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695B1 - 천정재 탈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천정재 탈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695B1
KR101487695B1 KR20130065248A KR20130065248A KR101487695B1 KR 101487695 B1 KR101487695 B1 KR 101487695B1 KR 20130065248 A KR20130065248 A KR 20130065248A KR 20130065248 A KR20130065248 A KR 20130065248A KR 101487695 B1 KR101487695 B1 KR 10148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lip bar
finishing material
ceiling finish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559A (ko
Inventor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Original Assignee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2013006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6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립바의 하부에 천정마감재가 탈부착구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와 타측요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의 내측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탈부착구는 중공형 탈부착몸체에 상기 일측요부 또는 타측요부에 삽입되어지는 마감재 삽입편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감재 삽입편의 삽입측 모서리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삽입편이 상기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 또는 타측요부에 삽입되었을때, 상기 마감재삽입편의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탈부착몸체에 상부로 향하는 클립바 삽입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바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시간과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변화가 발생되더라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천정재가 설치된 이후 부분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구가 용이하게 구비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재 탈부착 구조{Removable structure of ceilings}
본 발명은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마감재의 내측 상부로 걸림홈이 형성된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에 각각 걸림돌기를 갖는 마감재 삽입편의 탈부착구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지고, 결합되어진 상태로 이웃하는 다른 탈부착구가 서로 맞대어져 클립바 삽입편이 클립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에는 단열보온재, 전기배선 및 배관 등의 설비가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이러한 것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천정재가 커버되어지도록 하는 천정재 설치구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재는 슬래브에 매립되어진 행거볼트의 하단으로 캐링찬넬에 결합된 행거가 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캐링찬넬의 하부에는 엠바가 별도의 조인클립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엠바의 하단에는 천정재가 나사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조인클립은 캐링찬넬과 엠바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어지도록 하는것으로 와이어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 와이어형 클립과 플레이트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형 클립으로 구성되어 와이어형 클립은 캐링찬넬과 엠바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결합되어지고, 플레이트형은 양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엠바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엠바의 가장자리 양끝은 벽면이나 타일부터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길이가 짧은 반면, 엠바의 하부에 맞대어지게 결합되는 천정재의 길이는 벽면이나 타일에 맞대어지도록 길이가 길게 됨에 따라 엠바의 양끝과 벽면이나 타일 사이로 소정 두께를 갖는 각목이 개재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천정마감재가 들뜸이 없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엠바의 하단에 천정재의 상부가 맞대어져 나사로 고정되어져 있음으로써, 탈부착이 자유롭지 못함에 따라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설치된 모든 천정재를 엠바로부터 분리하여 보수한 후 재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분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구가 천정재 사이로 구비되어질 경우, 점검구의 시공이 어렵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압입으로 클립바에 삽입되어지는 형태로 천정마감재가 건축물의 천정을 커버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시간과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천정재가 설치된 이후 부분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구가 용이하게 구비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립바(10)의 하부에 천정마감재(20)가 탈부착구(30)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20)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의 내측 상부에 걸림홈(211)(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탈부착구(30)는 하부에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상기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삽입되어지는 마감재 삽입편(3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의 삽입측 모서리 상부에 걸림돌기(312)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삽입편(311)이 상기 천정마감재(20)의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삽입되었을때, 상기 마감재삽입편(311)의 걸림돌기(312)가 상기 걸림홈(211)(21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상부로 향하는 클립바 삽입편(3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바(10)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며, 상기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에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와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사이의 중간에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으로 향하는 고정돌기(314)가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모서리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15)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클립바(10)는 양측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된 클립바 몸체(111)의 하부에 클립바 탄성편(112)이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클립바 탄성편(112)의 하부에 반원형태를 갖는 감쌈편(113)이 외측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감쌈편(113)의 하부에 삽입가이드편(114)이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천정마감재(20)는 내부가 사각형태로 반복되게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패널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클립바(10)는 상부에 연결클립(41)으로 케링바(40)가 직교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케링바(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벽체고정구(42)가 끼워져 벽체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클립바(10)의 