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301B1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301B1
KR100869301B1 KR1020080044456A KR20080044456A KR100869301B1 KR 100869301 B1 KR100869301 B1 KR 100869301B1 KR 1020080044456 A KR1020080044456 A KR 1020080044456A KR 20080044456 A KR20080044456 A KR 20080044456A KR 100869301 B1 KR100869301 B1 KR 10086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ding
support
hang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08004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를 이용한 배관 파이프의 천장 고정시, 별도의 공구 없이 배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작업 효과가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관 파이프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를 갖는 써포트와; 상기 걸림부를 감싸는 홀딩부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와 홀딩부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를 감싸는 밴드부가 구비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홀딩부가 상기 걸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가 제공된다.
배관, 파이프, 행거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행거{A Pipe Hanger}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를 이용한 배관 파이프의 천장 고정시, 별도의 공구 없이 배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작업 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 여러 가지 배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행거(Hanger)가 사용된다.
종래의 행거(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치부재(10)와 체결부재(120)가 힌지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110)의 일단부에는 절곡된 지지부(111)가 형성되되, 천장에 돌출되게 설치된 써포트(200)와 연결되는 연결볼트(140)가 끼워지는 체결공(111a)이 형성되며, 그 체결공(111a)에 끼워진 연결볼트(140)는 체결공(111a) 내에서 좌,우회전 가능하게 너트(150)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볼트(140)의 내측에는 상기 써포트(20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체결부재(12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조임볼트(160)가 끼워지는 체결공(111b)이 형성되며, 그 체결공(111b)에 끼워진 조임볼트(160)는 너트(150)와 체결된다.
상기 힌지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체결부재(1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111)의 체결공(111b)에 끼워진 조임볼트(160)와 결합되도록 체결공(1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 파이프(300)의 고정은 천장에 돌출되게 형성된 써포트(200)에 상기 지지부(111)에 구비된 연결볼트(140)를 연결하여 행거(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게 된다.
예컨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10)에 배관 파이프(300)를 얹혀진 다음 상기 힌지부재(130)를 중심으로 체결부재(120)가 회동된다.
이후, 상기 지지부(111) 일측 체결공(111b)에 이미 끼워져 있는 조임볼트(160)에 상기 체결부재(120)의 체결공(120a)이 결합된다. 이어, 상기 체결부재(120)의 체결공(120a)으로부터 돌출된 조임볼트(160)에 너트(150)를 체결하여 체결부재(12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재(110)에 얹혀진 배관 파이프(300)는 고정된다.(도 2b 참조)
그러나, 종래의 행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천장에 고정되는 배관 파이프(300)는 행거(10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행거는 써포트(200)에 연결볼트(140)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또한 행거(100)에 고정되는 배관 파이프(300)는 상기 체결부재(120)를 조임 볼트(160) 및 너트(150)의 체결로 고정되고, 천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특히, 천장으로부터 배관 파이프(300)의 거리 조절은 도구를 이용하여 연결볼트(140)에 고정된 고정너트(150)를 써포트(200)로부터 풀리는 방향 또는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려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써포트(200)에 연결된 연결볼트(140)를 도구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이는 과정은 작업자 입장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된다.
다시 말해, 행거(100)를 천장에 고정하거나 탈거시, 써포트(100)로부터 연결볼트(140)를 체결되는 방향 또는 이탈되는 방향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는 과정과, 배관 파이프(300)를 행거(100)에 고정 또는 탈거시, 상기 체결부재(120)를 고정하고 있는 조임볼트(160)로부터 너트(150)를 풀거나 조이는 과정 때문에, 작업효율이 전체적으로 크게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천장에 배관 파이프를 고정할 때, 별도의 공구 없이 배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작업 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 파이프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를 갖는 써포트와; 상기 걸림부를 감싸는 홀딩부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와 홀딩부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를 감싸는 밴드부가 구비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홀딩부가 상기 걸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행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써포트(200)에 배관 파이프(300)의 고정시,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의 양단부에 구비된 홀딩부(31) 및 그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클램프(40)에 의해 고정된다.
