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84U -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84U
KR20100005084U KR2020080014904U KR20080014904U KR20100005084U KR 20100005084 U KR20100005084 U KR 20100005084U KR 2020080014904 U KR2020080014904 U KR 2020080014904U KR 20080014904 U KR20080014904 U KR 20080014904U KR 20100005084 U KR20100005084 U KR 201000050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member
clamp
spiral
pip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2020080014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084U/ko
Publication of KR20100005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天障)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를 지지 고정하는 파이프 행거(Pipe Hang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선부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한 번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여 신속한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냅(snap)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를 구현하기 위하여, 끼움공 및 앵커볼트 체결공을 포함하는 서포터; 중앙 힌지 및 양단부 결합공을 갖는 클램프; 상기 서포터의 끼움공 및 상기 클램프의 결합공에 끼워지고,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나선부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 행거, 행어, 탄성편, 걸림편, 탄성걸림편, 클램프, 클램핑, 나선부, 비나선부, 스냅식, 스냅타입, 파지부

Description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HANGER FOR PIPE}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天障)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를 지지 고정하는 파이프 행거(Pipe Hanger)에 관한 것으로, 볼트의 나선부 또는 비나선부를 통해 고정부재의 탄성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삽입되었다가 볼트의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는 구조로, 특히 볼트의 나선부와 고정부재의 탄성편이 서로 대응되게 삽입될 때에는 한 번의 삽입만으로 바로 나선부에 고정부재의 탄성편이 걸려 고정되고, 볼트의 비나선부와 고정부재의 탄성편이 서로 대응되게 삽입될 때에는 삽입 후 소정 각도 회전시켜 나선부에 고정부재의 탄성편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한 번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여 신속한 결합구조를 제공하고,
볼트의 헤드에 맞는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종래 방식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볼트에 구비된 파지부를 통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행거에 대해,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볼트의 헤드에 맞는 공구(십자, 일자 드라이버 등)를 소지한 상태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지지 고정 작업을 하게 되고, 이때 일일이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여야 함은 물론 공구의 낙하로 인해 인명 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또 바닥과의 충격으로 인해 바닥이나 행거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고, 작업자가 소지해야 할 도구가 너무 많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0304호 (2008.05.30,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00)와 파이프가 지지되어 있는 클램핑부재(200)를 볼트(300)로 연결함에 있어 볼트(300)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원터치식으로 밀면 되고, 볼트(300)의 이탈방지를 위한 너트가 굳이 필요하지 않은 파이프 행거로써,
원터치식으로 클램핑부재를 한 번 밀어 볼트의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게 되는 구조이나, 푸는 과정에서는 볼트의 헤드에 맞는 공구를 이용하여 돌려 풀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공구나 볼트의 고정을 위한 너트의 마련 없이 행해지는 결합 구조에서 풀림 또한 공구 없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더 진보된 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고안은 볼트의 비나선부를 통해 탄성편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삽입되었다가 볼트의 소정 각도 회전을 통해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는 구조로써, 한 번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여 신속한 결합구조를 갖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볼트의 비나선부 수가 같도록 하여 원활한 삽입 및 걸림 고정 구조의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볼트의 비나선부 수는 2개 이상이고,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행거의 크기나 요구되는 파이프의 조임력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그 개수를 정하여 형성할 수 있는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볼트에 구비된 파지부를 통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고정부재를 클램프의 결합공 해당 위치에 장착하여 결합공 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에 바로 고정부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는,
끼움공 및 앵커볼트 체결공을 포함하는 서포터;
중앙 힌지 및 양단부 결합공을 갖는 클램프;
상기 서포터의 끼움공 및 상기 클램프의 결합공에 끼워지고,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나선부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상기 볼트의 비나선부 수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상기 볼트의 비나선부 수는 2개 이상이고,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볼트는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결합공 해당 위치에서 클램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는,
첫째, 볼트의 비나선부를 통해 탄성편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삽입되었다가 볼트의 소정 각도 회전을 통해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리는 새로운 방식의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천장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지지 고정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공기(工期)의 단축 및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볼트에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작업의 효율성 증대시킬 수 있고,
