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269A -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269A
KR20180023269A KR1020160108304A KR20160108304A KR20180023269A KR 20180023269 A KR20180023269 A KR 20180023269A KR 1020160108304 A KR1020160108304 A KR 1020160108304A KR 20160108304 A KR20160108304 A KR 20160108304A KR 20180023269 A KR20180023269 A KR 20180023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lt
diameter
shaft bol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길
Original Assignee
김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길 filed Critical 김순길
Priority to KR102016010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269A/ko
Publication of KR2018002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축 볼트로의 캡을 가고정과 함께 설치홈으로부터 캡의 흔들림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축 볼트의 확관부 측에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캡의 선단에 그 고정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 후 다시 수축되어 가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고정부; 상기 걸림부의 반대 측 캡의 끝단에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의해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고정되는 복수의 탈락 방지턱으로 구성되는 탈락 방지부;를 포함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앵커 볼트의 설치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설치 후 유동성에 대해서도 캡이 흔들리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Anchor bolt cap dropp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축 볼트로의 캡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가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홈으로 고정에 따른 너트의 조임이나 앵커 펀치의 타격에 의해 고정시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맞물림 되는 탈락 방지턱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캡의 흔들림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볼트는 구조물의 주각(柱脚)이나 토대(土臺) 등을 기초에 긴결(緊結)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입식 볼트를 말한다.
통상적인 앵커 볼트는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확관부가 형성된 축 볼트와, 상기 축 볼트에 일단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 및 절개공 사이에 앵커 펀치에 의한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따른 상기 확관부를 통하여 확관되는 복수의 확관편이 형성된 캡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앵커 볼트는 콘크리트 천장이나 바닥 또는 벽체에 드릴작업 등을 통하여 설치홈을 형성한 후 상기 캡이 삽입된 축 볼트를 설치홈으로 삽입한 다음 상기 축 볼트에 삽입된 캡을 앵커 펀치에 의해 타격하거나 또는 너트를 조임에 따라 상기 캡의 확관편이 축 볼트의 확관부의 경사면을 타고 확관되면서 설치홈 상에서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앵커 볼트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105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23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007호 등에 여러 기능을 가지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허 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앵커 볼트는 설치하는 과정에서 축 볼트로 삽입되는 캡은 볼트에 단순하게 삽입된 상태이므로 천장 등에 설치하고자 할 때, 축 볼트로 삽입되어 있는 캡이 분리되어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작업자는 다시 내려와서 바닥으로 떨어진 캡을 가지고 재차 올라가서 설치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94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커버부재가 서로 끼움 결합된 가조립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커버부재 안에서 볼트가 균형있게 배치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597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앵커캡의 끝단 일측에 앵커볼트의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석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건물 외벽에 셋트앵커의 조림 체결시 상기 앵커캡으로부터 앵커 볼트가 분리 이탈되면서 이로 인한 조임 체결작업의 지연과 안전작업에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9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5976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에 의해 가조립함에 따라 커버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나, 커버부재에 복수의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는 과정에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즉 프레스 작업한 후 이탈방지돌기를 절곡해야 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함께 상기 절곡 과정에서 이탈방지돌기를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 작게 할 경우, 커버부재를 볼트에 삽입하는 작업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 또한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앵커캡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를 이탈방지를 위해 앵커 볼트에 회전시키면서 끼움 결합함에 따라 이탈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은 가지나 이러한 앵커 볼트에 회전시키면서 앵커캡을 끼움 결합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고롭고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축 볼트로의 캡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가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홈으로 고정에 따른 너트의 조임이나 앵커 펀치의 타격에 의해 고정시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맞물림 되는 탈락 방지턱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캡의 흔들림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축 볼트로의 캡의 가고정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확관부가 형성된 축 볼트와, 상기 축 볼트에 일단으로 복수의 절개홈 및 절개공 사이에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따른 상기 확관부를 통하여 확관되는 복수의 확관편이 형성된 캡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앵커 볼트로서, 상기 축 볼트의 확관부 측에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캡의 선단에 그 고정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 후 다시 수축되어 가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고정부; 상기 걸림부의 반대 측 캡의 끝단에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의해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고정되는 복수의 탈락 방지턱으로 구성되는 탈락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확관부와 축 볼트의 축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홈, 환형의 돌기, 복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걸림부는 캡의 선단에 적어도 한번 이상이 절곡되어 고정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락 방지턱은 캡의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내향되게 절곡 형성된다.
