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68B1 -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68B1
KR101864568B1 KR1020180008381A KR20180008381A KR101864568B1 KR 101864568 B1 KR101864568 B1 KR 101864568B1 KR 1020180008381 A KR1020180008381 A KR 1020180008381A KR 20180008381 A KR20180008381 A KR 20180008381A KR 101864568 B1 KR101864568 B1 KR 10186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frames
plat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범
Original Assignee
최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범 filed Critical 최종범
Priority to KR102018000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대; 고정대가 양단의 고정플랜지 각각에 고정되고, 고정플랜지 각각으로부터 측부지지판이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며, 측부지지판 각각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판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끼움홈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프레임이 하부지지판 상에 설치되고, 프레임 각각의 수직판 하부에 개구가 하부플랜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개구에 측방향으로 고정홈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고정홈의 상단에 탄성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절곡되며, 탄성부의 하단에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편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지지편의 일측에 가이드부가 상방으로 휘도록 형성되며, 하부플랜지 상에 걸림돌기가 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 사이에 폭방향으로 놓여져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로 배열되는 지지대의 양쪽 끝단마다 제 1 및 제 2 고정편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고정편 사이마다 하부플랜지가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대의 양단을 개구 각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대를 걸림돌기를 타고 넘어서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지지편을 상방으로 밀어서 고정홈에 삽입시키는 트레이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One-touch assembly type cable tray for electrical work}
본 발명은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면서, 브라켓의 설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도록 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전선 배치를 위한 전기 공사의 경우,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통신용과 전기용 등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도록 건물 내부의 천장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는 장치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시공 장소인 건물의 형태 등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데, 대개 "┗┛"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며, 연장 설치된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는 그 설치의 편의성을 위하여 조립성을 뛰어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8517호의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가 있다. 이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측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 삽입되어 간격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되는 간격형성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립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대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한계를 가지므로, 조립후 구조적 견고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간편한 조립성을 보완하면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면서, 트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설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도록 하고,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견고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면서, 브라켓이 트레이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가 양단의 고정플랜지 각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 각각으로부터 측부지지판이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며, 상기 측부지지판 각각의 하단이 하부지지판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지지판 상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끼움홈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지지판 상에 직교하여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의 수직판 하부에 개구가 하부플랜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측방향으로 고정홈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상단에 탄성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편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가이드부가 상방으로 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 상에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폭방향으로 놓여져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로 배열되는 지지대의 양쪽 끝단마다 제 1 및 제 2 고정편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편 사이마다 상기 하부플랜지가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상기 개구 각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걸림돌기를 타고 넘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편을 상방으로 밀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의 끝단이 상기 지지편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도록 고정되는 트레이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플랜지 각각에 상기 고정대가 상기 트레이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 상기 측부지지판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편이 상단끼리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가 하방으로 "⊂"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면서, 트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설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견고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면서, 브라켓이 트레이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의 브라켓을 설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고정가이드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지지대 끼움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에서 지지대 끼움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10)는 고정대(100), 브라켓(200) 및 트레이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휨에 대해서 어느 정도 복원력을 가지는 다양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대(100)는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고정된다. 