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23Y1 -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23Y1
KR200381923Y1 KR20-2005-0000862U KR20050000862U KR200381923Y1 KR 200381923 Y1 KR200381923 Y1 KR 200381923Y1 KR 20050000862 U KR20050000862 U KR 20050000862U KR 200381923 Y1 KR200381923 Y1 KR 200381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nut
packing member
support ring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근
Original Assignee
유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근 filed Critical 유진근
Priority to KR20-2005-0000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가 삽입되는 몸체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안치되되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파이프의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신축성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그 양측 둘레에 돌출돌기가 형성된 패킹부재와,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로킹너트는 그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가이드벽이 형성되고, 그 하측 단부에는 상기 몸체와 체결시 상기 돌출돌기를 내측으로 수납하여 지지 고정하는 돌출돌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upler system having a locking nut}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킹너트의 회전 만으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고정과 해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이프연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작업은 일정한 길이로 제조된 파이프를 설치환경에 맞추어 다수개를 절단 및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작업을 통칭하며, 상기와 같은 배관작업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파이프의 길이와 관로의 위치 변경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파이프 연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장치로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연결될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을 갖되 그 외경을 연결될 파이프보다 더 크게하여 그 내부에 파이프가 나사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상적인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여야 하므로 그 기밀성과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애로점이 많다.
또한 필요에 의하여 파이프를 교체할 경우에도 연결된 파이프의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는 것이다.
특히 연성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는 파이프가 연성일 관계로 체결부위가 소성적으로 쉽게 변형되면서 연결된 부위가 이탈되어 빠지는 현상까지 발생되고 있어 정교하고 안정적인 배관형성에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로킹너트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된 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설치 후에도 기밀성이 오래 유지되도록 돌출돌기가 설치된 패킹부재를 로킹너트로 체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몸체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안치되되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파이프의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신축성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그 양측 둘레에 돌출돌기가 형성된 패킹부재와,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이고 도2는 그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측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링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부재의 단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로킹너트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될 파이프(70)가 삽입되는 개구된 다수의 연결부(11)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0)에, 상기 연결부(11)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7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21)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20)와, 상기 연결부(11)에 내삽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안치되되 그 내부에 파이프(7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링(30)과, 상기 연결부(11)의 외측단에 상기 지지링(3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파이프(70)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40)와, 그 내측에 나사홈(6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1)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40)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고정구(20)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안치턱(12)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턱(12)의 내측단부는 상기 고정편(2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단(13)이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 내측에 경사단(13)이 설치된 안치턱(12)이 설치되어 상기 안치턱(12)에 고정구(2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20) 상측에는 상기 고정구(20)를 단속하여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링(3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링(30) 상측에는 패킹부재(40)가 설치되고 로킹너트(50)로 상기 몸체(10)와 체결된 후 파이프(7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삽입된 파이프(70)는 상기 고정구(20)에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편(21) 때문에 삽입은 원활하나 이탈은 곤란하여 파이프(70)가 몸체(10)에 안정적으로 연결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와 로킹너트(50)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70) 외측에 설치되는 패킹부재(40)가 체결되어 상기 몸체(10)가 밀폐구조화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밀폐구조는 상기 몸체(10) 내부에서 누수가 되더라도 누출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기밀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킹너트(50)의 나사홈(60)에 체결되는 상기 몸체(10)의 연결부(11)는 그 단부에 나사홈(60)이 설치되어 서로 나사 체결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재(40)는 신축성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그 양측 둘레에 돌출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돌기(41)는 그 외면에 각을 형성하거나 완만한 호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30)은 그 외측 하부에 상기 고정편(2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면(31)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31)의 상측부로 걸림턱(3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안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링(30)은 그 하부에 상기 고정구(20)의 상측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이 형성되어 더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링(30)은 그 상부에 상기 패킹부재(40)의 돌출돌기(41)가 삽입되어 더욱 면밀히 고정되도록 돌출돌기(41)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41) 수용홈은 그 내측면이 상기 돌출돌기(41)의 외형에 매칭되게 각이 형성되거나 완만한 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킹너트(50)는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70)가 삽입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70)를 지지하는 가이드벽(5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벽(51)의 하측 단부는 상기 몸체(10)와 체결시 상기 패킹부재(40)에 설치되는 돌출돌기(41)를 내측으로 수납하여 지지 고정하는 돌출돌기 삽입홈(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 삽입홈(52)은 그 내측면이 상기 돌출돌기(41)의 외형에 매칭되게 각이 형성되거나 완만한 호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돌출돌기(41)가 설치된 패킹부재(40)가 이용되므로 기밀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파이프(70)의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너트(50)를 이용하여 파이프(70)의 체결과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내부 부품들의 교체가 용이하여 배관작업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링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부재의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로킹너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연결부
12: 안치턱 13: 경사단
20: 고정구 21: 고정편
30: 지지링 31: 경사면
32: 걸림턱 40: 패킹부재
41: 돌출돌기 50: 로킹너트
51: 가이드벽 52: 돌출돌기 삽입홈
60: 나사홈 70: 파이프

Claims (4)

  1. 연결될 파이프(70)가 삽입되는 개구된 다수의 연결부(11)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0)에, 상기 연결부(11)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7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21)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20)와, 상기 연결부(11)에 내삽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안치되되 그 내부에 파이프(7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링(30)과, 상기 연결부(11)의 외측단에 상기 지지링(3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파이프(70)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40)와, 그 내측에 나사홈(6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1)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40)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고정구(20)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안치턱(12)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턱(12)의 내측단부는 상기 고정편(2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단(13)이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40)는 신축성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되 그 양측 둘레에 돌출돌기(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30)은 그 외측 하부에 상기 고정편(2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면(31)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31)의 상측부로 걸림턱(3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에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너트(50)는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70)가 삽입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70)를 지지하는 가이드벽(5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벽(51)의 하측 단부는 상기 몸체(10)와 체결시 상기 패킹부재(40)에 설치되는 돌출돌기(41)를 내측으로 수납하여 지지 고정하는 돌출돌기 삽입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5-0000862U 2005-01-12 2005-01-12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81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62U KR200381923Y1 (ko) 2005-01-12 2005-01-12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62U KR200381923Y1 (ko) 2005-01-12 2005-01-12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729 Division 2005-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23Y1 true KR200381923Y1 (ko) 2005-04-20

Family

ID=4368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862U KR200381923Y1 (ko) 2005-01-12 2005-01-12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6865A1 (en) * 2006-11-07 2008-05-15 Yuk Nam Choi Pipe coupling devices
KR101026354B1 (ko) 2008-01-30 2011-04-05 조구호 농업용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6865A1 (en) * 2006-11-07 2008-05-15 Yuk Nam Choi Pipe coupling devices
KR101026354B1 (ko) 2008-01-30 2011-04-05 조구호 농업용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996A (en) Plumbing system with connector between a flexible pipe conduit laid underneath plaster and a fitting to be arranged outside the plaster
KR100754508B1 (ko) 파이프 고정부재
TW201908638A (zh) 帶有可手動操縱段之預裝配式管聯接器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90069120A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82023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JP2011202809A (ja) 管継手
KR200223560Y1 (ko) 배관파이프의 연결구
KR200340910Y1 (ko) 이중벽관용 배관 연결구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200344501Y1 (ko) 배관 체결구
JP2006189159A (ja) ホースの連結構造物
KR200251683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09127Y1 (ko) 파이프의 연결구 조립체
JPH09247825A (ja) ケーブル保持具
KR100583461B1 (ko) 배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