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489Y1 -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 Google Patents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489Y1
KR200421489Y1 KR2020060010064U KR20060010064U KR200421489Y1 KR 200421489 Y1 KR200421489 Y1 KR 200421489Y1 KR 2020060010064 U KR2020060010064 U KR 2020060010064U KR 20060010064 U KR20060010064 U KR 20060010064U KR 200421489 Y1 KR200421489 Y1 KR 200421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fastening
hang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섭
Original Assignee
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섭 filed Critical 최규섭
Priority to KR2020060010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 구성 부재들을 체결 및 분리함으로써 배관 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 제거할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구성 부재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배관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행거 유니트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는,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대; 및 지지대에 장착되는 행거를 포함하되, 행거는 지지대와 착탈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편 및 제 1 및 제 2 체결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구분되며, 연결편의 제 1 단부에 체결부가 구성되어 있는 제 1 부재; 지지대에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탄성편, 제 1 및 제 2 탄성편을 연결하며 제 1 부재에 고정된 연결편으로 구분되는 지지 부재; 및 제 2 단부는 제 1 부재의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제 1 단부에는 제 1 부재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성되며, 제 1 부재와의 사이에 파이프가 위치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Description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Hanger unit for supporting the pipes}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대응 도면으로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대응 도면으로서, 회전편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의 "B" 부분의 상세도.
도 9는 도 4의 "C" 부분의 상세도.
도 10은 도 5의 선 D-D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배관 파이프를 수용, 지지할 수 있는 행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 시설, 건축물 등에는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관 파이프가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 파이프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며,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배관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고정해야만 한다.
즉,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 파이프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가 고정되며, 이 행거에 의하여 배관 파이프가 벽면 또는 천정에 지지됨으로써 배관 파이프는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도로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10; 이하, "행거"라 칭함)의 구성 및 그 문제점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10)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연결 부재(13) 및 고정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에서 그 하단들은 연결편(11A, 12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단에 형성된 연장편(11B, 12B)은 서로 대응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단일의 원형 밴드 부재를 형성한다.
연결 부재(13)는 하나의 수평 부재(13A) 및 수평 부재 양단에서 연장된 2개의 수직 부재(13B)로 이루어진다. 2개의 수직 부재(13B)는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들(11B, 12B)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 의 각 연장편(11B, 12B)과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관통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써 연결 부재(13)와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는 서로 결합한다.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4)가 고정되어 있다. 볼트 형태인 이 고정 부재(14)를 연결 부재(13)의 수평 부재(13A)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시켜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시킴으로서 연결 부재(13)의 설치가 완료된다.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된 행거(10)를 이용하여 배관 파이프(P)를 지지시키는 과정 및 행거(10) 내에 위치한 배관 파이프(P)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부재(14)를 통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연결 부재(13)를 고정한다. 또한, 연결편들(11A, 12A)에 의하여 하단이 결합된 상태의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의 각 상단, 즉 연장편(11B, 12B)을 외측으로 벌려 그 간격을 충분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간격이 벌려진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배관 파이프(P)를 위치시킨 후, 연장편들(11B, 12B) 을 내측으로, 즉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결편들(11B, 12B)을 연결 부재(13; 물론,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임)의 양 수직 부재들(13B)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각 연장편(11B, 12B)의 개 구와 연결 부재(13)의 각 수직 부재(13B)의 개구에 볼트(15)를 관통, 체결함으로써 배관 파이프(P)는 연결 부재(13)에 고정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천장 또는 벽면에 지지된다.
