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288B1 -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88B1
KR101967288B1 KR1020170078268A KR20170078268A KR101967288B1 KR 101967288 B1 KR101967288 B1 KR 101967288B1 KR 1020170078268 A KR1020170078268 A KR 1020170078268A KR 20170078268 A KR20170078268 A KR 20170078268A KR 101967288 B1 KR101967288 B1 KR 10196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nnection portion
holders
side rail
suppor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01A (ko
Inventor
이병하
Original Assignee
이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하 filed Critical 이병하
Priority to KR102017007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지지 홀들과, 홀더들,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제1 케이블 트레이의 제1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다.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겹쳐지도록 제2 케이블 트레이의 제2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다. 지지 홀들은 제1 연결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형성된다. 홀더들은 제2 연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홀들로부터 인출되며, 각 인출된 부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 홀을 구비한다. 고정부재는 홀더들이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들의 배열 중심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고정 몸체와, 고정 몸체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홀더들 사이마다 배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홀들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 편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들의 배선 처리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플랜트 등의 건물이나 해양 구조물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들이 천장, 바닥 또는 벽체 등의 공간을 따라 배선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거나 통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되어 정리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 길이를 갖고 좌우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들과, 사이드 레일들에 결합되어 사이드 레일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연결부재에 의해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른 케이블 트레이에 연결되면서 시공될 수 있다.
종래 예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케이블 트레이들을 사이드 레일들끼리 길이 방향으로 인접시킨 후, 인접된 사이드 레일들의 외측을 덮도록 연결부재를 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체결구멍들과 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구멍들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체결한다. 그러면, 인접한 사이드 레일들은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므로, 케이블 트레이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많은 볼트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케이블들이 천장, 바닥 또는 벽체 등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들을 연결하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4949(2015.08.21.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케이블 트레이들을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지지 홀들과, 홀더들,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제1 케이블 트레이의 제1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다.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겹쳐지도록 제2 케이블 트레이의 제2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다. 지지 홀들은 제1 연결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형성된다. 홀더들은 제2 연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홀들로부터 인출되며, 각 인출된 부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 홀을 구비한다. 고정부재는 홀더들이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들의 배열 중심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고정 몸체와, 고정 몸체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홀더들 사이마다 배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홀들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 편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 편은 고정 홀을 통과한 부위에 고정 홀의 주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는 고정 몸체와 접한 부위에 접지부재용 홀이 형성되며, 고정부재는 접지부재용 홀을 통해 제2 연결부와 맞닿게 고정 몸체에 부착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제1,2 케이블 트레이를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들이 천장, 바닥 또는 벽체 등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제1,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1 사이드 레일의 제1 연결부는 제2 사이드 레일의 제2 연결부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수직하중에 대해 더욱 강건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가 적용된 제1,2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를 발췌하여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에 의해 제1,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요소들을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가 적용된 제1,2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를 발췌하여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는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와, 지지 홀(130)들과, 홀더(140)들, 및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10)는 제1 케이블 트레이(10)의 제1 사이드 레일(11)에 형성된다. 제1 케이블 트레이(1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좌우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 레일(11)들과, 제1 사이드 레일(11)들에 결합되어 제1 사이드 레일(11)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 지지대(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레일(11)들은 각각 일정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들이 내측으로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평판을 절곡 가능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한쪽의 제1 사이드 레일(11)의 절곡 부위들은 다른쪽의 제1 사이드 레일(11)의 절곡 부위들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케이블 트레이(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10)는 제1 사이드 레일(11)들의 각 한쪽 끝 부위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10)는 제1 사이드 레일(11)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제1 연결부(110)의 절곡 부위들 간격은 제1 사이드 레일(11)의 절곡 부위들 간격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10)는 절곡 부위들 사이에 제2 연결부(120)를 수용하여 내측에 제2 연결부(120)가 배치되어 겹쳐지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제1 연결부(110)와 겹쳐지도록 제2 케이블 트레이(20)의 제2 사이드 레일(21)에 형성된다. 제2 케이블 트레이(20)는 일정 길이를 갖고 좌우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 레일(21)들과, 제2 사이드 레일(21)들에 결합되어 제2 사이드 레일(21)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지지대(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레일(21)들은 각각 일정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들이 내측으로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평판을 절곡 가능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한쪽의 제2 사이드 레일(21)의 절곡 부위들은 다른쪽의 제2 사이드 레일(21)의 절곡 부위들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케이블 트레이(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제2 사이드 레일(21)들의 각 한쪽 끝 부위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120)는 제2 사이드 레일(21)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제2 연결부(120)의 절곡 부위들 간격은 제2 사이드 레일(21)의 절곡 부위들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지지 홀(130)들은 제1 연결부(110)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형성된다. 지지 홀(130)들은 제1 연결부(110)의 중앙 부위에 제1 연결부(110)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지지 홀(130)들은 홀더(140)들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홀더(140)의 끼움 방향 외의 방향으로 홀더(140)가 움직이지 않게 지지한다.