셋째, 별도의 도구 없이 본 고안의 파이프 행거만을 소지한 채로 작업할 수 있어 낙하로 인해 인명사고나 건물 바닥 손상 및 파이프 행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고정부재의 탄성편과 볼트의 결합구조 중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에 따른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볼트의 소정 각도 회전으로 탄성편에 나선부가 걸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볼트에 파지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고정부재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볼트의 플랜지와 클램프의 제2바디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서 큰 원형 쇄선은 작은 원형 쇄선 내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에서 큰 원형 쇄선은 작은 원형 쇄선 내의 구성을 확대하여 정면상에서 부분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볼트와 고정부재의 탄성편의 결합구조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것이고 또 큰 원형 쇄선은 작은 원형 쇄선 내의 볼트에서 나선부와 비나선부의 여러 예를 정면상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5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볼트에 파지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또 큰 원형 쇄선은 볼트의 연결부 및 파지부의 대응연결부의 여러 형상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큰 원형 쇄선은 작은 원형 쇄선 내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타원형 쇄선은 큰 원형 쇄선 내의 구성인 고정부재가 클램프에 장착된 것을 평면상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는,
크게 서포터, 클램프, 볼트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10)는
상단에 평탄부(11),
상기 평탄부(11)의 양단에 하방 절곡된 두 제1수직부(12),
상기 두 제1수직부(12) 각각에 기울어지게 절곡된 두 사선부(13), 그리고
상기 두 사선부(13) 각각에 하방 절곡되고 끼움공(141)이 형성된 두 제2수직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부(11)에는 천장에 매립된 앵커볼트(1)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151)이 형성되는데,
상기 평탄부(11)에는 자유회전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51)을 갖는 체결너트(15)가 상기 자유회전공(111)에 헛돌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너트(15)의 일단에 플랜지(15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52)는 상기 자유회전공(11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두 제1수직부(1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절개된 고정편(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너트(15)의 플랜지(152)가 상기 자유회전공(111)의 하부 주변에 걸려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121)을 밀어 상기 플랜지(152)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너트(15)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헛도는 동작을 가능케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20)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파이프(2)를 감싸 조여 고정하는 것으로,
중앙 힌지(23)로 결합되고 양단부에 결합공(211, 221)이 형성된 제1,2바디(21, 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앙 힌지(23)는 상기 제1바디(21)의 일단(一端)에 형성된 걸림부(212)와, 상기 제2바디(22)의 일단에 형성된 대응걸림부(2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바디(21, 22)의 각 타단(他端)을 상방으로 절곡한 영역에 상기 결합공(211, 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바디(22)의 결합공(221)과 상기 서포터(10)의 끼움공(141)에 상기 볼트(30)를 끼워 상기 제2바디(22)와 상기 서포터(1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바디(21)의 결합공(211)은 상기 볼트(30)에 마지막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미리 끼워놓던지 아니면 중앙 힌지(23)를 기준으로 상기 볼트(30)에 빠져 나와 벌어진 상태 등의 결합 구조는 작업 현장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볼트(30)가 삽입되어지는 방향에서 바라본 상기 제2바디(22)의 결합공(221) 주변에 걸림돌기(221a)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볼트(30)의 플랜지(34)에 형성된 걸림홈(341)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 도 2a 및 도 2b의 하단부 원형쇄선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힌지(23)는 상기 제1바디(21)의 걸림부(212)와, 상기 제2바디(22)의 대응걸림부(222)가 서로 탄성 발휘되도록 결합되는데,
즉, 상기 걸림부(212)를 상기 대응걸림부(222)에 틀어 끼운 결합 상태에서 볼트(30)에 의하여 상기 제1,2바디(21, 22)가 결합될 때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볼트(30)의 해제시 자동으로 상기 제1바디(21)가 상기 제2바디(22)에서 상기 중앙 힌지(23)를 기준으로 자동 펼침이 가능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걸림부(212)의 길이(le1)는 상기 대응걸림부(222)의 길이(le2)보다 길고, 또 길이(le3)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212)가 상기 대응걸림부(222)의 길이(le3)로 틀어 끼운 상태에서 길이(le2)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도 2a의 하단부 원형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12)의 제1답면부(m1)와 대응걸림부(212)의 제1대응답면부(n1)[이를 이하에서는 '제1접촉면' 이라 한다.], 그리고 걸림부(212)의 제2답면부(n2)와 대응걸림부(212)의 제2대응답면부(m2)[이를 이하에서는 '제2접촉면' 이라 한다.]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볼트(30)에 의하여 상기 제1,2바디(21, 22)가 서로 결합되기 전에는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비(非)접촉되어질 것이고, 결합 후 에는 제1,2접촉면 모두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2b의 하단부 원형쇄선 참조)
따라서 상기 볼트(30)에 의하여 중앙 힌지(23)인 걸림부(212)와 대응걸림부(222)가 서로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볼트(30) 해제시 자동 펼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30)는
상기 서포터(10)의 끼움공(141) 및 상기 클램프(20)의 결합공(211, 221)에 끼워지고, 나선부(31)와 비(非)나선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볼트(30)의 헤드 영역에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부(35)를 구비하되,
