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17Y1 - 배관용 원터치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용 원터치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917Y1
KR200448917Y1 KR2020100000470U KR20100000470U KR200448917Y1 KR 200448917 Y1 KR200448917 Y1 KR 200448917Y1 KR 2020100000470 U KR2020100000470 U KR 2020100000470U KR 20100000470 U KR20100000470 U KR 20100000470U KR 200448917 Y1 KR200448917 Y1 KR 200448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anger
support member
suppor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섭
Original Assignee
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섭 filed Critical 최규섭
Priority to KR2020100000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연결된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며 내측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2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상기 고정부의 상기 돌출부에 구비된 상기 걸림턱이 체결되는 U자형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및 공구의 사용 없이 작은 힘으로도 원터치 방식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관용 원터치 행거{One touch type hanger for supporting the pipes}
본 고안은 배관용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및 공구의 사용 없이 작은 힘으로도 원터치 방식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건축물에는 도시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이 많은 배관이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며,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행거들을 고정해야만 한다.
즉,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들이 고정되며, 이 행거들에 의하여 배관이 벽면 또는 천정에 지지됨으로서 배관은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도로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용 행거(10; 이하, "행거"라 칭함)의 구성 및 그 문제점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10)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연결 부재(13) 및 고정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단들은 연결편(11A, 12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단에 형성된 연장편(11B, 12B)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단일의 원형 밴드 부재를 형성한다.
연결 부재(13)는 하나의 수평 부재(13A) 및 수평 부재 양단에서 연장된 2개의 수직 부재(13B)로 이루어진다. 2개의 수직 부재(13B)는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들(11B, 12B)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과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관통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서 연결 부재(13)와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서로 결합된다.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볼트 형태인 이 고정 부재(14)를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시켜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시킴으로서 연결 부재(13)의 설치가 완료된다.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된 행거(10)를 이용하여 배관(P)을 지지시키는 과정 및 행거(10) 내에 위치한 배관(P)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부재(14)를 통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한다. 또한, 연결편들(11A, 12A)에 의하여 하단이 결합된 상태의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의 각 상단, 즉 연장편(11B, 12B)을 외측으로 벌려 그 간격을 충분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간격이 벌려진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배관(P)을 위치시킨 후, 연장편들(11B, 12B)을 내측으로, 즉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결편들(11B, 12B)을 연결 부재(13; 물론,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임)의 양 수직 부재들(13B)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서 배관(P)은 연결 부재(13)에 고정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된다.
반대로, 행거(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배관(P)을 행거(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 부재(13)의 2개의 수직 부재(13B)와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11B, 12B)을 체결하는 볼트(15)를 제거해야 하며, 이후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연결 부재(13)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배관(P)을 인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P)의 지지 및 분리 과정에서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13)에 장착하거나, 볼트(15)를 제거하여 연결 부재(13)에 연결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긴 길이의 배관(P)을 수십 내지 수백 개의 행거(10)를 이용하여 천정 또는 벽면에 지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모든 행거(10)에 볼트를 조이거나 볼트를 제거하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다.
특히, 천정에 고정된 연결 부재(13)에 배관(P)이 위치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기 어렵게 때문에 작업자는 한 손으로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받쳐야만 하며, 따라서 한 손만으로 볼트를 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행거에서는, 볼트의 체결시 작업자가 잘못 취급하여 볼트가 떨어지는 경우에 작업자가 볼트를 줍거나 새로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 동작들 다시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본 출원인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배관용 행거에 대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81958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어느 한 지지 부재를 가압하면서 다른 지지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킨 후 가압을 해제하면 체결되는 방식으로, 가압하는데 많은 힘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된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를 분리시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 부위 사이에 끼워 분리하여야 하므로, 도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관용 행거의 경우 이러한 도구를 사용할 만한 공간이 작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어서, 그러한 작업이 매우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작은 힘으로도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및 공구의 사용 없이 원터치 방식의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연결된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며 내측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상기 걸림턱이 체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부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U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U자형 스프링은, 상기 U자형 스프링의 양측 단부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반원형이고, 상기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 부재가 결합된 형태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는 U자형 스프링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 및 공구의 사용 없이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배관용 원터치 행거는 U자형 스프링의 양측 단부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원형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작은 힘으로도 원터치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관용 행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연결부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1; 이하, "행거"라 칭함)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지지 부재(100) 및 제 2 지지 부재(200) 그리고 고정 부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100)는 반원형의 본체(101), 본체(10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02) 및 본체(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03)로 구성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는 본체(101)의 상단에 고정된 수직 부재(102-1) 및 수직 부재(102-1)에 연결된 수평 부재(102-2)로 이루어진다.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제 1 지지 부재(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0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볼트 형태인 고정 부재(300)를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관통시켜 벽면 또는 천정에 행거(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200)는 제 1 지지 부재(100)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반원형의 본체(201), 본체(201)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의 체결부(202) 및 본체(201)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203)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에 형성된 고정부(102), 체결부(202)와 연결부(103 및 203)의 구성 및 기능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1)에 연결된 수직 부재(102-1) 및 수평 부재(102-2)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102-2)의 중앙부에는 고정 부재(300)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 부재(102-2)에는 수평 부재(102-2)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2개의 돌출부(110)는 각각의 내측 단부에 걸림턱(112)을 구비한다. 따라서, 수평부재(102-2)와 걸림턱(112) 사이에는 공간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10)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 (202)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는 본체(20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부재로써, 그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 및 폭을 갖는 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212)과 수직 방향으로 U자형 스프링(210)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스프링(210)은 스프링 고정부재(214)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 고정부재(214)는 제 1 스프링 고정부재(214a)와 제 2 스프링 고정부재(21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스프링 고정부재(214a)는 U자형 스프링(210)의 하측 중앙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고, 제 2 스프링 고정부재(214b)는 U자형 스프링(210)의 중간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준다.