다시 말해, 밴드부(33)에 가하는 배관 파이프(300)의 하중을 이용하여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클램프(40)간의 쐐기작용으로 천장에 배관 파이프(300)를 쉽게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행거(10)를 이용하여 배관 파이프(300)를 천장에 고정하는데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으며, 또한 나사조임방식으로 고정하지 않으므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 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행거(10)는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20)를 갖는 써포트(200)와; 상기 걸림부(20)를 감싸는 홀딩부(31)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31)와 홀딩부(31)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가 구비되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홀딩부(31)가 상기 걸림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써포트(200)의 일단부에 걸림부(20)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써포트(200) 전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걸림부(20)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써포트(200)상에서 걸림부(2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써포트(200)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걸림부(20)를 감싸는 상기 홀딩부(상기 밴드부(33) 양단에 각각 형성된 홀딩부(31)를 편의상 " 한 쌍의 홀딩부"라 함)(31)에는 상기 써포트(200) 및 걸림부(20)의 직경에 맞은 홈(31a)(31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0)의 직경에 맞게 형성된 홈(31a)은 걸림부(20)와 너무 밀착되지 않게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33)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홀딩부(3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33)는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배관 파이프(300)를 감쌀 수 있도록 폭이 좁으며 길이가 긴 형태로 플렉시블(flexible)하다.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에 형합되는 상기 클램프(40)의 내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행거(10)를 이용하여 배관 파이프(300)를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천장에 걸림부(20)가 일단부에 체결된 써포트(200)가 설치된다.
즉, 써포트(200)의 일단부에 체결된 걸림부(20)는 나사풀림 또는 나사조임 방향으로 돌려주면 써포트(200)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써포트(200) 하단부에 배관 파이프(300)를 감싼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가 서로 마주하고, 그 위에 클램프(40)가 위치된다.
즉, 배관 파이프(300)를 감싼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클램프(40)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배관 파이프(300)를 천장에 설치된 써포트(200)에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40)는 써포트(200)상에 위치되고, 한 쌍의 홀딩부(31)는 걸림부(20)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즉, 써포트(200)에 체결된 걸림부(20)에 한 쌍의 홀딩부(31) 중 걸림부(20)를 감싸는 홈(31a)부분이 걸려지도록 한 쌍의 홀딩부(31)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클램프(40)는 한 쌍의 홀딩부(31)에 결합될 수 있게 그 위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는 배관 파이프(300)에 느슨한 상태로 감싸여진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d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관 파이프(300)를 감싼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가 서로 접촉되어 걸림부(20)에 걸려지게 위치된다.
즉, 한 쌍의 홀딩부(31)가 서로 접촉되면, 한 쌍의 홀딩부(31) 위에 위치된 클램프(40)를 화살표 방향으로 내려주면 쉽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는 배관 파이프(300)에 밀착된 상태이나, 배관 파이프(300)를 완전히 고정하고 있는 상태는 아니다.
다음으로, 도 4e 및 도 6을 참조하면, 걸림부(20)에 걸려지도록 서로 접촉된 한 쌍의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게 한 쌍의 홀딩부(31) 외주면에 클램프(40)가 위치된다.
즉, 배관 파이프(300)를 감싼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는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고 있는 플렉시블한 밴드부(33)의 자체 탄성을 포함하여 배관 파이프(300)의 하중에 영향을 받아 벌어지게 된다.
그러나, 한 쌍의 홀딩부(31) 외주면에 결합된 클램프(40)간의 쐐기작용으로 한 쌍의 홀딩부(31)은 벌어지지 않는다.
예컨대, 밴드부(33)의 자체 탄성을 포함한 배관 파이프(300)의 하중은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홀딩부(31)는 벌어지면서 한 쌍의 홀딩부(31)에 결합된 클램프(40)와의 밀착이 더욱 커지면서 클램프(40)와 한 쌍의 홀딩부(31)간의 결합 력을 높여 한 쌍의 홀딩부(31)로부터 클램프(40)가 이탈되지 않게 만든다.