반대로, 행거(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배관 파이프(P)를 행거(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 부재(13)의 2개의 수직 부재(13B)와 각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의 연장편(11B, 12B)을 체결하는 볼트(15)를 제거해야 하며, 이후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연결 부재(13)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반원형 지지 부재들(11 및 12) 사이에 위치한 배관 파이프(P)를 인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 파이프(P)의 지지 및 분리 과정에서는,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13)에 장착하거나, 볼트(15)를 제거하여 연결 부재(13)에 연결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분리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긴 길이의 배관 파이프(P)를 수십 내지 수백 개의 행거(10)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지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모든 행거(10)에 볼트를 조이거나 볼트를 제거하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천정에 고정된 연결 부재(13)에 배관 파이프(P)가 위치한 2개의 반원형 지지 부재(11, 12)를 볼트(15)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기 어렵게 때문에 작업자는 한 손으로 반원형 지지 부재(11 및 12)를 받쳐야만 하며, 따라서 한 손만으로 볼트를 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행거에서는, 볼트의 체결시 작업자가 잘못 취급하여 볼트가 떨어지는 경우에 작업자가 볼트를 줍거나 새로운 볼트를 이용하여 모든 작업 동작들 다시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본 고안은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 구성 부재들을 체결 및 분리함으로써 배관 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 제거할 수 있는 행거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구성 부재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배관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행거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는,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대; 및 지지대에 장착되는 행거를 포함하되, 행거는 지지대와 착탈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편 및 제 1 및 제 2 체결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구분되며, 연결편의 제 1 단부에 체결부가 구성되어 있는 제 1 부재; 지지대에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탄성편, 제 1 및 제 2 탄성편을 연결하며 제 1 부재에 고정된 연결편으로 구분되는 지지 부재; 및 제 2 단부는 제 1 부재의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제 1 단부에는 제 1 부재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성되며, 제 1 부재와의 사이에 파이프가 위치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부재는 파이프가 위치하며 제 1 부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 합되는 원형부; 및 원형부에서 연장되며, 제 1 단부에 체결부가 구성되는 직선부로 구분된다.
또한, 제 1 부재의 지지편의 제 2 단부 및 이 지지편과 인접한 연결편의 단부에 소정 폭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소정 길이의 연결 로드가 형성되며, 제 2 부재의 제 2 단부는 제 1 부재의 연결 로드를 감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2 부재가 제 1 부재의 연결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부재의 연결편의 제 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연결편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 및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부재의 제 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제 2 부재에서 연장된 제 1 연장 부재, 제 1 연장 부재에서 연장된 제 2 연장 부재 및 제 1 연장 부재에 형성된 절개부로 이루어져, 양 체결부의 체결시 제 2 부재의 체결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제 1 부재의 체결부의 연장편이 수용된다.
본 고안에서의 행거는 제 1 부재의 체결부의 절개부 하부에 설치되어 체결부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는 록킹 유니트를 더 포함하며, 이 행거 유니트는 제 1 부재의 연결편에 고정된 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곽부에는 곡선형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편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연장편이 체결부의 절개부를 가로막거나 절개부에서 벗어나는 회전편; 및 체결편에 형성되며, 회전편의 절개부 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부재는 적어도 어느 한 표면에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부재의 연결편과 각 1 지지편의 경계부에 엠보싱 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 부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의 사시도, 도 4는 그 측면도, 그리고 도 5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행거 유니트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고정된 지지대(30) 및 이 지지대(30)에 장착되는 행거(100)를 포함한다. 지지대(3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행거(10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20), 그리고 지지 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 부재의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 1 부재(100)
제 1 부재(110)는 지지대(30)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지지편(111 및 112) 그리고 제 1 지지편(111)과 제 2 지지편(112)을 연결하는 연결편(113)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지지편(111 및 112))의 선단부에는 선단이 제거된 반원형의 개구(111-1; 제 2 지지편(112)에 도시된 개구는 도시되지 않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111-1)는 지지편(111 및 112)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110)의 제 1 연결편(111) 상부에는 제 2 부재(120)와의 체결을 위 한 체결부(114)가 구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114)는 제 1 연결편(111)에 형성된 소정 폭의 절개부(114-1) 및 절개부(114-1)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향 연장된 연장편(114-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부재(110)에서, 연결편(113)의 하단부 및 이에 인접한 제 2 지지편(112)의 하단부에는 소정 폭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제 2 지지편(112)과 연결편(113)의 경계부에는 소정 길이의 연결 로드가 형성된다.
제 2 부재(120)
제 1 부재(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제 2 부재(120)는 원형부(121)와 직선부(122)로 구분되며, 원형부(121)의 단부는 제 1 부재(110)의 연결 로드에, 직선부(122)의 단부는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에 각각 대응되어 체결된다.
즉, 제 2 부재(120)의 원형부(121) 단부는 제 1 부재(110)의 제 2 지지편(112)과 연결편(113)의 경계부에 구성된 연결 로드를 감고 있으며(도 4의 121-1), 따라서 제 2 부재(121)는 제 1 부재(11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도 4의 화살표 방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의 선단부에는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와 체결되는 체결부(124)가 구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124)는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에서 연장된 제 1 연장부(124-1) 및 제 1 연장부(124-1)에서 연장된 제 2 연장부(124-2)로 이루어진다.
