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58Y1 - 원터치 행거 - Google Patents

원터치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58Y1
KR200381958Y1 KR20-2005-0001628U KR20050001628U KR200381958Y1 KR 200381958 Y1 KR200381958 Y1 KR 200381958Y1 KR 20050001628 U KR20050001628 U KR 20050001628U KR 200381958 Y1 KR200381958 Y1 KR 200381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astening
piece
suppor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섭
Original Assignee
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섭 filed Critical 최규섭
Priority to KR20-2005-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 구성 부재들을 체결 및 분리할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는 서로 마주보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 그리고 어느 한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는 각 부재의 제 1 종단부에 각각 구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 부재의 제 2 종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 및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는 제 1 지지 부재 상단에 연결된 수직 부재 및 고정 부재가 장착된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의 선단에는 연결편 및 연결편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편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결편의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가 각각 형성된다.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부는 제 2 지지 부재 상단에 형성된 수직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절개부가, 제 1 절개부의 상단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각각 있어 제 2 절개부 양측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원터치 행거{One touch type hanger for supporting the pipes}
본 고안은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배관 파이프를 수용, 지지할 수 있는 원터치형 행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건축물에는 도시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이 많은 배관 파이프가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 파이프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며,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배관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행거들을 고정해야만 한다.
즉,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 파이프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들이 고정되며, 이 행거들에 의하여 배관 파이프가 벽면 또는 천정에 지지됨으로서 배관 파이프는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도로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10; 이하, "행거"라 칭함)의 구성 및 그 문제점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10)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연결 부재(13) 및 고정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단들은 연결편(11A, 12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단에 형성된 연장편(11B, 12B)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단일의 원형 밴드 부재를 형성한다.
연결 부재(13)는 하나의 수평 부재(13A) 및 수평 부재 양단에서 연장된 2개의 수직 부재(13B)로 이루어진다. 2개의 수직 부재(13B)는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들(11B, 12B)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과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관통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서 연결 부재(13)와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서로 결합된다.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볼트 형태인 이 고정 부재(14)를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시켜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시킴으로서 연결 부재(13)의 설치가 완료된다.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된 행거(10)를 이용하여 배관 파이프(P)를 지지시키는 과정 및 행거(10) 내에 위치한 배관 파이프(P)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부재(14)를 통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한다. 또한, 연결편들(11A, 12A)에 의하여 하단이 결합된 상태의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의 각 상단, 즉 연장편(11B, 12B)을 외측으로 벌려 그 간격을 충분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간격이 벌려진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배관 파이프(P)를 위치시킨 후, 연장편들(11B, 12B) 을 내측으로, 즉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결편들(11B, 12B)을 연결 부재(13; 물론,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임)의 양 수직 부재들(13B)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서 배관 파이프(P)는 연결 부재(13)에 고정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된다.
반대로, 행거(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배관 파이프(P)를 행거(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 부재(13)의 2개의 수직 부재(13B)와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11B, 12B)을 체결하는 볼트(15)를 제거해야 하며, 이후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연결 부재(13)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배관 파이프(P)를 인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 파이프(P)의 지지 및 분리 과정에서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13)에 장착하거나, 볼트(15)를 제거하여 연결 부재(13)에 연결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분리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긴 길이의 배관 파이프(P)를 수십 내지 수백 개의 행거(10)를 이용하여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모든 행거(10)에 볼트를 조이거나 볼트를 제거하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천정에 고정된 연결 부재(13)에 배관 파이프(P)가 위치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기 어렵게 때문에 작업자는 한 손으로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받쳐야만 하며, 따라서 한 손만으로 볼트를 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행거에서는, 볼트의 체결시 작업자가 잘못 취급하여 볼트가 떨어지는 경우에 작업자가 볼트를 줍거나 새로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 동작들 다시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에서 발생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 구성 부재들을 체결 및 분리함으로서 배관 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 제거할 수 있는 원터치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는, 서로 마주보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 그리고 어느 한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는 각 부재의 제 1 종단부에 각각 구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 부재의 제 2 종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 및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는 제 1 지지 부재 상단에 연결된 수직 부재 및 고정 부재가 장착된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의 선단에는 연결편 및 연결편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편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결편의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가 각각 형성된다.