상기 탈락 방지턱은 삼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축 볼트로의 캡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가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홈으로 고정에 따른 너트의 조임이나 앵커 펀치의 타격에 의해 고정시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맞물림 되는 탈락 방지턱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캡의 흔들림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앵커 볼트의 설치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설치 후 유동성에 대해서도 캡이 흔들리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축 볼트로의 캡의 가고정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원가를 고려하여 적정한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축 볼트에 형성된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100)는 구조물의 주각(柱脚)이나 토대(土臺) 등을 기초에 긴결(緊結)하기 위해 설치홈에 사용하는 것으로, 끝단에 경사면(112)이 형성된 확관부(114)가 형성된 축 볼트(110)와, 상기 축 볼트(110)에 일단으로 복수의 절개홈(122) 및 절개공(124) 사이에 타격 또는 너트(130) 조임에 따른 상기 확관부(114)를 통하여 확관되는 복수의 확관편(126)이 형성된 캡(12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축 볼트로의 캡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가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홈으로 축 볼트의 고정에 따른 너트(130)의 조임이나 앵커 펀치(도시하지 않음)의 타격에 의해 고정시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맞물림 되는 탈락 방지턱에 의해 설치홈으로부터 캡의 흔들림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100)를 구성하는 축 볼트(110)로부터 캡(120)을 가고정한 후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축 볼트(110)의 확관부(114) 측에 공지된 벌징가공 또는 롤링가공이나 압착가공 또는 절삭가공 등을 통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12)와, 상기 절개홈(122)이 형성된 캡(120)의 선단에 그 고정부(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 후 다시 수축되어 가고정되는 걸림부(16)를 포함하는 가고정부(10)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6)의 반대 측 캡(120)의 끝단에 상기 축 볼트(110)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통상적인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의해 상기 축 볼트(110)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고정되는 복수의 탈락 방지턱(22)으로 구성되는 탈락 방지부(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구조물에 앵커 볼트를 시공하고자 할 때, 먼저 축 볼트에 캡을 가고정부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축 볼트의 확관부 측에 형성된 고정부로 캡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를 삽입하여 가고정하게 되는 데, 이때 걸림부는 절개홈 사이의 캡 선단에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고정부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절개홈 사이에서 탄성에 의해 순간 팽창되면서 벌어진 후 고정부를 통과한 시점에 다시 수축되면서 고정된다.
그에 따라 축 볼트로 작업자의 간단한 가압에 의해 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고정됨으로써, 앵커 볼트를 고정작업시 축 볼트로부터 캡이 이탈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축 볼트로 캡이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설치홈으로 고정하고자 할 때, 먼저, 설치홈으로 축 볼트의 확관부로 삽입한 후 캡의 후단을 앵커 펀치로 타격하거나 혹은 너트로 조임으로써, 캡의 확관편이 확관부를 거쳐 확관되면서 설치홈의 내측면으로 박히면서 고정됨과 동시에 캡의 끝단에 마련된 탈락 방지부의 탈락 방지턱이 축 볼트의 나사산으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된다.