제 1 연장부(124-1)의 중앙부에는 소정 면적의 절개부(12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연장부(124-2)는 제 1 연장부(124-1)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 2 연장부(124-2)의 하단, 즉 절개부(124-3)의 양측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지지 부재(130)
제 1 부재(110)의 후면, 즉, 제 2 부재(120)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지지 부재(1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30)는 제 1 부재(110)에 고정되는 고정편(133), 고정편(133)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제 1 및 제 2 탄성편(131 및 132)으로 구분된다.
고정편(133)은 제 1 부재(110)의 표면에 용접, 리벳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편(133)의 일단에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 제 1 탄성편(131) 및 제 2탄성편(132)은 지지대(3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 1 탄성편(131)의 선단부는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의 선단이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선부의 나사산들 사이에 대응한다. 제 1 탄성편(131)의 절곡부는 어느 정도의 만곡진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대의 나사산 사이에 완전히 수용되지는 않는다(이에 대한 상세 구성 및 기능은 후에 설명됨).
한편, 제 1 탄성편(131)과 마주보는 제 2 탄성편(132)의 선단은 지지대(30)의 나사산 사이로 완전히 수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행거(100)의 기능 및 이를 위한 각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와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부재(110)를 지지대(30)에 대응시킨 후, 제 1 및 제 2 지지편(111 및 112)에 형성된 반원형의 개구(111-1)에 지지대(30)를 수용시킨다.
이 과정에서 지지 부재(130)의 제 1 및 제 2 탄성편(131 및 132)이 지지대(30)에 의하여 눌려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탄성편(131 및 132)의 탄성력은 지지대(30)의 반대 방향, 즉 제 1 부재(110)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제 1 부재(110)는 지지대(3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탄성편(131 및 132)의 종단은 지지대(30)에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의 나사산 사이에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지지 부재(130) 및 제 1 부재(110)가 지지대(30)를 따라서 이동하지 않는다.
이후,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 사이에 배관 파이프(P)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2 부재(120)를 하단부의 연결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와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에 형성된 체결부(124)가 체결된다.
즉, 제 1 부재(110)의 연결편(113)에 형성된 절개부(114-1)에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 선단의 제 2 연장부(124-2)를 대응시킴과 동시에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를 가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 선단의 제 1 연장부(124-1)를 제 1 부재(110)의 연결편(113)의 절개부(114-1) 내에 위치시키고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거한다.
따라서, 제 2 부재(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가 상승하며, 이 과정에서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를 구성하는 절개부 (124-3)내에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를 구성하는 연장편(114-2)이 수용된다.
또한, 제 2 부재(120)의 절개부 (124-3) 양 옆에 위치하는 제 2 연장부(124-2)는 제 1 부재(110)의 연장편(114-2) 양 측에 존재하는 수용부(114-2A, 114-2B) 내에 각각 수용된다 (도 6 및 도 7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 2 부재(1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와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의 체결 상태는 해제되지 않으며, 배관 파이프(P)는 서로 체결된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20)에 의하여 지지대에 지지된다.
한편, 체결 상태의 해제는 위에서 설명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체결된 후 배관 파이프(P)를 지지하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100)의 부가적인 기능을 설명한다.
체결 해제 방지 수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를 구성하는 절개부(124-3) 내에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를 구성하는 연장편(114-2)이 수용됨으 로써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의도되지 않은 외력이 양 부재(110, 120)의 체결부(114, 124)에 작용하여 체결 상태가 해제될 경우, 배관 파이프(P)가 행거(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제 1 부재(110)에 체결 해제 방지 수단인 록킹 유니트(140)를 설치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110)의 상부 전면, 즉, 체결부(114)의 절개부(114-1) 하부에는 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편 및 회전편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록킹 유니트(1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로서, 록킹 유니트(14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원판 형상을 갖는 회전편(141)의 중심에는 제 1 부재(110)의 연결편(113)에 고정된 축(142)이 관통되어 있으며, 회전편(141)의 외곽부에는 소정 길이의 안내 절개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절개구(144)는 축(142)과 동일한 거리의 점을 연결한 곡선형로서, 제 1 부재(110)의 연결편(113)에 형성된 소정 높이의 스토퍼(145)가 이 안내 절개구(144)를 통하여 노출된다.
