (ja) * 2007-05-16 2007-11-22 Mirai Ind Co Ltd 線材連結金具
KR101190240B1 (ko) 2012-05-21 2012-10-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101393061B1 (ko) * 2013-09-17 2014-05-12 주식회사 서영산업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CN206283205U (zh) * 2016-12-29 2017-06-27 国家电网公司 电视墙输出线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261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6310B2 (ja) 取り付けアセンブリ
US5942726A (en) Self-attaching electrical box
JP5230475B2 (ja) 電子機器の仮固定構造
RU2684671C1 (ru)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KR102094897B1 (ko) 캠레버 풀림방지용 로커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센터 브라켓
KR20220043542A (ko)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JP2019195043A (ja) 固定機構、固定機構キット、および固定機構キットの使用
JP5886677B2 (ja) 緊締具、連結具、及び柵
JP4435356B2 (ja) C形鋼接続用金物
JP3726158B2 (ja) 吊りボルト用ワイヤー支持金具
JP6366096B2 (ja) 点検口の外枠固定装置
KR102234160B1 (ko) 레이스웨이 고정용 클램프
KR20220138591A (ko)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KR200354666Y1 (ko) 레이스웨이용 조이너
JP2010121770A (ja) 緊締具
EP3904717A1 (en) Universal joint assembly
KR100638633B1 (ko) 전력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JP4013147B2 (ja) 構築物の取付装置
JPH1014749A (ja) 吊設用レール
JP5139456B2 (ja) 固定金具
US1276378A (en) Adjustable support for electric switches.
JP2503968Y2 (ja) 長尺体連結金具
EP3691064A1 (en)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for mounting in a mounting box
WO2015186548A1 (ja) バッテリ端子
KR200219452Y1 (ko) 만능 인입선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