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276U - 배관용 고정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용 고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276U
KR20100005276U KR2020080015160U KR20080015160U KR20100005276U KR 20100005276 U KR20100005276 U KR 20100005276U KR 2020080015160 U KR2020080015160 U KR 2020080015160U KR 20080015160 U KR20080015160 U KR 20080015160U KR 20100005276 U KR20100005276 U KR 20100005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ertion member
clamp
connecting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Priority to KR2020080015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276U/ko
Publication of KR20100005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2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확실하게 고정하면서 해체도 용이하도록 한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곡되어서 지지대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삽입홈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면서 연결관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클립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고정 클램프로서,
상기 지지클립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재를 이루는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쌍의 힌지부와, 이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연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부재를 이루는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2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구비되는 배관인 연결관을 지지대에 복수,고정할때 사용되는 고정 클램프로서, 연결관을 확실하게 고정함은 물론, 분리시에도 간편하게 분리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관, 고정클램프, 지지클립, 분리, 용이

Description

배관용 고정클램프{Fixing Clamp for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확실하게 고정하면서 해체도 용이하도록 한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장 등에 설치되면서 주관인 소화수 공급관에 복수의 가지관이 분기되어 형성되어서 화재시 소화수를 살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건물의 천장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의 가지관 사이에는 연결관(또는 연결소켓, 레듀서(reducer))과 같은 배관이 구비되어 접속되어 있음으로해서, 소화수의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대표적으로 연결관이라고 지칭한다.
그러나, 스프링클러에 공급된 소화수는, 화재 등의 비상시에 소화수가 화염원에 살수되도록 매우 큰 압력으로 공급되기때문에, 연결관을 확실하게 고정된 상 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의 고정구조물은 배관인 연결관이 결합되는 클램프에 형성된 고정공의 내부면에 계단형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는 걸림턱내로 수용되는 끼움결착면을 형성한 다음, 클램프를 지지대에 걸어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인데, 지지대에 걸려있는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견고하게 조이기 위한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화수의 흐름이 생기면, 고압에 의해 소화수 공급관에 진동이 발생하고, 그에따라 볼트의 조임상태가 느슨해져서 스프링클러의 동작시에 고정을 이루지 못하여 소화수가 화재와 다른 방향으로 살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장등에 여러개 설치되는데, 특정 스프링클러용 연결관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클램프를 풀어서 연결관을 분리하지 못하는 구조여서 지지대의 한쪽 끝단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클램프를 이동시켜서 분리하도록 해야하기때문에, 교체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용 연결관을 보다 확실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면서 교체시 해당 위치의 연결관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배관용 고정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절곡되어서 지지대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삽입홈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면서 연결관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클립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고정 클램프로서,
상기 지지클립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재를 이루는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쌍의 힌지부와, 이 힌지부로부터 연장되면서 연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부재를 이루는 상면 및 하면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2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지지부에는 안쪽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관을 타이트하게 결합되도록 돌출된 가압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의 상면의 저부와 하면의 상부에는, 삽입되는 지지대가 걸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턱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구비되는 배관인 연결관을 지지대에 복수,고정할때 사용되는 고정 클램프로서, 연결관을 확실하게 고정함은 물론, 분리시에도 간편하게 분리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고정클램프에서 지지클립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지지클립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곡되어서 지지대(1)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11a)(12a)이 각각 형성되는 상면(11)과 하면(12)으로 이루어지면서 측면(13)에 의해 지지되는 삽입부재(10)와; 이 삽입부재(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삽입홈(11a)(12a)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면서 연결관(2)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클립(2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지지클립(20)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재(10)를 이루는 상면(11) 및 하면(1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1b)(12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쌍의 힌지부(21)와, 이 힌지부(21)로부터 연장되면서 연결관(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22)와, 이 지지부(2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부재(10)를 이루는 상면(11) 및 하면(1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11c)(12c)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23)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22)에는 안쪽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관(2)을 타이트(tight)하게 결합되도록 돌출된 가압부(22a)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끼움부(23)는 상기 지지부(22)가 간격을 두고 상,하 2개로 형성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주면서 삽입부재(10)의 끼움홈(11c)(12c)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쌍의 힌지부(21)는 서로 간격을 두고 삽입부재(10)의 상면(11) 및 하면(12)의 결합공(11b)(12b)에 끼워지도록 상,하로 배치되면서 지지부(22)가 연장,형성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삽입부재(10)의 상면(11)의 저부와 하면(12)의 상부에는, 각각 지지턱(11d)(12d)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지지대(1)가 걸려서 지지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은 스프링클러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에 삽입부재(10)를 끼워서 연결하고, 연결관(1)을 삽입부재(10)와 지지클립(20)의 사이 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립(20)을 구성하는 지지부(22)에는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22a)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가압부(22a)에 의해 삽입된 연결관(2)이 더욱 조여져서 확실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연결관(2)을 분리하여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4a의 상태에서, 지지클립(20)을 삽입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개방한 다음, 연결관(2)을 분리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지지클립(20)을 구성하는 끼움부(23)를, 삽입부재(10)를 구성하는 상면(11)과 하면(12)의 끼움홈(11c)(12c)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지지클립(20) 자체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분리가능하며, 끼움부(23)의 분리시에는 힌지부(21)가 삽입부재(10)의 상면(11)과 하면(12)에 형성된 결합공(11b)(12b)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회전축 역할을 하게된다.
그에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립(20)이 분리되어서 삽입부재(10)의 삽입홈(11a)(12a)이 개방되므로, 삽입된 연결관(2)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교체한 연결관(2)을 개방된 삽입부재(10)의 삽입홈(11a)(12a)안에 삽입한 다음, 개방하였던 지지클립(20)의 끼움부(23)를 삽입부재(10)의 끼움홈(11c)(12c)안에 끼우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연결관(2)이 삽입,지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고정클램프에서 지지클립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지지클립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 지지대
2 : 연결관
3 : 스프링클러
10 : 삽입부재
11 : 상면
12 : 하면
13 : 측면
11a,12a : 삽입홈
11b,12b : 결합공
11c,12c : 끼움홈
11d,12d : 지지턱
20 : 지지클립
21 : 힌지부
22 : 지지부
22a : 가압부
23 : 끼움부