양측에 벽체고정대(60)가 끼워져 벽체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천정마감재(10)는 전체길이(L)에 대해 일부길이(l)를 갖도록 절단되어지고, 절단된 부분이 점검구(50)로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의 내측 상부로 걸림홈이 형성된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에 각각 걸림돌기를 갖는 마감재 삽입편의 탈부착구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지고, 결합되어진 상태로 이웃하는 다른 탈부착구가 서로 맞대어져 클립바 삽입편이 클립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압입으로 클립바에 삽입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어지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천정마감재의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시간과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천정마감재가 설치된 이후 부분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구가 용이하게 구비되어지도록 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천정마감재가 설치된 이후 동절기와 하절기에 발생되는 온도변화에 따른 천정마감재에 수축과 팽창으로 인한 길이 변화가 발생될 경우에도 천정마감재의 내측 상부로 걸림홈이 형성된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에 각각 걸림돌기를 갖는 마감재 삽입편의 탈부착구가 삽입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의 다른 실시예 중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재 탈부착 구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바(10)의 하부에 천정마감재(20)가 탈부착구(3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클립바(10)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천정마감재(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양측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된 클립바 몸체(111)의 하부에 클립바 탄성편(112)이 내측을 향하여 좁아진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 클립바 탄성편(11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이 이웃하는 다른 클립바 삽입편(313)에 맞대어진 상태로 감싸여지게 가압시키는 기능을 갖는 반원형태의 감쌈편(113)이 외측으로 절곡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감쌈편(113)의 하부에는 삽입가이드편(114)이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짐으로써, 후술하는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이 이웃하는 다른 클립바 삽입편(313)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부로 가압 또는 압입시킬 경우 감쌈편(113) 사이로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천정마감재(20)는 건축물의 천정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내부가 사각형태로 반복되게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패널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무게를 최소화한 가운데 강도를 높이며 공간부(22)에 의하여 소음이 어느 정도 차단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마감재(20)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의 내측 상부에 걸림홈(211)(2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에 형성된 고정돌기(314)가 결합되어짐으로써,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천정마감재(2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부착구(30)는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천정마감재(20)가 클립바(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천정마감재가 설치된 이후 동절기와 하절기에 발생되는 온도변화에 따른 천정마감재에 수축과 팽창으로 인한 길이 변화가 발생될 경우에 천정마감재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상기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삽입되어지는 마감재 삽입편(3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의 삽입측 모서리 상부에 걸림돌기(31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11) 또는 다른 걸림홈(211')에 결합되어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는 상부로 향하는 클립바 삽입편(3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클립바 삽입편(313)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립바(10) 하부에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에는 중공형 탈부착몸체(31)와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사이의 중간에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으로 향하는 고정돌기(314)가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모서리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15)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탈부착구(3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압출되어진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립바(10)의 상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클립(41)으로 케링바(40)가 직교된 상태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케링바(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벽체고정구(42)가 끼워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70)에 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케링바(40)가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바(10)의 양측에는 벽체고정대(60)가 끼워져 벽체(70)에 고정되어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정마감재(10)가 전체 길이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상태로 예를 들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부분적으로 절단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천정마감재(20)의 도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전체길이(L)에 대해 일부길이(l)를 갖도록 절단되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점검구(50)로 사용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정마감재(20)는 먼저, 케링바(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벽체고정구(42)를 끼워 벽체(70)에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연결클립(41)을 이용하여 케링바(40)의 하부에 클립바(10)의 상부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직교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클립바(10)의 양측에 각각 벽체고정대(60)가 끼워져 벽체(70)에 고정되어짐으로써, 충분하게 지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천정마감재(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에 각각탈부착구(30)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형성된 마감재 삽입편(311)이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마감재 삽입편(311)의 삽입측 모서리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12)가 걸림홈(211)(211')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설치 후 온도변화에 따라 천정마감재(20)에 길이(폭)가 변화될 경우에도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천정마감재(2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삽입된 탈부착구(30)에 이웃하는 다른 천정마감재(2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삽입된 탈부착구(30)가 맞대어지도록 함으로써, 중공형 탈부착몸체(31)의 타측에 상부로 향하는 형성된 클립바 삽입편(313)이 서로 맞대어지게 된다.