상기 파지부(35)는 상기 볼트(30)의 헤드 영역에 형성된 연결부(33)와 상호 결합되도록 대응연결부(3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볼트(30)의 연결부(33) 평단면이 원형인 돌출기둥이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파지부(35)의 대응연결부(351) 또한 원형의 홀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볼트(30)의 연결부(33)는 평단면이 다각형인 돌출기둥이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파지부(35)의 대응연결부(351) 또한 다각형의 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30)의 연결부(33)와 상기 파지부(35)의 대응연결부(351)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30)의 연결부(33)에 상기 파지부(35)의 대응연결부(351)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대응연결부(351)를 지나 돌출된 상기 연결부(33)의 돌출부위 형태를 변형(공구를 이용하여 두드려 펴지게 하는 등)시켜 상기 파지부(35)가 상기 볼트(3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볼트(30)는 나선부(31) 또는 비나선부(32)와 연결부(33) 사이에 플랜지(3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4)의 내측벽에는 방사상으로 상기 제2바디(22)의 걸림돌기(2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341)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4)는 상기 결합공(221)에 걸려 상기 볼트(30)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상기 결합공(221)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볼트(30)의 걸림홈(341)과 상기 제2바디(22)의 걸림돌기(221a)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볼트(3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볼트(30)의 나선부(31)에 상기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이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30)의 걸림홈(221)이 상기 제2바디(22)의 걸림돌기(221a)와 서로 암수 결합되어 볼트(30)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한다는 의미는 작업자가 힘으로 상기 볼트(30)의 파지부(35)를 잡고 돌릴 때에는 돌아가되, 그 외의 외적 요인(진동, 충격 등)으로는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볼트(30)의 걸림홈(221)은 단면 형상이 반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달 형상을 통해 상기 볼트(30)의 파지부(35)를 잡고 적정한 힘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볼트(30)의 걸림홈(341)이 상기 제2바디(22)의 걸림돌기(221a)로부터 이탈 가능케 된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상기 제2바디(22)의 걸림돌기(221a) 수가 2개이고, 상기 볼트(30)의 걸림홈(341) 수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위한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볼트(30)의 나선부(31)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편(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 수와 상기 볼트(30)의 비나선부(32) 수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40)의 탄성편 수(41)와 상기 볼트(30)의 비나선부(32) 수는 2개 이상이고,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편(41)의 수에 비해 상기 비나선부(32)의 수가 2배일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예로써 탄성편(41)의 수는 하나이고 상기 비나선부(32)의 수는 둘일 때 에도 삽입 후 회전시켜 상기 나선부(31)가 상기 탄성편(41)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클램프(20)의 결합공(211, 221) 해당 위치에서 클램프(20)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편(41)은 상기 볼트(3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은 판재(42)의 중앙을 천공하고, 등간격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부위를 외측으로 밀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2바디(21, 22)의 결합공(211, 221) 중 하나의 결합공(211)을 기준으로 양측에 절개하여 밀어 형성된 두 판재고정편(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40)의 판재(42)는 양단에 절곡 형성된 두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43)의 길이는 상기 판재고정편(24)을 형성하면서 절개된 홀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43)는 상기 판재고정편(24)을 형성하면서 절개된 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고정편(24)을 밀어 상기 끼움부(43)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가 클램프(20)의 제1바디(21)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끼움부(43') 구조에 대한 다른 예로써,
상기 제1,2바디(21, 22)의 결합공(211, 221) 중 하나의 결합공(211)을 기준으로 양측에 두 절개홀(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재(42)는 양단에 절곡 형성된 두 끼움부(4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부(43')의 길이는 상기 절개홀(25)이 삽입되었을 때에 외부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43')가 상기 절개홀(25)에 삽입된 상태에서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밀어 제1바디(21)에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가 클램프(20)의 제1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재(40)와 클램프(20)와의 결합 구조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하나의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40)를 제외하고 제1바디(21)의 결합공(211) 주변을 절개하여 탄성편(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클램프(20)의 제1바디(21) 두께와 작업성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와 볼트(30)의 나선부(31) 및 비나선부(32)의 여 러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좌측, 우측 그리고 중앙 하측에 배열되어 있는 원형 쇄선 내의 예들을 살펴보면,