지지 홀(130)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 홀(130)들은 4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홀(130)은 일정 폭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지지 홀(130)은 사각형 외에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홀더(140)들은 제2 연결부(120)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지지 홀(130)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홀(130)들로부터 인출된다. 홀더(140)들은 지지 홀(130)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며, 원주 방향으로 지지 홀(130)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홀더(140)들은 지지 홀(130)들로부터 각 인출된 부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 홀(141)을 구비한다.
예컨대, 홀더(140)는 중앙 부위가 제2 연결부(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정 홀(141)을 형성하도록 양측 가장자리들이 각각 절곡되어 제2 연결부(120)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140)의 중앙 부위는 제2 연결부(120)로부터 지지 홀(130)의 깊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140)의 중앙 부위는 일정 폭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20)는 홀더(140)의 중앙 부위와 마주하는 부위가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고정 몸체(151)와 고정 편(152)들을 구비한다. 고정 몸체(151)는 홀더(140)들이 지지 홀(130)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140)들의 배열 중심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고정 몸체(151)는 원형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몸체(151)는 고정 편(152)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 편(152)들을 지지한다. 고정 몸체(151)와 고정 편(152)들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편(152)들은 고정 몸체(151)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홀더(140)들 사이마다 배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홀(141)들에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제2 연결부(120)의 홀더(140)들은 제1 연결부(110)의 지지 홀(130)들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제1 사이드 레일(11)과 제2 사이드 레일(21)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편(152)들이 고정 홀(141)들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하게 되면, 제2 연결부(120)의 홀더(140)들은 제1 연결부(110)의 지지 홀(130)들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제1 사이드 레일(11)과 제2 사이드 레일(21)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 편(152)들은 홀더(140)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편(152)은 고정 몸체(151)와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고정 몸체(151)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어 고정 홀(141)을 출입할 수 있다. 고정 편(152)은 고정 홀(14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고 고정 홀(141)에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다.
고정 편(152)은 고정 홀(141)에 끼워지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에 레버 편(153)을 가질 수 있다. 레버 편(153)은 고정 편(152)의 반대쪽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레버 편(153)을 원주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고정 편(152)들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 편(152)은 고정 홀(141)을 통과한 부위에 고정 홀(141)의 주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 돌기(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편(152)의 선단 부위가 고정 홀(141)을 통과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154)가 고정 홀(141)의 주변에 걸림으로써, 고정 편(152)이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 홀더(140)들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 홀(141)에 끼워진 상태로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걸림 돌기(154)는 고정 편(152)의 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고정 편(15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54)는 고정 편(142)을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 가공하여 성형될 수 있다.
고정 편(152)은 걸림 돌기(154)의 주변에 돌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5)는 고정 편(152)의 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고정 편(15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편(152)이 고정 홀(141)에 끼워져 걸림 돌기(154)가 고정 홀(141)의 내벽에 의해 가압될 때, 돌출부(155)는 탄성 변형됨에 따라 걸림 돌기(154)가 고정 홀(141)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돌출부(155)는 고정 편(152)이 고정 홀(141)에 끼워지는 선단 부위로부터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홀(141)에 대한 고정 편(152)의 초기 끼움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돌출부(155)는 일정 폭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돌출부(155)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양 옆이 트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돌출부(155)는 고정 편(142)을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 가공하여 성형될 수 있다. 돌출부(155)는 걸림 돌기(154)의 성형시 함께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10)는 고정 몸체(151)와 접한 부위에 접지부재용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접지부재용 홀(160)을 통해 제2 연결부(120)와 맞닿게 고정 몸체(151)에 부착되는 접지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10)는 고정부재(150)와 맞닿고, 고정부재(150)는 접지부재(170)를 통해 제2 연결부(120)와 맞닿으므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통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가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에 배선된 케이블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누설된 전기가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를 거쳐 신속하게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재(170)는 고정 몸체(15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접지부재용 홀(160)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재(170)는 동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재(170)는 접지부재용 홀(160)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재용 홀(160)과 접지부재(170)의 형상은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에 의해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를 상호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2 사이드 레일(21)의 제2 연결부(120)를 제1 사이드 레일(11)의 제1 연결부(110)에 겹쳐지게 배치한다. 이때, 제2 연결부(120)의 홀더(140)들을 제1 연결부(110)의 지지 홀(130)들에 각각 끼워서 제2 연결부(120)를 제1 연결부(11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홀더(140)들은 고정 홀(141)을 갖는 부위가 지지 홀(130)들로부터 각각 인출되며, 제2 연결부(120)는 제1 연결부(110)에 대해 홀더(140)들의 끼움 방향 외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0)의 고정 몸체(151)를 홀더(140)들의 배열 중심에 동심으로 배치하면서, 고정부재(150)의 고정 편(152)들을 홀더(140)들 사이마다 배치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부재(150)의 레버 편(130)들을 손가락으로 원주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 편(152)들을 홀더(140)들의 고정 홀(141)들에 각각 끼운다.