또한, U자형 스프링은 그 단부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216)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 실시예의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부(103)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1)에서,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하단에는 양 부재(100 및 200)를 연결하는 연결부(103 및 2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100)에 형성된 연결부(103)는 본체(101)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103-1)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부재(100)에 형성된 개구(103-1)는 본체(10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개구(103-1)의 선단부에는 그 전방 및 후방 부분과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소정 폭의 요부(103-2)가 형성된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는 본체(201)의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편(203-1) 및 연결편(203-1)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203-2)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203-1)의 폭은 본체(201)와 걸림편(203-2)의 폭보다 작다. 걸림편(203-2)의 폭은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의 길이보다 작으며, 연결편(203-1)의 폭은 개구(103-1)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행거의 체결 및 분리 과정에 대한 설명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를 결합하여 행거(10)를 조립하고, 배관을 지지하는 과정 및 이를 분리하는 과정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실시예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실시예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실시예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원터치 행거의 일실시예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부(103)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연결부(203)를 제 1 지지 부재(100)의 연결부(103), 즉 개구(103-1) 아래에 위치시킨 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을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와 나란하게 위치시킨다. 이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을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지지 부재(200)를 90도 회전시키면,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 내에서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이 회전하며,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203-2)은 개구(103-1)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후, 제 2 지지 부재(20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걸림편(203-2)의 후단이 개구(103-1) 선단의 요부(103-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는 개구(103-1)와 걸림편(203-2)의 이러한 체결 상태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이고 또한 걸림편(203-2)의 후단이 개구(103-1) 선단의 요부(103-2)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및 203)의 결합 상태는 의도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지지 부재(100)의 개구(103-1) 전방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10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103-1) 내에 삽입된 제 2 지지 부재(200)의 걸림편(203-2)은 어떠한 위치에서도 제 1 지지 부재(100)의 본체(101) 표면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파이프(P)는 걸림편(203-2)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연결부(103, 203)가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P)을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 내부 면에 올려놓은 후,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 상단에 형성된 홀(212)을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구성하는 2개의 돌출부(110)와 대응시킨 상태에서 제 1 지지 부재(100) 또는 제 2 지지 부재(200)를 가압(예를 들어,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된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에 대하여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가압)하여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결합한다.