고정대(100)는 예컨대, 한 쌍씩 트레이본체(300)의 설치 방향을 따라 다수로 나열되도록 천장에 상단이 고정됨으로써, 각각이 하방으로 수직되게 위치하게 되는데, 하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나사 체결되는 하부너트(110)에 의해 고정플랜지(2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부너트(120)의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플랜지(21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부너트(120)와 하부너트(110) 사이에 고정플랜지(210)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고정대(100)가 양단의 고정플랜지(210) 각각에 고정되고, 고정플랜지(210) 각각으로부터 측부지지판(220)이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며, 측부지지판(220) 각각의 하단이 하부지지판(230)으로 연결되고, 하부지지판(230) 상의 양단에 끼움홈(2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고정플랜지(210)에 고정대(100)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나아가서, 고정플랜지(210) 각각에 고정대(100)가 트레이본체(3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개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211)는 관통구(미도시)의 측부를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써, 고정대(100)가 하부너트(110)와 상부너트(120) 모두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개방부(21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관통구(미도시)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고정대(100)에 대한 상부너트(120) 또는 하부너트(110)의 조임에 의해 브라켓(200)이 적합한 높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본체(300)는 한 쌍의 프레임(310)과, 프레임(310) 사이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본체(300)는 끼움홈(240; 도 2 참조)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프레임(310)이 하부지지판(230) 상에 직교하여 나란하게 설치되고, 프레임(310) 각각의 수직판(311) 하부에 개구(314)가 하부플랜지(312)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개구(314)에 측방향으로 고정홈(315)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고정홈(315)의 상단에 탄성부(317)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절곡되며, 탄성부(317)의 하단에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편(316)이 탄성부(317)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지지편(316)의 일측에 가이드부(316a)가 상방으로 휘도록 형성되며, 하부플랜지(312) 상에 걸림돌기(318)가 가이드부(316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프레임(310) 사이에 폭방향으로 놓여져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로 배열되는 지지대(320)의 양쪽 끝단마다 제 1 및 제 2 고정편(321,322)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고정편(321,322) 사이마다 하부플랜지(312)가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대(320)의 양단을 개구(314) 각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대(314)를 걸림돌기(318)를 타고 넘어서 가이드부(316a)에 가이드되어 지지편(316)을 상방으로 밀어서 고정홈(315)에 삽입시킴으로써, 지지대(320)의 끝단이 지지편(316)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걸림돌기(318)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도록 고정되도록 한다.
프레임(310)은 예컨대, 걸림돌기(318)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직을 이루는 수직판(311)의 하단과 상단에 하부플랜지(312)와 상부플랜지(313)가 각각 수평되게 절곡됨으로써,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프레임(310)은 설치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볼팅이나 리벳팅 또는 별도의 연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310)은 수직판(311)의 외측면에 측부지지판(22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편(319)이 상단끼리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고정가이드편(319)은 상단끼리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하단끼리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사이에 측부지지판(2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고, 측부지지판(220)으로부터 프레임(310)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프레임(310)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가이드편(319)은 수직판(311)에 천공 및 절곡에 의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310)은 탄성부(317)가 하방으로 "⊂"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부(317)가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됨은 물론, 절곡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310) 사이에 지지대(320)를 폭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양단이 개구(314)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320) 양쪽 각각의 끝단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편(321,322) 사이에 하부플랜지(312)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대(320)를 고정홈(315) 측으로 밀도록 함으로써, 지지대(320)가 가이드부(316a)에 가이드되어 걸림돌기(318)를 타고 넘어가면서 지지편(316)을 탄성부(317)의 압축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서, 지지대(320)가 고정홈(315) 내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대(320)는 제 1 및 제 2 고정편(321,322)에 의해 트레이본체(300)에서 폭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되고, 고정홈(315) 및 걸림돌기(318)에 의해 트레이본체(30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탄성부(317)에 의해 하부플랜지(312) 상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본체(300)는 고정가이드편(319)에 의해 브라켓(20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프레임(310) 각각이 끼움홈(240)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프레임(310)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원터치 방식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면서, 트레이본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설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과 지지대 간에 견고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면서, 브라켓이 트레이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정대 110 : 하부너트