이때, 고정 편(152)의 선단 부위가 고정 홀(141)을 통과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154)가 고정 홀(141)의 주변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고정 편(152)들은 고정 홀(141)에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는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0)는 고정부재(150)와 맞닿고, 고정부재(150)의 접지부재(170)는 제1 연결부(110)의 접지부재용 홀(160)을 통해 제2 연결부(120)와 맞닿으므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통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사이드 레일(11)과 제2 사이드 레일(21)이 통전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제1 케이블 트레이(10)와 제2 케이블 트레이(20)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조립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정부재(150)의 레버 편(153)들을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고정 편(152)들을 고정 홀(141)들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회전시킨 후, 고정부재(150)를 제거한다. 그러면, 제2 연결부(120)의 홀더(140)들은 제1 연결부(110)의 지지 홀(130)들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를 분리시키면, 제1 사이드 레일(11)과 제2 사이드 레일(21)이 상호 고정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제1 케이블 트레이(10)와 제2 케이블 트레이(20)가 조립 상태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에 의하면, 작업자는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를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들이 천장, 바닥 또는 벽체 등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제1,2 케이블 트레이(10, 20)를 연결하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1 사이드 레일(11)의 제1 연결부(110)는 제2 사이드 레일(21)의 제2 연결부(120)와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수직하중에 대해 더욱 강건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제1 케이블 트레이 11..제1 사이드 레일
20..제2 케이블 트레이 21..제2 사이드 레일
110..제1 연결부 120..제2 연결부
130..지지 홀 140..홀더
141..고정 홀 150..고정부재
151..고정 몸체 152..고정 편
153..레버 편 154..걸림 돌기
155..돌출부 160..접지부재용 홀
170..접지부재

Claims (3)

  1. 양쪽 가장자리 부위들이 내측으로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케이블 트레이를 일부 구성하는 제1 사이드 레일의 한쪽 끝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연결부;
    양쪽 가장자리 부위들이 내측으로 90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일부 구성하는 제2 사이드 레일의 한쪽 끝에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된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형성된 지지 홀들;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 홀들로부터 인출되며, 각 인출된 부위에 원주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 홀을 구비하는 홀더들; 및
    상기 홀더들이 상기 지지 홀들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들의 배열 중심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상기 홀더들 사이마다 배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 홀들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 편들을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절곡 부위들은 상기 제2 사이드 레일의 절곡 부위들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부의 절곡 부위들은 상기 제2 연결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부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사이드 레일의 절곡 부위들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가지며,
    상기 고정 편은,
    상기 고정 홀을 통과한 부위에 상기 고정 홀의 주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돌기의 주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고정 편의 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고정 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 편의 내측으로부터 함몰되어 고정 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 편이 상기 고정 홀에 끼워지는 선단 부위로부터 일정 폭을 갖고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고정 몸체와 접한 부위에 접지부재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지부재용 홀을 통해 상기 제2 연결부와 맞닿게 상기 고정 몸체에 부착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20170078268A 2017-06-21 2017-06-21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96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68A KR101967288B1 (ko) 2017-06-21 2017-06-21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68A KR101967288B1 (ko) 2017-06-21 2017-06-21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01A KR20190000001A (ko) 2019-01-02
KR101967288B1 true KR101967288B1 (ko) 2019-04-09

Family

ID=6502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68A KR101967288B1 (ko) 2017-06-21 2017-06-21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07B1 (ko) *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91B1 (ko) * 2008-11-24 2011-09-27 박인철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KR101544949B1 (ko) 2014-05-30 2015-08-21 권오섭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07B1 (ko) *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01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501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y
CA2951171C (en)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box
US9843139B2 (en) Shield structure, shield sh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ield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KR101307486B1 (ko) 케이블 트레이
US8193444B2 (en) Conduit box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US7799992B2 (en) Cover plate for surface mount junction box with locking member
US20160322720A1 (en) Connector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JP2006520537A (ja) 少なくとも一つのプレート型導電体を支持片に対して電気的に接続しかつ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1018448B2 (en) Covering
US9097266B2 (en) Canopy assembly for a ceiling fan
EP3309903B1 (en) Terminal socket structure and power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024195B2 (en) Grommet
KR10196728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JP4287470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導体を支持片に対して電気的に接続しかつ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864568B1 (ko)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RU187594U1 (ru) Кабельный лоток с системой встроен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секций
KR101190240B1 (ko)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JP2015185486A (ja) 端子付電線及びアース端子
KR101717273B1 (ko) 케이블 고정장치
US9541967B1 (en) Hard disk and housing thereof
KR102058849B1 (ko) 클립형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고정 장치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