그로 인해 설치홈으로 축 볼트와 캡이 고정된 상태에서 축 볼트에 현수되는 물품의 하중에 의한 흔들림 등에 의해서도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으로 탈락방지턱이 맞물림 된 캡은 유동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종래 헐거워져 축 볼트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앵커 볼트의 고정작업에 따른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저, 앵커 볼트를 구성하는 축 볼트에 캡을 가고정부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가고정한 상태에서, 다시 캡의 끝단에 마련된 탈락 방지턱에 의하여 축 볼트의 나사산으로 맞물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캡의 유동성 방지는 물론 탈락 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한 작업의 편리성과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고정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114)와 축 볼트(110)의 축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공지된 절삭가공 등에 의한 홈(12a)이나 벌징가공 또는 롤링가공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환형의 돌기(12b) 또는 복수의 돌기(12c)로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홈(12a)은 축 볼트의 축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확관부에 공지된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이는 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었다 수축된 후 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환형의 돌기(12b)는 원형 형태로 확관부의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축 볼트의 축 방향으로 공지된 벌징가공 또는 롤링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12c) 또한 확관부의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축 볼트의 축 방향 양측으로 공지된 벌징가공 또는 롤링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걸림부(16)는 캡(120)의 선단에 적어도 한번 이상이 절곡되어 고정부(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6a)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은 캡 제작에 따른 프레스 작업시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절개홈에 의해 높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고정부로의 걸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한번 절곡 된 것에 비하여 두 번 이상이 절곡됨에 따라 캡의 전체적인 형태가 변형되는 변형 방지와 함께 팽창은 물론 수축력이 높은 관계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락 방지턱(22)은 캡(120)의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축 볼트(110)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내향되게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탈락 방지턱(22)은 삼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탈락 방지턱을 축 볼트의 나사산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캡을 축 볼트로 삽입시 간섭이나 접촉됨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탈락 방지턱은 캡을 제작시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삼각이나 사각 또는 오각 형태 등 원하는 어떠한 형태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어느 하나의 탈락 방지턱은 캡의 양단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맞닿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캡의 끝단에서 일체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탈락 방지턱은 앵커 펀치나 너트의 조임에 의해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된 상태에서는 캡이 유동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가고정부 12 : 고정부
12a : 홈 12b : 환형의 돌기
12c : 돌기 16 : 걸림부
16a : 걸림턱 20 : 탈락 방지부
22 : 탈락 방지턱
100 : 앵커 볼트
110 : 축 볼트 112 : 경사면
114 : 확관부 120 : 캡
122 : 절개홈 124 : 절개공
126 : 확관편 130 : 너트

Claims (5)

  1.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확관부가 형성된 축 볼트와, 상기 축 볼트에 일단으로 복수의 절개홈 및 절개공 사이에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따른 상기 확관부를 통하여 확관되는 복수의 확관편이 형성된 캡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앵커 볼트로서,
    상기 축 볼트의 확관부 측에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캡의 선단에 그 고정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된 후 다시 수축되어 가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고정부;
    상기 걸림부의 반대 측 캡의 끝단에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앵커 펀치의 타격 또는 너트 조임에 의해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 들어가 맞물림 고정되는 복수의 탈락 방지턱으로 구성되는 탈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확관부와 축 볼트의 축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홈, 환형의 돌기, 복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캡의 선단에 적어도 한번 이상이 절곡되어 고정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턱은 캡의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축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내향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턱은 삼각형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KR1020160108304A 2016-08-25 2016-08-25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KR20180023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04A KR20180023269A (ko) 2016-08-25 2016-08-25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04A KR20180023269A (ko) 2016-08-25 2016-08-25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69A true KR20180023269A (ko) 2018-03-07

Family

ID=6168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04A KR20180023269A (ko) 2016-08-25 2016-08-25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774A (zh) * 2018-10-31 2019-01-01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锚杆防脱落的卡固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774A (zh) * 2018-10-31 2019-01-01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锚杆防脱落的卡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07B1 (ko)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JP6047382B2 (ja) アンカーおよびアンカー施工方法
JPWO2005121570A1 (ja) 脱落防止具および緩み止めナット
KR101776212B1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KR20180023269A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JP2019078405A (ja) 係合インジケータを備えたファスナー
KR20100127119A (ko) 셋트 앙카볼트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시공방법
JP2017172233A (ja) 安全柵土台
KR20110046071A (ko) 세트 앵커볼트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KR101690593B1 (ko) 탈락 방지 기능을 갖는 앵커 볼트용 캡
KR200473296Y1 (ko) 세트 앙카
JP2001173225A (ja) 足場板固定具
KR20110008780A (ko) 너트조임에 의해 고정가능한 앵커볼트
KR20150073587A (ko) 앵커볼트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20140031062A (ko) 앵커볼트
KR200464097Y1 (ko) 세트앙카
KR200491199Y1 (ko)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GB2199914A (en) Blind fastener device
JP5918428B1 (ja) 落下防止具
KR20160008803A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0462013Y1 (ko) 웨이 앵카볼트
KR101882658B1 (ko) 스프레드 앵커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