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부는 제 2 지지 부재 상단에 형성된 수직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절개부가, 제 1 절개부의 상단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각각 있어 제 2 절개부 양측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지지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는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로서, 개구의 선단부에는 양 인접 부분들과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소정 깊이의 요부가 형성되며, 제 2 지지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는 제 2 지지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편 및 연결편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연결편의 폭은 제 2 지지 부재의 폭 및 걸림편의 폭보다 작으며, 걸림편의 폭은 제 1 지지 부재에 형성된 개구의 길이보다 작고 연결편의 폭은 개구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의 분리 사시도로서, 행거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1; 이하, "행거"라 칭함)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지지 부재(100) 및 제 2 지지 부재(200) 그리고 고정 부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100)는 반원형의 본체(101), 본체(10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02) 및 본체(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03)로 구성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는 본체(101)의 상단에 고정된 수직 부재(102-1) 및 수직 부재(102-1)에 연결된 수평 부재(102-2)로 이루어진다.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제 1 지지 부재(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0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볼트 형태인 이 고정 부재(300)를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관통시켜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시킴으로서 행거(1)의 설치가 완료된다.
반원통형의 제 2 지지 부재(200)는 제 1 지지 부재(100)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반원형의 본체(201), 본체(201)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의 체결부(202) 및 본체(201)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203)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에 형성된 고정부(102), 체결부(202)와 연결부(103 및 203)의 구성 및 기능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1)에 연결된 수직 부재(102-1) 및 수평 부재(102-2)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는 고정 부재(300)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 부재(102-2)의 선단에는 수평 부재(102-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결편(102-3) 및 연결편(102-3)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편(10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편(102-4)의 양 단부와 수평 부재(102-2)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102-3a)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02-3)과 체결편(102-4)은 위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다. 또한, 연결편(102-3)과 체결편(102-4)의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단일의 요부(10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02-4a)의 선단은 외부와 연통된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 부재(202)의 본체(201)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202)는 수직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 및 폭을 갖는 제 1 절개부(20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절개부(202-1)의 상단에는 제 2 절개부(20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절개부(202-2)의 폭은 제 1 절개부(202-1)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제 1 절개부(202-1) 상단 양측부(즉, 제 2 절개부(202-2)의 양측부)에는 걸림턱(202-2a)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
도 4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부(103)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1)에서,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하단에는 양 부재(100 및 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03 및 2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100)에 형성된 연결부(103)는 본체(101)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103-1)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부재(100)에 형성된 개구(103-1)는 본체(10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개구(103-1)의 선단부에는 그 전방 및 후방 부분과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소정 폭의 요부(103-2)가 형성된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는 본체(201)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편(203-1) 및 연결편(203-1)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203-2)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203-1)의 폭은 본체(201)와 걸림편(203-2)의 폭보다 작다. 걸림편(203-2)의 폭은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1)의 길이보다 작으며, 연결편(203-1)의 폭은 개구(103-1)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를 결합하여 행거(10)를 조립하는 과정 및 배관 파이프를 지지하는 과정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행거의 정면도, 도 8은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먼저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를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부(103), 즉 개구(103-1) 아래에 위치시킨 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을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와 나란하게 위치시킨다. 이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을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지지 부재(200)를 90도 회전시키면,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 내에서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이 회전하며,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203-2)은 개구(103-1)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후, 제 2 지지 부재(200)를 외측으로 잡아 다니면, 걸림편(203-2)의 후단이 개구(103-1) 선단의 요부(103-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는 개구(103-1)와 걸림편(203-2)의 이러한 체결 상태에 의하여 결합된다(도 5 및 도 6의 상태).