즉, 한 쌍의 홀딩부(31)의 경사진 외주면과 클램프(40)의 경사진 내주면과의 접촉으로 결합력을 더욱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홀딩부(31)에 결합된 클램프(40)는 임위적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써포트(200)에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고 있는 행거(10)는 천장에 배관 파이프(300)를 안전하게 고정시켜주게 된다.
한편, 한 쌍의 홀딩부(31)의 경사진 외주면에서 직경이 큰 경사 방향으로 클램프(40)를 가압하면 한 쌍의 홀딩부(31)의 조임력은 더욱 커져 걸림부(20)와의 고정력이 더욱 증가된다.
다른 한편으로, 천장에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고 있는 행거(10)를 탈거 할 경우, 한 쌍의 홀딩부(31) 중 직경이 작은 경사 방향으로 클램프(40)를 밀어 올리면 밴드부(33)의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걸림부(20)에 걸려있던 한 쌍의 홀딩부(31)는 걸림부(20)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고 있던 밴드부(33) 역시 배관 파이프(300)와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행거(10)를 배관 파이프(300)로부터 쉽게 탈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부(33)는 회전 가능하게 2개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밴드부(33)상에 위치한 힌지부재(50)를 중심으로 분할된 다른 밴드부(33)가 회동하여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게 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의 상부에는 한 쌍의 홀딩부(31)에 결합된 클램프(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가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60)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31c)이 형성된다.
즉, 한 쌍의 홀딩부(31)에 결합된 클램프(40)는 외부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한 쌍의 홀딩부(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고 있는 밴드부(33)에 형성된 한 쌍의 홀딩부(31)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40)가 결합된 한 쌍의 홀딩부(31) 상부에 조임부재(60)를 체결함으로써, 배관 파이프 또는 행거(10)에 외부의 외력이 가해져도 조임부재(60)에 의해 클램프(40)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 쌍의 홀딩부(31)가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을 이루며, 그 외 다른 형상도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기 클램프(40)의 내측면은, 상기 한 쌍의 홀딩부(3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경사져 있다.
즉, 한 쌍의 홀딩부(31)의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이 사각형상 또는 오각형상을 이루어도 한 쌍의 홀딩부(31) 외주면에 결합된 클램프(40)에 의해 한 쌍의 홀 딩부(31)가 벌어지는 것이 차단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행거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배관 파이프가 행거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
도 2a는 배관 파이프가 행거에 의해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도이고,
도 2b는 배관 파이프가 행거에 의해 천장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행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행거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로서,
도 4a는 천장에 설치된 써포트 일단부에 걸림부가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4b는 써포트 하단부에 배관 파이프를 감싼 밴드부에 형성된 홀딩부가 서로 마주하며, 홀딩부에 결합되는 클램프가 그 위에 위치된 상태도이며,
도 4c는 클램프는 써포트상에, 홀딩부는 걸림부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도이고,
도 4d는 서로 마주한 홀딩부가 걸림부에 걸려지도록 서로 접촉된 상태도이며,
도 4e는 걸림부에 걸려져 있는 홀딩부의 벌어지지 않게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행거가 배관 파이프를 감싸고 있으나, 배관 파이프를 완전 히 고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행거가 배관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게 걸림부에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도 7a는 밴드부상에 위치된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다른 밴드부가 회동된 상태도이고,
도 7b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된 밴드부에 의해 배관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결합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도 8a는 홀딩부를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 상부에 조임부재가 위치된 상태도이고,
도 8b는 클램프가 결합된 홀딩부 상부에 위치된 조임부재가 체결된 상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 참고 사시도로서,
도 9a는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홀딩부 및 홀딩부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9b는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이 오각형상인 홀딩부 및 홀딩부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행거 20:걸림부
30:고정밴드 31:홀딩부
31a,31b:홈 31c:수나사산
33:밴드부 40:클램프
50:힌지부재 60:조임부재

Claims (7)

  1.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20)를 갖는 써포트(200)와;
    상기 걸림부(20)를 감싸는 홀딩부(31)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31)와 홀딩부(31)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가 구비되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홀딩부(31)가 상기 걸림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써포트(200) 및 걸림부(20)를 감싸는 상기 홀딩부(31)에는 상기 써포트(200)가 지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홈(31b) 및, 상기 걸림부(2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걸림부(20)의 직경에 맞는 사이즈의 홈(31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0)의 내측면은,