우선, 좌측에 배열된 구조는 두 나선부(31) 및 두 비나선부(32)로 이루어진 볼트(30)가 아무런 간섭이 두 탄성편(41) 내로 삽입되어지고, 도 4에서와 같이 볼트(30)를 90도 회전시켜 두 나선부(31)가 두 탄성편(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중앙 하측에 배열된 구조는 세 나선부(31) 및 세 비나선부(32)로 이루어진 볼트(30)가 세 탄성편(41) 내로 삽입되어지고, 도 4에서와 같이 볼트(30)를 60도 회전시켜 세 나선부(31)가 세 탄성편(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측에 배열된 구조는 네 나선부(31) 및 네 비나선부(32)로 이루어진 볼트(30)가 네 탄성편(41) 내로 삽입되어지고, 도 4에서와 같이 볼트(30)를 45도 회전시켜 네 나선부(31)가 네 탄성편(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세 가지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나선부, 비나선부 그리고 탄성편 수를 5개 이상으로도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2a 및 도 2b의 "A"와 "B"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30)를 통해 상기 제1,2바디(21, 22)가 풀림(결합 해제)될 때에 상기 서포터(10)의 제2수직부(14) 및 상기 제1,2바디(21, 22)의 중앙 힌지(23)가 각각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바디(21)가 상기 제2바디(22)에서 중앙 힌지(23)를 기준으로 탄성 자동 펼침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바디(21, 22)가 볼트(30)에 의하여 결합되기 전에 두 제2수직부(14)는 d2 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볼트(30)에 의하여 상기 제1바디(21)가 상기 제2바디(22)에 결합 고정되면 d1 만큼 거리가 좁아지면서 탄성 발휘되게 상기 두 제2수직부(14)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2바디(21, 22)의 탄성 자동 펼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인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장에 매립된 앵커볼트(1)와 서포터(10)의 평탄부(11)에 장착된 체결너트(15)의 체결공(151)을 서로 결합하고,
파이프(2)를 제1,2바디(21, 22) 안에 위치시킨 다음,
제1바디(21)를 중앙힌지(23)를 기준으로 회동시켜 결합공(211)이 볼트(3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결합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써,
첫 번째는, 볼트(30)의 비나선부(32)와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로 삽입되어지는 경우와,
두 번째는, 볼트(30)의 나선부(31)와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로 삽입되어지는 경우이다.
전자는 삽입 후 볼트(3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나선부(31)에 탄성편(41)이 걸리도록 하고,
후자는 삽입과 동시에 나선부(31)에 탄성편(41)이 걸리도록 한 결합 방식이다.
따라서, 볼트(30)의 나선부(31) 및 비나선부(32) 그리고 고정부재(40)의 탄성편(41) 구성에 의하여 아주 간편하고 쉬우면서 신속하게 파이프(2)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고정부재의 탄성편과 볼트의 결합구조 중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에 따른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볼트의 소정 각도 회전으로 탄성편에 나선부가 걸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볼트에 파지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고정부재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행거에서 볼트의 플랜지와 클램프의 제2바디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의 파이프 행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포터
11 : 평탄부 12 : 제1수직부
121 : 고정편 13 : 사선부
14 : 제2수직부 141 : 끼움공
15 : 체결너트 151 : 체결공
152 : 플랜지
20 : 클램프
21, 22 : 제1,2바디 23 : 중앙 힌지
211, 221 : 결합공
212 : 걸림부 222 : 대응걸림부
24 : 판재고정편 25 : 절개홀
30 : 볼트
31 : 나선부 32 : 비나선부
33 : 연결부 34 : 플랜지
341 : 걸림홈 35 : 파지부
351 : 대응연결부
40 : 고정부재
41 : 탄성편 42 : 판재
43, 43' : 끼움부

Claims (5)

  1. 끼움공 및 앵커볼트 체결공을 포함하는 서포터;
    중앙 힌지 및 양단부 결합공을 갖는 클램프;
    상기 서포터의 끼움공 및 상기 클램프의 결합공에 끼워지고,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나선부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상기 볼트의 비나선부 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탄성편 수와 상기 볼트의 비나선부 수는 2개 이상이고, 각각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결합공 해당 위치에서 클램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20080014904U 2008-11-07 2008-11-07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1000050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04U KR20100005084U (ko) 2008-11-07 2008-11-07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04U KR20100005084U (ko) 2008-11-07 2008-11-07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84U true KR20100005084U (ko) 2010-05-17

Family

ID=4445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904U KR20100005084U (ko) 2008-11-07 2008-11-07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0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90Y1 (ko) * 2012-02-28 2014-02-04 문학조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KR200496913Y1 (ko) * 2022-05-23 2023-06-01 유금열 파이프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90Y1 (ko) * 2012-02-28 2014-02-04 문학조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KR200496913Y1 (ko) * 2022-05-23 2023-06-01 유금열 파이프 고정장치
WO2023229294A1 (ko) * 2022-05-23 2023-11-30 유금열 파이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1960C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US7546988B1 (en) Multi size wire, cable and conduit fastener—clamp
KR20170106604A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KR101095818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941154B1 (ko)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EP2505741A1 (en) Joint for installation of scaffolding tubes, and scaffold comprising said joint
KR200454303Y1 (ko) 원터치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5466500B2 (ja) 通水管継手
KR100916185B1 (ko)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KR101334852B1 (ko) 벨트식 클램프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2005249027A (ja) パイプハンガー
KR100866914B1 (ko) 건축공사용 고정클립
KR200445654Y1 (ko) 건축용 원터치 너트
KR100869301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2039442A (ja) タンバックル付き配管バンドのワンタッチ配管支持装置
KR20180023269A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