즉,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이고 또한 걸림편(203-2)의 후단이 개구(103-1) 선단의 요부(103-2)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의 결합 상태는 의도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 전방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10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103-1) 내에 삽입된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은 어떠한 위치에서도 제 1 지지 부재(100)의 본체(101) 표면 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파이프(P)는 걸림편(203-2)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203)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파이프(P)를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 내부면에 올려놓은 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향하여 이동시킨다(도 5 및 도 7의 상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 상단에 형성된 제 1 절개부(202-1)를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구성하는 수평 부재(102-1)와 대응시킨 상태에서 어느 한 부재(100 또는 200)를 가압(예를 들어,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된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에 대하여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상향 가압)하면서 제 2 지지 부재(200)를 제 1 지지 부재(10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 1 지지 부재(100)의 체결편(102-4)이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에 형성된 제 1 절개부(202-1) 내로 끼워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어느 한 부재(100 또는 2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편(102-3)이 제 2 지지 부재(200)의 수직 체결부(202)의 제 2 절개부(202-2) 내에 위치하며, 제 2 절개부(202-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202-2a)은 제 1 지지 부재(100)의 수평 부재(102-2)와 체결편(102-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2-3a)에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0)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에 체결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원형 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결국 그 내부에 위치한 배관 파이프(P)는 행거(1)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이러한 조립 공정 전에 제 1 지지 부재(100)는 고정 부재(300)를 통하여 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 내에 배관 파이프(P)를 위치시킨 뒤, 필요에 의하여 배관 파이프(P)를 제거할 경우, 상기 과정과 역순으로 행거(1)를 조작한다.
즉,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상향 가압하면, 제 2 절개부(202-2)의 양측에 형성된 각 걸림턱(202-2a)이 제 1 지지 부재(100)의 수평 부재(102-2)와 체결편(102-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2-3a)로부터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연결편(102-3)은 제 2 지지 부재(200)의 제 2 절개부(202-2)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후, 제 2 지지 부재(200)를 외측(제 1 지지 부재(100)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다니면, 제 1 지지 부재(100)의 체결편(102-4)이 제 2 지지 부재(200)의 수직 체결부(202)의 제 1 절개부(202-1)로부터 빠져 나온다. 따라서 제 2 지지 부재(200)와 제 1 지지 부재(100)의 체결 상태는 해제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후, 제 2 지지 부재(200)를 하단의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 1 지지 부재(100)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키며(도 6의 상태), 이후 제 1 지지 부재(100)의 본체(101)에 놓여진 배관 파이프(P)를 제거함으로서 배관 파이프 제거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지지 부재(100, 20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103, 203)에 의하여 제 2 지지 부재(200)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행거(1)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구성하는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의 내면에는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다수의 엠보싱부(E; embossing)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에 형성된 대응하는 엠보싱부(E)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는 그 경계부에서 인접한 부재에 대하여 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행거(1)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구성하는 연결편(102-3) 및 체결편(102-4)을 수평 부재(102-2)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 지지 부재(100)의 체결편(102-4)은 제 2 지지 부재(200)의 절개부(202-1)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따라서 양 부재(100 및 200)의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 부재(100)의 체결편(102-4)과 연결편(102-3)의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10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시 요부(102-4a)의 선단은 제 2 지지 부재(200)의 제 2 절개부(202-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분리시, 작업자는 예를 들어,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두께가 얇은 도구를 요부(102-4a)의 표면과 제 2 지지 부재(200)의 제 2 절개부(202-2)의 상단면 사이에 끼우게 되며, 이후 도구의 일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제 2 지지 부재(200)의 제 2 절개부(202-2) 양측에 형성된 각 걸림턱(202-2a)이 제 1 지지 부재(100)의 수평 부재(102-2)와 체결편(102-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2-3a)로부터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연결편(102-3)은 제 2 지지 부재(200)의 제 2 절개부(202-2)로부터 빠져 나온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 2 지지 부재(200)에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양 지지 부재(100 및 200)의 결합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 및 제 2 지지 부재(200)가 반원형이고 또한 이 부재들(100 및 200)에 의하여 형성된 행거(1)의 단면이 원형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절곡부를 갖는 선형의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를 이용함으로서 다각형상을 갖는 행거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및 공구의 사용 없이 원터치 형태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구성 부재를 체결/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부와 제 2 지지 부재의 연결부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행거의 정면도.