상기 결합과정에서 제 1 지지 부재(100)의 돌출부(110)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의 홀 내부를 통과한다. 이때, 돌출부(11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114)를 따라 U자형 스프링(210)이 2개의 돌출부(110) 사이로 삽입되면서 U자형 스프링(210)의 폭이 점점 줄어든다. 이어, 돌출부(110)의 경사(114)가 끝나고 공간부(116)에 U자형 스프링(210)이 삽입되면서 U자형 스프링(210)의 폭은 원래대로 넓어지고, U자형 스프링이 돌출부(110)의 걸림턱(112)에 체결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원형 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결국 그 내부에 위치한 배관(P)은 행거(1)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이러한 조립 공정 전에 제 1 지지 부재(100)는 고정 부재(300)를 통하여 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지 부재(100 및 200)의 결합에 의해 생긴 원형의 내부 공간에 배관(P)을 위치시켜 벽 또는 천정에 고정시킨 뒤, 필요에 의하여 배관(P)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과정과 역순으로 행거(1)를 조작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와 제 2 지지 부재(200)를 분리하여 행거(10)로부터 배관을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를 구성하는 U자형 스프링(210)의 손잡이부(216)를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 U자형 스프링(210)이 제 1 지지 부재(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을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 U자형 스프링(210)의 손잡이부(216)를 가압한 상태에서 외측(제 1 지지 부재(100)와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가 분리된다.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와 제 2 지지 부재(200)의 체결부(20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후, 제 2 지지 부재(200)를 하단의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 1 지지 부재(100)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키며, 이후 제 1 지지 부재(100)의 본체(101)에 놓여진 배관(P)을 제거함으로서 배관 제거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지지 부재(100, 20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부(103, 203)에 의하여 제 2 지지 부재(200)는 연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 도면에는 생략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행거(1)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의 고정부(102)를 구성하는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의 내면에는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다수의 엠보싱부(E; embossing)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의 내면에 형성된 엠보싱부(E)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수직 부재(102-1)와 수평 부재(102-2)는 그 경계부에서 인접한 부재에 대하여 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각 도면에서는 제 1 지지 부재(100) 및 제 2 지지 부재(200)가 반원형이고 또한 이 부재들(100 및 200)에 의하여 형성된 행거(1)의 단면이 원형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절곡부를 갖는 선형의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를 이용함으로서 다각형상을 갖는 행거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에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개수에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체결부에 U자형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고정부의 돌출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탄성부재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 원터치 행거 100 : 제 1 지지 부재
200 : 제 2 지지 부재 300 : 고정 부재
102 : 고정부 202 : 체결부
101, 201 : 본체 103, 203 : 연결부
102-1 : 수직 부재 102-2 : 수평 부재
112 : 걸림턱 116 : 공간부
212 : 홀 210 : U자형 스프링
214 : 스프링 고정부재 216 : 손잡이부

Claims (7)

  1.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서로 연결된 제 1 지지 부재 및 제 2 지지 부재;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연결된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며 내측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상기 걸림턱이 체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U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U자형 스프링은,
    상기 U자형 스프링의 양측 단부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부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반원형이고,
    상기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 부재가 결합된 형태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재는
    상기 U자형 스프링의 하측 중앙을 고정시키는 제 1 스프링 고정부재;
    상기 U자형 스프링의 중간 부분을 고정시키는 제 2 스프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2020100000470U 2010-01-15 2010-01-15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200448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70U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1-15 배관용 원터치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70U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1-15 배관용 원터치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917Y1 true KR200448917Y1 (ko) 2010-06-07

Family

ID=4588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70U KR200448917Y1 (ko) 2010-01-15 2010-01-15 배관용 원터치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1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53B1 (ko) 2010-09-13 2012-03-23 한국전력공사 고온고압 유체 배관용 행거의 지침 감시장치
KR200471300Y1 (ko) * 2012-07-03 2014-02-20 (주)파인텍 반도체 가스배관의 피팅 고정부재
KR20160081352A (ko) * 2014-12-31 2016-07-08 김학응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KR2016012205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20190002624U (ko) * 2019-08-30 2019-10-21 김래균 배관용 행거
KR102255149B1 (ko) * 2020-12-15 2021-05-24 주식회사 태광칼륨 내진용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58Y1 (ko) 2005-01-19 2005-04-15 최규섭 원터치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58Y1 (ko) 2005-01-19 2005-04-15 최규섭 원터치 행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53B1 (ko) 2010-09-13 2012-03-23 한국전력공사 고온고압 유체 배관용 행거의 지침 감시장치
KR200471300Y1 (ko) * 2012-07-03 2014-02-20 (주)파인텍 반도체 가스배관의 피팅 고정부재
KR20160081352A (ko) * 2014-12-31 2016-07-08 김학응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KR101699593B1 (ko) 2014-12-31 2017-01-24 김학응 기하학적 구조와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거
KR2016012205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에어텍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20190002624U (ko) * 2019-08-30 2019-10-21 김래균 배관용 행거
KR200491973Y1 (ko) * 2019-08-30 2020-07-08 김래균 배관용 행거
KR102255149B1 (ko) * 2020-12-15 2021-05-24 주식회사 태광칼륨 내진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917Y1 (ko) 배관용 원터치 행거
US9341360B2 (en) Fluorescent lamp holder assembly having a lamp holder body with an opening leading to electrical terminals
US20100295292A1 (en) Water hose connector
EP2940362B1 (en) Bell and spigot type pipe joint, mounting and dismounting methods thereof, mounting clamp and dismounting tool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672162B1 (ko)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101351977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구
KR200362346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KR200440987Y1 (ko)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KR200493271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KR200421489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KR20100011867U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180053050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207743909U (zh) 用于将光伏组件安装到檩条上的连接件
KR101815471B1 (ko) 공동주택용 천장마감재 고정장치
CN218719645U (zh) 一种管件配重装置
KR200448434Y1 (ko) 배관 고정 장치
KR20170012740A (ko) 천장등의 결착장치
KR200493270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원터치 고정장치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