한편, 회전편(141)의 외주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3개의 연장편(143)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편(141)의 외주단은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를 구성하는 절개부(114-1) 아래에 위치하나, 각 연장편(143)은 회전편(141)의 회전시 절개부(114-1)를 가로막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도 7은 도 6의 대응 도면으로서, 회전편(141)이 회전하여 체결 상태를 록킹 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와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가 체결된 상태에서, 록킹 유니트(140)의 회전편(141)을 회전시켜 어느 한 연장편(143)을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의 절개부(114-1) 전면에 위치시키면, 즉 연장편(143)이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의 제 2 연장부(124-1) 아래에 위치시키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 2 부재(120)의 직선부(122)는 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부재(120)의 체결부(124)를 구성하는 절개부(124-3)에 수용되어 있는 제 1 부재(110)의 체결부(114)의 연장편(114-2)은 이 절개부(124-3)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부재(110)의 연장편(113)의 표면에 형성된 스토퍼(145)는 회전편(141)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스토퍼(145)는 연장편(143)이 절개부(114-1)를 가로막을 때의 안내 절개구(144)의 제 1 종단의 위치에 형성되며, 이 위치는 또한 연장편(143)이 절개부(114-1)를 완전히 벗어났을 때의 안내 절개구(144)의 제 2 종단의 위치이다.
한편, 도면에는 2개의 안내 절개구(144)가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단일의 안내 절개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3개의 연장편(143)이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부재(110)의 절개부(114-1)를 막는 연장편(143)을 제외한 연장편은 작업자가 회전편(141)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된다.
강도 보강 구조
배관 파이프(P)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제 1 및 제 2 부재(110 및 12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 1 부재(110) 및 제 2 부재(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재(210)의 전면(또는 후면)에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엠보싱부(150; embossing)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제 2 부재(120)의 굴곡부, 즉 직선부(122)와 원형부(121)의 경계부 및 제 1 부재(110)의 지지편(111 및 112)과 연결편(113)의 경계부에도 엠보싱부(160 및 170)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러한 엠보싱(170)부에 의하여 지지대(30)에 고정된 지지편(111 및 112)에 대하여 연결편(113)의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지지 부재 및 제 1 부재의 이동 억제 구조
도 8은 도 4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지지 부재(130)의 제 1 탄성편(131)과 지지대(30)의 관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4의 "C" 부분의 상세도로서, 제 2 탄성편(132)과 지지대(30)의 관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0)의 제 1 탄성편(131)의 선단부는 절곡되어 있으며, 그 절곡 형상에 의하여 그 단부는 완만한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제 2 탄성편(132)은 그 단부가 부재 자체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지지대(30)의 나선부의 2개의 나사산들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행거(100), 즉 제 1 부재(110)를 지지대(30)를 따라 상향(도면 기준으로서, 도 8 및 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경우, 제 1 탄성편(131) 단부의 절곡부는 나선을 타고 넘어 이동하며, 제 2 탄성편(32)은 나사산의 경사면에 의하여 뒤로 밀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부재(131)의 이동이 이루어져 지지대(30) 상에서의 행거(100) 자체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 1 부재(110)를 지지대(30)를 따라 하향(도면 기준으로서 도 8 및 도 9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당길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대(30)를 향하여 눌려져 있는 상태의 제 2 탄성편(132)은 그 종단이 지지대(30) 외주면에 형성된 2개의 나사산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행거(100)는 지지 부재(130) 제 1 탄성편(131)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행거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 즉 타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지지편의 선단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개구 주변을 경사면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어느 한 지지편(제 1 지지편)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의 "D" 부분의 상세 단면도, 즉 도 5의 선 D-D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 1 부재(100)의 제 1 지지편(111)의 선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개구(111-1) 및 개구(111-1) 내에 위치하는 지지대(30)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편(111)의 개구 주변부중 상부면, 즉 제 1 부재(110)의 이동 가능한 방향에 대응하는 면은 고정대(30)를 향하여 종단까지 하향 경사진 경사면(111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반대면(하부면)은 평면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지지편(111)에 상향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 경사면(111A)에 의하여 지지편(111)의 개구 주변부는 지지대(30)의 나선부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지지편(111)을 하향 가압하는 경우에는 평면부의 각이진 종단이 지지대(30)의 나선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 1 부재(110), 즉 행거(100)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지지대(30) 상에서 (배관 파이프가 지지되어 있는) 행거(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는 공구의 사용 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구성 부재를 체결/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관 파이프의 지지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조건에 의하여 부재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 파이프의 이탈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대에서 용이하게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달라지는 배관 조건에 간편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파이프를 지지하는 행거 유니트에 있어서,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대; 및 지지대에 장착되는 행거를 포함하되,