도 8은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Claims (6)

  1. 건축물의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 그리고 어느 한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는 각 부재의 제 1 종단부에 각각 구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 부재의 제 2 종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 및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는 제 1 지지 부재 상단에 연결된 수직 부재 및 고정 부재가 장착된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의 선단에는 연결편 및 연결편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편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결편의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부는 제 2 지지 부재 상단에 형성된 수직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절개부가, 제 1 절개부의 상단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각각 있어 제 2 절개부 양측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를 구성하는 연결편 및 체결편은 수평 부재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원터치 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는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로서, 개구의 선단부에는 양측의 인접 부분들과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소정 깊이의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지지 부재에 형성된 연결부는 제 2 지지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편 및 연결편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연결편의 폭은 제 2 지지 부재의 폭 및 걸림편의 폭보다 작으며, 걸림편의 폭은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개구의 길이보다 작고 연결편의 폭은 개구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는 원터치 행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를 구성하는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저면에는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다수의 엠보싱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각 부재에 형성된 대응하는 엠보싱부는 서로 연결되는 원터치 행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편과 체결편은 그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단일의 요부를 구비하며, 요부의 선단은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시 제 2 지지 부재의 제 2 절개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원터치 행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는 각각 반원형 부재로서, 양 부재들의 결합시 원형의 밴드 형태로 구성되는 원터치 행거.
KR20-2005-0001628U 2005-01-19 2005-01-19 원터치 행거 KR200381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28U KR200381958Y1 (ko) 2005-01-19 2005-01-19 원터치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28U KR200381958Y1 (ko) 2005-01-19 2005-01-19 원터치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58Y1 true KR200381958Y1 (ko) 2005-04-15

Family

ID=436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28U KR200381958Y1 (ko) 2005-01-19 2005-01-19 원터치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5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101370455B1 (ko) * 2011-06-02 2014-03-25 임정섭 기능성 클램프
KR101568781B1 (ko) * 2014-06-19 2015-11-23 주식회사 진원이엔지 원터치식 앵커볼트 브라켓이 구비되는 파이프행어
KR2016012205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200483969Y1 (ko) * 2016-11-15 2017-07-14 석천수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101949185B1 (ko) * 2018-10-12 2019-02-18 거일철강 주식회사 원터치 스위치를 갖는 행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6-07 최규섭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101370455B1 (ko) * 2011-06-02 2014-03-25 임정섭 기능성 클램프
KR101568781B1 (ko) * 2014-06-19 2015-11-23 주식회사 진원이엔지 원터치식 앵커볼트 브라켓이 구비되는 파이프행어
KR2016012205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200483969Y1 (ko) * 2016-11-15 2017-07-14 석천수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101949185B1 (ko) * 2018-10-12 2019-02-18 거일철강 주식회사 원터치 스위치를 갖는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US6464180B2 (en) Pipe attaching apparatus
KR200448917Y1 (ko)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US6505796B1 (en) Hanger assembly for hanging elongated members from a support
KR100403489B1 (ko) 덕트용 행거 및 이 행거를 이용한 덕트설치방법
KR200362346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JP4025416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JP2003297113A (ja) 吊り下げ照明器具およびその連結構造
JP2017078301A (ja) ブレース連結金具の施工方法
KR200421489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JP7015620B2 (ja) 配管支持具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配管支持具並びに配管支持具取付構造。
JP3204037U (ja) 吊り下げ機器又は部材の仮固定具
JP4417140B2 (ja) パイプハンガー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JPH11315613A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JP6935256B2 (ja) 配線・配管材の多段配設構造、配線・配管材の多段配設装置、および配線・配管材の増設方法
JP2009280991A (ja) 天井裏足場支持構造および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
JP2011026774A (ja) 野縁保持具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JP2008089050A (ja) 長尺物保持具及び長尺物保持具の軽量形鋼材への設置方法
KR20090003945U (ko) 케이블 트레이 가로대 결합구조
KR200448434Y1 (ko) 배관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