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69Y1 - 배관용 행거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용 행거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69Y1
KR200483969Y1 KR2020160006645U KR20160006645U KR200483969Y1 KR 200483969 Y1 KR200483969 Y1 KR 200483969Y1 KR 2020160006645 U KR2020160006645 U KR 2020160006645U KR 20160006645 U KR20160006645 U KR 20160006645U KR 200483969 Y1 KR200483969 Y1 KR 200483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arc
flange
bend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천수
Original Assignee
석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천수 filed Critical 석천수
Priority to KR2020160006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배관용 행거 클램프는, 회동을 위한 제1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계단식으로 절곡된 절곡형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헤드부의 단부에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로킹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클램프 파트;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결합되어 힌지작용을 하는 제2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 부분적으로 접면되게 연결되되 일부가 계단식으로 절곡되는 절곡형 테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테일부에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통과되는 리브 통과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클램프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에는 클램핑 홀(clamp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 통과공에는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핑 홀에 삽입되는 클램핑 핀(clamping pi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행거 클램프{PIPE HANGER CLAMP}
본 고안은,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는 체결하는 부품 또는 도구의 총칭이다. 공작기계에는 가공물을 부착하기 위해 또 중량물을 이동 운반할 때에 사용하거나 크레인에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또한 지게차에서 특수한 형상의 것을 사용해 운반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클램프는 에어컨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냉난방 배관 등을 고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클램프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는 거치부(20)와 체결부(21)가 힌지(2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거치부(20)와 체결부(21)의 선단부에는 조임볼트(30)와 조임너트(34)를 통해 연결부(40)의 연결편(41)과 결합되는 체결편(22)이 각각 형성된다.
연결부(40)의 상부에는 연결너트(12)가 장착되어 기 천장에 매립된 인서트볼트(5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클램프가 천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관을 파지한 작업자는 천장에 기 설치된 클램프의 거치부(20)에 파이프를 올려놓고 체결부(21)를 회전시킨 후, 연결부(40)의 연결편(41)에 기 장착된 조임볼트(30)를 이용하여 체결부(21)의 체결편(22)을 조임너트(34)로 체결함으로써 배관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클램핑 작업이 불편할 수 있는데, 특히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될 우려가 상당히 높아서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위배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338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21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44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6516호
본 고안의 목적은,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회동을 위한 제1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계단식으로 절곡된 절곡형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헤드부의 단부에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로킹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클램프 파트;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결합되어 힌지작용을 하는 제2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 부분적으로 접면되게 연결되되 일부가 계단식으로 절곡되는 절곡형 테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테일부에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통과되는 리브 통과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클램프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에는 클램핑 홀(clamp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 통과공에는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핑 홀에 삽입되는 클램핑 핀(clamping pi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클램프 파트는,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절곡형 헤드부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1 아크 연결부; 및 상기 제1 아크 연결부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아크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램프 파트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상기 절곡형 테일부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2 아크 연결부; 및 상기 제2 아크 연결부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2 아크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형 헤드부는, 상기 제1 아크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더미 통공이 형성되는 제1 절곡형 플랜지;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형 플랜지;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 및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보다 길이가 짧고 단부에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연결되는 제3 절곡형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형 테일부는, 상기 제2 아크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상기 리브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의 연결 시 상기 제3 절곡형 플랜지가 접촉지지되는 제4 절곡형 플랜지; 및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의 연결 시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에 포개지면서 접촉지지되는 제5 절곡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를 또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도 2를 