다음, 클립바 삽입편(313)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부분을 클립바(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가이드편(114) 사이로 위치시킨 후 압입하는 것으로 클립바 탄성편(112)이 벌어지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클립바 탄성편(112)의 하부에 형성된 감쌈편(113)이 클립바 삽입편(311)에 형성된 고정돌기(314)를 감싸는 것으로 천정마감재(20)가 탈부착구(30)에 의하여 클립바(10)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천정마감재(20)가 건식형태로 설치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형태에서도 설치되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천정마감재(20)의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각각 걸림홈(211)(211')이 내측 상부에만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11")이 내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걸림홈(211)에 대하여 결합력을 더 높여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1)에는 양측의 걸림홈(211)에 대응되는 걸림돌기(32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탈부착구(30)는 합성수지로 압출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천정마감재(20)의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211)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1)이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다른 천정마감재(20)에 삽입된 다른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1)이 맞대어져 클립바(10)에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바 삽입편(311)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클립바(10)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나사(S)로 직결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클립바(10)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천정마감재(20)에 삽입된 탈부착구(30)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0:클립바 20:천정마감재
21:일측요부 21':타측요부
30:탈부착구 31:탈부착몸체
211,211':걸림홈 311:마감재 삽입편
312:걸림돌기 313:클립바 삽입편

Claims (5)

  1. 클립바(10)의 하부에 천정마감재(20)가 탈부착구(30)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20)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측요부(21)와 타측요부(21')의 내측 상부에 걸림홈(211)(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탈부착구(30)는 하부에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상기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삽입되어지는 마감재 삽입편(3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의 삽입측 모서리 상부에 걸림돌기(312)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삽입편(311)이 상기 천정마감재(20)의 일측요부(21) 또는 타측요부(21')에 삽입되었을때, 상기 마감재삽입편(311)의 걸림돌기(312)가 상기 걸림홈(211)(21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에 상부로 향하는 클립바 삽입편(3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바(10)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며, 상기 탈부착구(30)의 클립바 삽입편(313)에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형 탈부착몸체(31)와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사이의 중간에 상기 마감재 삽입편(311)으로 향하는 고정돌기(314)가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클립바 삽입편(313)의 상단부 모서리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15)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클립바(10)는 양측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된 클립바 몸체(111)의 하부에 클립바 탄성편(112)이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클립바 탄성편(112)의 하부에 반원형태를 갖는 감쌈편(113)이 외측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감쌈편(113)의 하부에 삽입가이드편(114)이 외측 하부로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20)는 내부가 사각형태로 반복되게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2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패널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바(10)는 상부에 연결클립(41)으로 케링바(40)가 직교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케링바(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벽체고정구(42)가 끼워져 벽체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클립바(10)의 양측에 벽체고정대(60)가 끼워져 벽체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천정마감재(10)는 전체길이(L)에 대해 일부길이(l)를 갖도록 절단되어지고, 절단된 부분이 점검구(50)로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20130065248A 2013-06-07 2013-06-07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10148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248A KR101487695B1 (ko) 2013-06-07 2013-06-07 천정재 탈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248A KR101487695B1 (ko) 2013-06-07 2013-06-07 천정재 탈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59A KR20140143559A (ko) 2014-12-17
KR101487695B1 true KR101487695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248A KR101487695B1 (ko) 2013-06-07 2013-06-07 천정재 탈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415A (ko) 2017-07-21 2019-01-30 김명열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7-05-18 김성주 천정재 부착 구조
KR101990911B1 (ko) * 2017-03-31 2019-09-30 엠케이이엔지 주식회사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819B1 (ko) * 2001-12-27 2004-11-10 황점수 천정점검구
KR100955229B1 (ko) * 2007-11-02 2010-04-29 김성주 천정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819B1 (ko) * 2001-12-27 2004-11-10 황점수 천정점검구
KR100955229B1 (ko) * 2007-11-02 2010-04-29 김성주 천정재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415A (ko) 2017-07-21 2019-01-30 김명열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59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799B1 (ko)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20170008731A (ko) 표면 코팅과 상기 코팅을 위한 클램프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1487695B1 (ko) 천정재 탈부착 구조
JP2009534559A (ja) 取り外しが容易にできる水平または垂直のタイル張りを実現するモジュール装置
KR20130056702A (ko) 목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크 시설물
KR101572981B1 (ko) 데크 보드 조립체의 데크 보드 고정용 클립
DE112006001218A5 (de) Klipsbefestigung für die Festlegung von Beschlagteilen an einer mit Durchbruch versehenen dünnen Wand
KR100955228B1 (ko) 천정재 고정구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101234526B1 (ko) 엠바용 클립바
KR101128401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1957228B1 (ko) 측면 행거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0788022B1 (ko) 배수관 고정구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101920692B1 (ko) 욕실용 천장 구조체 제작방법
KR20140000860U (ko) 거푸집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의 고정구
KR20180111328A (ko)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JP2011047229A (ja) 固定金具
KR20160029580A (ko) 인테리어용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 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