120 : 상부너트 200 : 브라켓
210 : 고정플랜지 211 : 개방부
220 : 측부지지판 230 : 하부지지판
240 : 끼움홈 300 : 트레이본체
310 : 프레임 311 : 수직판
312 : 하부플랜지 313 : 상부플랜지
314 : 개구 315 : 고정홈
316 : 지지편 316a : 가이드부
317 : 탄성부 318 : 걸림돌기
319 : 고정가이드편 320 : 지지대
321 : 제 1 고정편 322 : 제 2 고정편

Claims (4)

  1.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다수로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가 양단의 고정플랜지 각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 각각으로부터 측부지지판이 수직되게 하향 절곡되며, 상기 측부지지판 각각의 하단이 하부지지판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지지판 상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끼움홈 각각에 끼워지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하부지지판 상에 직교하여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의 수직판 하부에 개구가 하부플랜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측방향으로 고정홈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상단에 탄성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수평되게 연장되는 지지편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가이드부가 상방으로 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 상에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폭방향으로 놓여져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로 배열되는 지지대의 양쪽 끝단마다 제 1 및 제 2 고정편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편 사이마다 상기 하부플랜지가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상기 개구 각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걸림돌기를 타고 넘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지지편을 상방으로 밀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의 끝단이 상기 지지편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도록 고정되는 트레이본체;
    를 포함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플랜지 각각에 상기 고정대가 상기 트레이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 상기 측부지지판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편이 상단끼리 오므려지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가 하방으로 "⊂"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는,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20180008381A 2018-01-23 2018-01-23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186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81A KR101864568B1 (ko) 2018-01-23 2018-01-23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81A KR101864568B1 (ko) 2018-01-23 2018-01-23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68B1 true KR101864568B1 (ko) 2018-06-04

Family

ID=6262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81A KR101864568B1 (ko) 2018-01-23 2018-01-23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20B1 (ko) * 2021-05-12 2022-04-11 정상열 케이블 트레이 커버용 잠금장치
KR102439999B1 (ko) 2021-10-15 2022-09-02 이민현 전기 통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504183B1 (ko) 2022-08-29 2023-02-28 (주)대건일렉트릭 전기공사의 트레이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026A (ja) * 2004-02-06 2005-08-18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用吊り金具
KR20080076245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20090069623A (ko) * 2007-12-26 2009-07-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1374054B1 (ko) * 2013-08-08 2014-03-12 주식회사 서영산업 조립식 트레이
KR20160031435A (ko) * 2014-09-12 2016-03-22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케이블 트레이 지지체
KR20160125675A (ko) * 2015-04-22 2016-11-01 홍민재 케이블 트레이의 패널 결합장치
KR101803723B1 (ko) * 2017-04-19 2017-12-04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026A (ja) * 2004-02-06 2005-08-18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ケーブルラック用吊り金具
KR20080076245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20090069623A (ko) * 2007-12-26 2009-07-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1374054B1 (ko) * 2013-08-08 2014-03-12 주식회사 서영산업 조립식 트레이
KR20160031435A (ko) * 2014-09-12 2016-03-22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케이블 트레이 지지체
KR20160125675A (ko) * 2015-04-22 2016-11-01 홍민재 케이블 트레이의 패널 결합장치
KR101803723B1 (ko) * 2017-04-19 2017-12-04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20B1 (ko) * 2021-05-12 2022-04-11 정상열 케이블 트레이 커버용 잠금장치
KR102439999B1 (ko) 2021-10-15 2022-09-02 이민현 전기 통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504183B1 (ko) 2022-08-29 2023-02-28 (주)대건일렉트릭 전기공사의 트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568B1 (ko) 전기 공사용 원터치 조립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US6086028A (en) Table leg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US20220216679A1 (en)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Boxes
KR101946034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렁
KR10195435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008020B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97081B1 (ko)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JP5203840B2 (ja) 什器用仕切りパネル
KR101863876B1 (ko) 조립식 책상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939200B1 (ko) 멀티 빔 클램프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KR20140004470U (ko) 케이블트레이
JP7249628B2 (ja) 支持装置
JP7279927B2 (ja) 天井構造および支持部材
CN111244781B (zh) 开关柜与组装开关柜的方法
US20110220766A1 (en) Device support structure
KR10191764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72649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215637B1 (ko) 매립형 콘센트의 증설 터미널
KR10195182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042237B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