    상기 홀딩부(31)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단면형상이 사각형 또는 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33)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홀딩부(3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5.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20)를 갖는 써포트(200)와;
    상기 걸림부(20)를 감싸는 홀딩부(31)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31)와 홀딩부(31)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가 구비되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홀딩부(31)가 상기 걸림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써포트(200) 및 걸림부(20)를 감싸는 상기 홀딩부(31)에는 상기 써포트(200)가 자유롭게 지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홈(31b) 및, 상기 걸림부(20)의 직경에 맞는 사이즈의 홈(3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33)는 회전 가능하게 적어도 2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있어서,
    상기 홀딩부(31)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홀딩부(31)에 형합되는 상기 클램프(40)의 내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7. 배관 파이프(300)를 고정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있어서;
    천장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부에 걸림부(20)를 갖는 써포트(200)와;
    상기 걸림부(20)를 감싸는 홀딩부(31)가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31)와 홀딩부(31) 사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300)를 감싸는 밴드부(33)가 구비되는 고정밴드(30)와;
    상기 홀딩부(31)가 상기 걸림부(20)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3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홀딩부(31)에 결합된 클램프(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홀딩부(31)의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홀딩부(31)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31c)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31)의 수나사산(31c)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20080044456A 2008-05-14 2008-05-14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86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56A KR100869301B1 (ko) 2008-05-14 2008-05-14 배관용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56A KR100869301B1 (ko) 2008-05-14 2008-05-14 배관용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301B1 true KR100869301B1 (ko) 2008-11-18

Family

ID=4028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56A KR100869301B1 (ko) 2008-05-14 2008-05-14 배관용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2131A (en) * 1927-09-13 tomkinson
US3493206A (en) * 1968-04-25 1970-02-03 Cabot Corp Adjustable pipe hanger
JPS59136087U (ja) * 1983-03-01 1984-09-11 長井 繁 スピ−ド吊バンド
JPS59157184U (ja) 1983-04-06 1984-10-22 長井 繁 スピ−ド吊バ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2131A (en) * 1927-09-13 tomkinson
US3493206A (en) * 1968-04-25 1970-02-03 Cabot Corp Adjustable pipe hanger
JPS59136087U (ja) * 1983-03-01 1984-09-11 長井 繁 スピ−ド吊バンド
JPS59157184U (ja) 1983-04-06 1984-10-22 長井 繁 スピ−ド吊バン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2949B2 (en) U-shaped wire rope clamp
KR100893947B1 (ko) 건축용 천정판
KR100920209B1 (ko) 진공배관용 클램프
KR101335478B1 (ko) 빔클램프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170106604A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JP6009365B2 (ja) 鳥害防止具
KR200411822Y1 (ko) 배관 클램프
KR101985475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관 고정장치
JP2011047463A (ja) 取着体装置及び取着体
KR20090121861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32250Y1 (ko)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KR20110080434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869301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00010561A (ko) 갱폼 고정장치
KR200474488Y1 (ko) 케이블 보호캡
JP2010007800A (ja) 配設体の支持具
KR20100005276U (ko) 배관용 고정클램프
JP5972826B2 (ja) 配管支持金具
KR100967083B1 (ko) 편측 조임용 볼트넛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0439533Y1 (ko) 개폐밸브의 잠금장치
KR20080003530U (ko) 전선트레이 고정용 너트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20190097436A (ko) 교량의 박스거더용 발판현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