Claims (3)

  1. 절곡되어서 지지대(1)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11a)(12a)이 각각 형성되는 상면(11)과 하면(12)으로 이루어지면서 측면(13)에 의해 지지되는 삽입부재와(10);
    상기 삽입부재(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삽입홈(11a)(12a)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면서 연결관(2)을 고정하도록 하는 지지클립(20)으로 이루어지는 배관용 고정 클램프로서,
    상기 지지클립(20)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재(10)를 이루는 상면(11) 및 하면(1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1b)(12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쌍의 힌지부(21)와, 이 힌지부(21)로부터 연장되면서 연결관(2)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22)와, 이 지지부(22)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부재(10)를 이루는 상면(11) 및 하면(1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11c)(12c)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고정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에는 안쪽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관(2)을 타이트하게 결합되도록 돌출된 가압부(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고정클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0)의 상면(11)의 저부와 하면(12)의 상부에는 삽입되는 지지대(1)가 걸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턱(11d)(12d)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고정클램프.
KR2020080015160U 2008-11-13 2008-11-13 배관용 고정클램프 KR20100005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60U KR20100005276U (ko) 2008-11-13 2008-11-13 배관용 고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60U KR20100005276U (ko) 2008-11-13 2008-11-13 배관용 고정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76U true KR20100005276U (ko) 2010-05-24

Family

ID=4445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160U KR20100005276U (ko) 2008-11-13 2008-11-13 배관용 고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27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22B1 (ko) * 2014-02-18 2014-08-1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1456011B1 (ko) * 2013-06-05 2014-11-03 김형수 레듀샤 설치용 클램핑 구조
KR20200041638A (ko) * 2018-10-12 2020-04-22 이진관 스프링클러용 집열판 고정 장치
KR102113954B1 (ko) * 2019-09-23 2020-05-21 주식회사 삼원이피 용접이나 체결나사가 필요없는 사각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11B1 (ko) * 2013-06-05 2014-11-03 김형수 레듀샤 설치용 클램핑 구조
KR101429422B1 (ko) * 2014-02-18 2014-08-1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20200041638A (ko) * 2018-10-12 2020-04-22 이진관 스프링클러용 집열판 고정 장치
KR102113954B1 (ko) * 2019-09-23 2020-05-21 주식회사 삼원이피 용접이나 체결나사가 필요없는 사각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863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US10203050B2 (en) Bracket for fixing reducer in fire sprinkler
US9731156B2 (en) Fixing bracket of sprinkler
US8186723B2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US9308407B2 (en) Fixing bracket of reducer for sprinkler
WO2014081111A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러
TWI726211B (zh) 用於插入管端的預裝配式管聯接器及用預裝配式聯接器將一對軸向佈置的管端連結之方法
KR20100005276U (ko) 배관용 고정클램프
KR101103783B1 (ko)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
JP4732772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KR20110080434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15188Y1 (ko) 스프링클러의 연결소켓 고정용 클램프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WO2020236108A1 (en) Upper clamp lock of sprinkler bracket
JP4668219B2 (ja) 排水設備及びその排水設備の更新方法
KR20080033823A (ko) 원터치형 스프링클러 배관용 체결장치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80004154U (ko) 조명등용 커버 고정장치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KR200290814Y1 (ko) 파이프 행거
JP2011133111A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10006975U (ko)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