    상기 행거는,
    지지대와 착탈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편 및 제 1 및 제 2 체결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구분되며, 연결편의 제 1 단부에 체결부가 구성되어 있는 제 1 부재;
    지지대에 일단이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탄성편, 제 1 및 제 2 탄성편을 연결하며 제 1 부재에 고정된 연결편으로 구분되는 지지 부재; 및
    제 2 단부는 제 1 부재의 제 2 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제 1 단부에는 제 1 부재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성되며, 제 1 부재와의 사이에 파이프가 위치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행거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부재는
    파이프가 위치하며 제 1 부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원형부; 및
    원형부에서 연장되며, 제 1 단부에 체결부가 구성되는 직선부로 구분되는 행거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제 1 및 제 2 체결편은 그 양단부에 지지대를 수용하는 일단이 개방된 반원형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개구는 각 체결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행거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체결편은 개구에 인접한 영역 중에서 제 1 부재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표면이 개구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 행거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제 1 및 제 2 탄성편 중 어느 하나의 탄성편의 종단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며, 굴곡부가 지지대의 나사산과 접촉하는 행거 유니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지지편의 제 2 단부 및 이 지지편과 인접한 연결편의 단부에 소정 폭의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소정 길이의 연결 로드가 형성되며,
    제 2 부재의 제 2 단부는 제 1 부재의 연결 로드를 감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2 부재가 제 1 부재의 연결 로드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행거 유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연결편의 제 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연결편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 및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부재의 제 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제 2 부재에서 연장된 제 1 연장 부재, 제 1 연장 부재에서 연장된 제 2 연장 부재 및 제 1 연장 부재에 형성된 절개부로 이루어져, 양 체결부의 체결시 제 2 부재의 체결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제 1 부재의 체결부의 연장편이 수용되는 행거 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의 체결부의 절개부 하부에 설치되어 체결부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는 록킹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행거 유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록킹 유니트는,
    제 1 부재의 연결편에 고정된 축;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곽부에는 곡선형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편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연장편이 체결부의 절개부를 가로막거나 절개부에서 벗어나는 회전편; 및
    체결편에 형성되며, 회전편의 절개부 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행거 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부재는 적어도 어느 한 표면에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부재의 연결편과 각 지지편의 경계부에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행거 유니트.
KR2020060010064U 2006-04-14 2006-04-14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KR200421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64U KR200421489Y1 (ko) 2006-04-14 2006-04-14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64U KR200421489Y1 (ko) 2006-04-14 2006-04-14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489Y1 true KR200421489Y1 (ko) 2006-07-14

Family

ID=4177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64U KR200421489Y1 (ko) 2006-04-14 2006-04-14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4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92B1 (ko) * 2007-03-19 2009-06-02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101314058B1 (ko) * 2013-06-13 2013-10-01 이효성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KR101478588B1 (ko) 2013-07-08 2015-01-02 권태운 파이프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92B1 (ko) * 2007-03-19 2009-06-02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101314058B1 (ko) * 2013-06-13 2013-10-01 이효성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KR101478588B1 (ko) 2013-07-08 2015-01-02 권태운 파이프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489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유니트
JP5422075B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JP2015048670A (ja) 朝顔装置
KR200448917Y1 (ko) 배관용 원터치 행거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JP2012509426A (ja) 足場板固定装置
JP4433308B2 (ja) 仮設足場用手摺り
JP6730831B2 (ja) 建築用パネル引き込み具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KR101197185B1 (ko) 가설 발판 고정구
JP2000046244A (ja) 配管バンド装置
KR200362346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JP7236734B2 (ja) 足場板隙間カバー
JP5389466B2 (ja) 排水管用支持冶具
KR101783028B1 (ko) 파이프 행거
JP6697065B2 (ja) 仮設足場用幅木装置の取付方法
KR200199021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JP4641930B2 (ja) 脱落防止用安全帯のフック保持装置
KR102647209B1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KR102516500B1 (ko) 비계의 안전 덮개
KR20120060691A (ko) 안전망 가설용 걸이장치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JP2007239231A (ja) 吊り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