또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도, 도 7은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작동도, 그리고 도 8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100)는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클램프 파트(110)와, 제2 클램프 파트(1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클램프 파트(110,150)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에 상호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 도 6 및 도 7처럼 벌린 상태에서 도 2, 도 3, 도 5 및 도 7처럼 조임으로써 그 내부의 배관이 고정될 수 있게끔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100)는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도 2, 도 3, 도 5 및 도 7처럼 클램핑 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한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제1 클램프 파트(11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제1 클램프 파트(110)는 회동을 위한 제1 힌지부(11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계단식으로 절곡된 절곡형 헤드부(1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클램프 파트(110)는 제1 힌지부(111)와 절곡형 헤드부(120)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1 아크 연결부(112)와, 제1 아크 연결부(112)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1 통공(113)이 형성되는 제1 아크 패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형 헤드부(120)는 인서트 너트(125)가 연결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즉 절곡형 헤드부(120)는 제1 아크 연결부(11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더미 통공(124)이 형성되는 제1 절곡형 플랜지(121)와, 제1 절곡형 플랜지(121)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2 절곡형 플랜지(122)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125)와, 제2 절곡형 플랜지(12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제1 절곡형 플랜지(12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제1 절곡형 플랜지(121)보다 길이가 짧고 단부에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연결되는 제3 절곡형 플랜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클램프 파트(150)는 제1 힌지부(111)와 결합되어 힌지작용을 하는 제2 힌지부(15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절곡형 헤드부(120)와 부분적으로 접면되게 연결되되 일부가 계단식으로 절곡되는 절곡형 테일부(16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클램프 파트(150)는 제2 힌지부(151)와 절곡형 테일부(160)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2 아크 연결부(152)와, 제2 아크 연결부(152)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2 통공(153)이 형성되는 제2 아크 패턴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형 테일부(160)는 절곡형 헤드부(120)와 접면되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절곡형 테일부(160)는 제2 아크 연결부(15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리브 통과공(170)이 형성되고 절곡형 헤드부(120)와의 연결 시 제3 절곡형 플랜지(123)가 접촉지지되는 제4 절곡형 플랜지(161)와, 제2 절곡형 플랜지(12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절곡형 헤드부(120)와의 연결 시 제2 절곡형 플랜지(122)에 포개지면서 접촉지지되는 제5 절곡형 플랜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클램프 파트(110)에는 절곡형 헤드부(120)의 단부에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제2 클램프 파트(150)에는 절곡형 테일부(160)에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통과되는 리브 통과공(17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클램프 파트(110)의 절곡형 헤드부(120)의 단부에는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이러한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제2 클램프 파트(150)의 절곡형 테일부(160)에 형성되는 리브 통과공(170)에 결합된다.
이때,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리브 통과공(170)에 결합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면 아니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아크형 로킹 리브(130)에는 클램핑 홀(clamping hole, 131)이 형성되고, 리브 통과공(170)에는 아크형 로킹 리브(13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클램핑 홀(131)에 삽입되는 클램핑 핀(clamping pin, 17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을 경우, 도 4, 도 6 및 도 7처럼 벌린 상태에서 도 2, 도 3, 도 5 및 도 7처럼 조일 경우, 도 2의 확대된 것처럼 클램핑 핀(clamping pin, 171)이 클램핑 홀(clamping hole, 131)에 끼워지면서 클램핑되기 때문에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단순한 방법만으로도 클램핑 상태의 임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200) 역시, 절곡형 헤드부(220)를 구비하는 제1 클램프 파트(210)와, 절곡형 헤드부(220)와 상호작용하는 절곡형 테일부(260)를 구비하는 제2 클램프 파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절곡형 헤드부(220)와 절곡형 테일부(260)가 접면되는 부분, 즉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접면 부분에는 이들의 임의 해제가 어렵도록 하는 임의 해제 저항부(280)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임의 해제 저항부(280)는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접면 부분에 마련되는 나선형 치형으로 적용되는데, 이와 같은 임의 해제 저항부(280)가 적용되면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결합이 임으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300) 역시, 절곡형 헤드부(320)를 구비하는 제1 클램프 파트(310)와, 절곡형 헤드부(320)와 상호작용하는 절곡형 테일부(360)를 구비하는 제2 클램프 파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형 헤드부(320)와 절곡형 테일부(360)가 접면되는 부분, 즉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접면 부분에는 이들의 임의 해제가 어렵도록 하는 임의 해제 저항부(380)가 더 마련된다.
