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87Y1 -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87Y1
KR200440987Y1 KR2020080002832U KR20080002832U KR200440987Y1 KR 200440987 Y1 KR200440987 Y1 KR 200440987Y1 KR 2020080002832 U KR2020080002832 U KR 2020080002832U KR 20080002832 U KR20080002832 U KR 20080002832U KR 200440987 Y1 KR200440987 Y1 KR 200440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art
support
touc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기
Original Assignee
김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기 filed Critical 김원기
Priority to KR2020080002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의 고정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산볼트 결합홈을 형성하고, 고정대의 양측면에 전산볼트 결합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찬넬 결합날개(50)를 형성하여, 벽 또는 천장뿐만 아니라, 전산볼트 및 C형 찬넬에도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범위를 확장시킨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를 개시한다.
원터치, 클램프, 파이프, 전산볼트, 찬넬

Description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ONE TOUCH TYPE PIPE CLAMP}
본 고안은 벽 또는 천장 등을 가로지르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볼트나 C형 찬넬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각종 배관 파이프가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벽 또는 천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파이프 클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일정한 길이와 하중을 가지는 배관 파이프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파이프 클램프들이 고정 설치된다.
파이프 클램프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1958호에는 원터치 행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고안의 구성을 보면,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 는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 그리고 어느 한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는 각 부재의 제 1 종단부에 각각 구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각 부재의 제 2 종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 및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지지 부재의 고정부는 제 1 지지 부재 상단에 연결된 수직 부재 및 고정 부재가 장착된 수평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부재의 선단에는 연결편 및 연결편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편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결편의 양 측단부와 수평부재 사이에는 소정 폭의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지지 부재의 체결부는 제 2 지지 부재 상단에 형성된 수직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제 1 절개부가, 제 1 절개부의 상단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제 2 절개부가 형성되어 각각 있어 제 2절개부 양측에는 제 1 지지 부재의 체결편 양 측단부와 수평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원터치 행거는 행거를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행거 내에 파이프를 삽입한 후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이프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행거를 체결하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431640호에는 원터치 파이프 클램 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고안의 구성을 보면, 건축물에 고정되어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양단에 가요성을 가진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건축물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대; 일단부에 제1체결용 돌출부가 외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타단부에 제1파이프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용 돌출부 및 상기 제1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제1날개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날개부가 휘어짐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반원통 형태의 제1지지대; 일단부에 제2체결용 돌출부가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타단부에 제2파이프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용 돌출부 및 상기 제2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제2날개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날개부가 휘어짐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반원통 형태의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용 돌출부와 상기 제2체결용 돌출부는 서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삽입되는 파이프가 상기 제1지지대의 제1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제2파이프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가 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원터치 파이프 클램프는 파이프를 클램프에 삽입하기만 하면 체결되는 장점은 있지만, 전산볼트나 C형 찬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어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고, 클램프에 체결된 파이프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를 클램프에 삽입하기만 하면 파이프가 원터치로 체결되도록 하여 파이프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전산볼트와 C형 찬넬에 고정적으로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사용범위를 확장시킨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는, 고정대의 양단에 호형상의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가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 1지지부의 상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제 2지지부의 상단에는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사이로 파이프를 삽입하면 파이프가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하단을 가압하면서 자동적으로 상부가 모이도록 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체결되면서 파이프를 파지하게 구성된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산볼트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 전산볼트 결합홈을 통해 전산볼트에 끼워서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의 양측면에는 전산볼트 결합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찬넬 결합날개가 연장 형성되어, 이 찬넬 결합날개를 통해 C형 찬넬의 레일홈에 삽입하여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는 파이프를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사이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파이프가 클램프 내에 체결되기 때문에 파이프 체결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클램프 상에 형성된 돌출편을 잡고 누르기만 하면 체결홈에서 체결돌기가 쉽게 빠지기 때문에 파이프를 다시 클램프에서 분리하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는 고정대의 저면에 전산볼트 결합홈이 형성되고 고정대의 측면에 찬넬 결합날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 또는 천장뿐만 아니라, 전산볼트 및 C형 찬넬에도 고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그 사용범위를 확장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가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전산볼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C형 찬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파이프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체결된 파이프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는, 스틸 파이프, PVC 직관 파이프, 가요 전선관 등과 같은 파이프(P)를 벽(W) 또는 천장(W)이나 전산볼트(B) 및 C형 찬넬(C)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을 보면, 고정대(10)를 갖되, 고정대(10)의 중간에는 볼트 체결공(12)이 관통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체결공(12)에 결합되는 앵커볼트(B1)를 통해 벽 또는 천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대(10)의 양단에는 호형상의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가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파이프(P)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고정대(10)의 일단에는 제 1가요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제 1가요부(14)의 단부에는 제 1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지지부(20)의 상단 상면에는 체결돌기(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대(10)의 타단에는 제 2가요부(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제 2가요부(16)의 단부에는 제 2지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 2지지부(30)의 상단 저면에는 체결돌기(22)와 대응되는 체결홈(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지지부(20) 와 제 2지지부(30)의 사이로 파이프(P)를 삽입하면 파이프(P)가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하단을 가압하면서 제 1 및 제 2가요부(14)(16)의 변형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상부가 모이게 되며, 이때 체결돌기(22)가 체결홈(32)에 체결되면서 파이프(P)를 파지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고정대(10)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산볼트 결합홈(40)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용으로 매장의 천장(W)에 수직으로 박혀있는 전산볼트(B)(마루보라고도 함)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전산볼트(B)의 일정 부분에 고정대(10)의 전산볼트 결합홈(40)을 끼워 넣으면 그 위치에 바로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고정대(10)의 양측면에 전산볼트 결합홈(4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찬넬 결합날개(50)가 연장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등의 벽(W)에 설치되는 C형 찬넬(C)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C형 찬넬(C)의 레일홈에 고정대(10)의 찬넬 결합날개(50)가 끼워지도록 삽입한 후, 파이프 클램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볼트 체결공(12)을 통해 볼트(B2)를 체결하면, 볼트(B2)가 C형 찬넬(C)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상대적으로 찬넬 결합날개(50)가 C형 찬넬(C)의 레일홈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편(22)(34)이 형성되어, 돌출편(22)(34)을 잡고 안쪽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체결돌기(22)가 체결홈(32)에서 이탈되어 파이프(P)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에 파이프를 체결 및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이프(P)를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이프(P)를 손으로 잡고 파이프 클램프의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사이로 단순히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가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하단부를 가압하면서 진입하게 되고,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하단부를 가압하면 상대적으로 제 1 및 제 2가요부(14)(16)의 변형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 1지지부(20)와 제 2지지부(30)의 상부가 모이게 되며, 이때 체결돌기(22)가 체결홈(32)에 체결되면서 결합되어 파이프(P)를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파이프 클램프에 체결된 파이프(P)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클램프의 돌출편(22)(34)을 잡고 누르면, 파이프(P)와 제 1지지부(20) 및 제 2지지부(30)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있기 때문에 체결돌기(22)가 체결홈(32)에서 약간 빠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 상태에서 돌출편(22)(34)을 잡고 있던 힘을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체결돌기(22)와 체결홈(32)이 완전히 빠져 파이프(P)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벽 또는 천장 뿐만 아니라, 전산볼트 및 C형 찬넬에서 고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파이프를 체결 및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가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가 전산볼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가 C형 찬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파이프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체결된 파이프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대 12: 볼트 체결공
14: 제 1가요부 16: 제 2가요부
20: 제 1지지부 22: 체결돌기
24: 돌출편 30: 제 2지지부
32: 체결홈 34: 돌출편
40: 전산볼트 결합홈 50: 찬넬 결합날개
B: 전산볼트 C: C형 찬넬
P: 파이프 W: 벽, 천정