이때, 임의 해제 저항부(380)는 제2 절곡형 플랜지(12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381)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에 형성되어 걸림부(381)가 걸리는 걸림턱(3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의 해제 저항부(380)가 마련되더라도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결합이 임으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행거 클램프(400) 역시, 절곡형 헤드부(420)를 구비하는 제1 클램프 파트(410)와, 절곡형 헤드부(420)와 상호작용하는 절곡형 테일부(460)를 구비하는 제2 클램프 파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 절곡형 플랜지(122) 내에는 영구자석(480)이 매입되게 마련된다. 이처럼 제2 절곡형 플랜지(122) 내에 영구자석(480)이 마련되면 영구자석(480)의 자기력으로 인해 제2 절곡형 플랜지(122)와 제5 절곡형 플랜지(162)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절곡형 테일부(460)의 내측에 회동식 빗장 걸쇠(491)가 마련된다. 회동식 빗장 걸쇠(491)는 탄성 피봇부(492)에 의해 점선에서 실선, 혹은 실선에서 점선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제1 클램프 파트(410)와 제2 클램프 파트(450)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점선에서 실선처럼 회동식 빗장 걸쇠(491)를 회동시켜 제3 절곡형 플랜지(123)를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하면 제1 클램프 파트(410)와 제2 클램프 파트(450)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클램핑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클램핑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시설물의 안전기준에 적합하여 제품 적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배관용 행거 클램프 110 : 제1 클램프 파트
111 : 제1 힌지부 112 : 제1 아크 연결부
113 : 제1 통공 114 : 제1 아크 패턴부
120 : 절곡형 헤드부 121 : 제1 절곡형 플랜지
122 : 제2 절곡형 플랜지 123 : 제3 절곡형 플랜지
124 : 더미 통공 125 : 인서트 너트
130 : 아크형 로킹 리브 131 : 클램핑 홀
150 : 제2 클램프 파트 151 : 제2 힌지부
152 : 제2 아크 연결부 153 : 제2 통공
154 : 제2 아크 패턴부 160 : 절곡형 테일부
161 : 제4 절곡형 플랜지 162 : 제5 절곡형 플랜지
170 : 리브 통과공 171 : 클램핑 핀

Claims (3)

  1. 회동을 위한 제1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계단식으로 절곡된 절곡형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헤드부의 단부에 아크(arc) 형상의 아크형 로킹 리브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클램프 파트;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결합되어 힌지작용을 하는 제2 힌지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 부분적으로 접면되게 연결되되 일부가 계단식으로 절곡되는 절곡형 테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형 테일부에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통과되는 리브 통과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클램프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에는 클램핑 홀(clamp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 통과공에는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핑 홀에 삽입되는 클램핑 핀(clamping pin)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 파트는,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절곡형 헤드부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1 아크 연결부; 및
    상기 제1 아크 연결부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아크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램프 파트는,
    상기 제2 힌지부와 상기 절곡형 테일부를 아크(arc)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2 아크 연결부; 및
    상기 제2 아크 연결부의 일부분에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2 아크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형 헤드부는,
    상기 제1 아크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더미 통공이 형성되는 제1 절곡형 플랜지;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형 플랜지;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인서트 너트; 및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절곡형 플랜지보다 길이가 짧고 단부에 상기 아크형 로킹 리브가 연결되는 제3 절곡형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형 테일부는,
    상기 제2 아크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상기 리브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의 연결 시 상기 제3 절곡형 플랜지가 접촉지지되는 제4 절곡형 플랜지; 및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절곡형 헤드부와의 연결 시 상기 제2 절곡형 플랜지에 포개지면서 접촉지지되는 제5 절곡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6645U 2016-11-15 2016-11-15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0483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5U KR200483969Y1 (ko) 2016-11-15 2016-11-15 배관용 행거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45U KR200483969Y1 (ko) 2016-11-15 2016-11-15 배관용 행거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69Y1 true KR200483969Y1 (ko) 2017-07-14

Family

ID=5931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45U KR200483969Y1 (ko) 2016-11-15 2016-11-15 배관용 행거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6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374A (ja) * 1998-09-21 2000-04-04 Nichiei Intec Kk 吊りボルト直付け設置用配管吊りバンド
KR200381958Y1 (ko) * 2005-01-19 2005-04-15 최규섭 원터치 행거
KR20120004401U (ko) 2010-12-10 2012-06-20 신동우 재떨이 받침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374A (ja) * 1998-09-21 2000-04-04 Nichiei Intec Kk 吊りボルト直付け設置用配管吊りバンド
KR200381958Y1 (ko) * 2005-01-19 2005-04-15 최규섭 원터치 행거
KR20120004401U (ko) 2010-12-10 2012-06-20 신동우 재떨이 받침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13Y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8403277B2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CN100441928C (zh) 软管夹具
JP2006029566A (ja) バンドクランプ
JP5060362B2 (ja) 配線・配管材引出具
KR200483969Y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JP4732772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JP2010129534A (ja) 電線支持物
JP5439094B2 (ja) ボルト体への取着体及びナット体
JP5433119B2 (ja) 配設体支持具
JP4693872B2 (ja) 配管等の固定具
JP2007320373A (ja) 車両用ランプ、車両用ランプの取付方法、車両用ランプの取付構造及び車両
JP4005010B2 (ja) 固定具
JP2010151320A (ja) バンドクランプ
JP2008150854A (ja) 配設体支持具
JP5522825B2 (ja) 配管支持用取付部材,配管支持具および配管支持具用ロック機構
JP5703128B2 (ja) プラグ保持板
JP4417140B2 (ja) パイプハンガー
JP2009011119A (ja) 吊りボルト用ケーブル支持具
KR200399658Y1 (ko) 케이블 고정용 브라켓 구조
JP3997546B2 (ja) チャンネル材用固定金具
KR100874232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열교환기 고정구조
JP5584348B1 (ja) 建築用ルーバーパネルの落下防止構造
KR101409003B1 (ko) 다목적 고정홀더
JP4751729B2 (ja) ガス栓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