Claims (3)

  1. 고정대의 양단에 호형상의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가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 1지지부의 상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제 2지지부의 상단에는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사이로 파이프를 삽입하면 파이프가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하단을 가압하면서 자동적으로 상부가 모이도록 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체결되면서 파이프를 파지하게 구성된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산볼트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 전산볼트 결합홈을 통해 전산볼트에 끼워서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의 양측면에는 전산볼트 결합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찬넬 결합날개가 연장 형성되어, 이 찬넬 결합날개를 통해 C형 찬넬의 레일홈에 삽입하여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편이 형성되어, 돌출편을 잡고 안쪽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이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KR2020080002832U 2008-03-04 2008-03-04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KR200440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32U KR200440987Y1 (ko) 2008-03-04 2008-03-04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832U KR200440987Y1 (ko) 2008-03-04 2008-03-04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87Y1 true KR200440987Y1 (ko) 2008-07-16

Family

ID=4164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832U KR200440987Y1 (ko) 2008-03-04 2008-03-04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89Y1 (ko) * 2012-02-22 2013-11-18 주식회사 조양테크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용 고정장치
KR20160044855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CN109282085A (zh) * 2017-07-21 2019-01-29 德梅斯特(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管道固定装置及管道固定系统及管道部件集合
KR20200095776A (ko) 2019-02-01 2020-08-11 황병환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89Y1 (ko) * 2012-02-22 2013-11-18 주식회사 조양테크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용 고정장치
KR20160044855A (ko) * 2014-10-16 2016-04-26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KR101637991B1 (ko) 2014-10-16 2016-07-12 주식회사 씨앤씨코리아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CN109282085A (zh) * 2017-07-21 2019-01-29 德梅斯特(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管道固定装置及管道固定系统及管道部件集合
KR20200095776A (ko) 2019-02-01 2020-08-11 황병환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6388C (en) Channel framing with additional functional side and fittings therefor
KR200440987Y1 (ko)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
US9683590B2 (en) Strut system and strut fitting therefor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TW201910653A (zh) 隱藏式緊固件單元及相關使用方法
US20080080957A1 (en) Sliding nut with captive screw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101487695B1 (ko)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100503120B1 (ko)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KR101957228B1 (ko) 측면 행거
JP3206776U (ja) タイル取り付け用金具
JP2009074305A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WO2008143501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20090023019A (ko) 케리어 찬넬 및 케리어 찬넬 행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7325746B2 (ja) 配管固定具用支持材
KR20170053253A (ko) 천정 티바용 고정클립
EP3452669B1 (en) A false ceiling system
JP4002665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1681535B1 (ko) 천장 경량틀 조립체의 엠바 시공용 보조장치
KR200402360Y1 (ko) 행거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4598447B2 (ja) 見切り縁
KR200452852Y1 (ko) 배관지지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