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15A -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415A
KR20190010415A KR1020180055607A KR20180055607A KR20190010415A KR 20190010415 A KR20190010415 A KR 20190010415A KR 1020180055607 A KR1020180055607 A KR 1020180055607A KR 20180055607 A KR20180055607 A KR 20180055607A KR 20190010415 A KR20190010415 A KR 2019001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iling
bracket
clip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074B1 (ko
Inventor
김명열
Original Assignee
김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열 filed Critical 김명열
Publication of KR2019001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건물 천장면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천장 판넬을 천장면에 고정설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건물의 실내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손으로 접어서 걸어줄 수 있게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클립 및, 건물의 실내 천장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판넬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립에 걸려져 장착되는 판넬 거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이루어져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간단하게 손가락만의 힘으로 고정 결합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은 브라켓과 완전히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설치홈속에 끼워 지지하게 되며, 상기 클립은 브라켓과 다른 재질의 철판을 사용하여 만들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은 엠바에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 수가 있으며, 상기 클립은 판넬이 장착된 판넬 거치대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과 힘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 수가 있어, 구조적 기능적으로 완전한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An apparatus for mounting the ceiling panel on the ceiling surfac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천장면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천장 판넬을 천장면에 매달아 설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브라켓과 클립형 구조로 이루어져 천장용 판넬을 단단하고 간단하게 건물의 천장면에 매달 수 있게 한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실내의 천장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마감재는 건물의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하수도 배관과 전기 배관 및 공조배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배관과 설비 구조를 시선에서 차단해 줌과 더불어 건물의 실내를 마감 장식하는 해 주기 위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감재는 실내를 장식함과 교실 등과 같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소음을 흡입하여 소음 처리하는 등의 기능도 갖고 있다.
한편, 이러한 마감재는 건축법에 따라 난연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추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재질 등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재질에 따라 천장면에 설치하는 방식과 설치 구조가 다양한데, 통상천장면에 미리 설치된 여러 가지 종류의 구조물 또는 레일(일반적으로 "엠바"라 함)에 마감재를 직접 대고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 시키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인 천장 마감재는 대개 1200mm x 300mm 크기의 판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실내 천장면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수십 장의 마감 판넬을 부착해야 하고, 각 판넬당 최소한 4~ 6개의 고정 나사를 사용하여 부착해야 한다면 나사를 고정하는 작업만으로도 엄청난 노동량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천장 마감재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 이 출원 발명과 가장 연관이 있는 것이라는 판단되는 국내 특허등록 10-1548905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 천장재 고정장치"라는 발명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판넬 클립을 설치하고, 이 판넬 클립에 천장판넬을 끼워 조립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바, 그 문제점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판넬 클립은 엠바에 결합 고정되는 엠바 결합부와 천장 판넬이 결합되는 판넬 결합부를 갖추어 이루어져, 상기 엠바 결합부를 천장의 엠바에 걸어 주는 결합수직부와 결합 수평부를 갖추고서, 판넬 클립을 엠바에 쉽게 걸어 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결합 구조를 단단하게 하고 있는 한편, 판넬 클립의 아래쪽에는 천정판넬이 결합되는 판넬 클립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기술적인 면에서 양면성이 있는 것이어서 문제가 있고, 이러한 양면성은 해결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 발명에 따른 기술을 그대로 실제 사용하기에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판넬 클립을 천장의 엠바에 쉽게 걸어 주게 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손으로 구부려 줄 수가 있게 하여야 하는데, 그렇다면 연질의 재질을 사용해야 하고,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면 아래쪽의 판넬 결합부가 제대로 탄성을 발휘할 수가 없어서 판넬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정도의 결속력을 기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 발명에 따른 기술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공보의 내용을 살펴 보면, 상기 판넬 클립을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다고 하였는데,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면 그 재질의 특성인 연성(軟性) 때문에 위쪽의 엠바 결합부를 쉽게 구부려 판넬 클립을 엠바에 장착하기가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성 때문에 오히려 판넬 결합부에서는 천정 판넬을 물어 잡을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본 발명의 출원인도 상기 발명의 장치와 구체적인 구조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개념이 유사한 판넬 지지장치를 개발하여 시험한 적이 있었고, 이를 10-2017-0092828호로 출원한 사실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다는 결론을 얻고 포기한 후 이 출원 발명을 새로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판넬 클립에 직접 끼워 장착한다는 판넬은 수평판부와 수직부를 갖추고, 상기 수직부에 판넬 클립의 판넬 결합부와 결합되는 판넬 결합부가 직접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용하는 천정 판넬은 일반적인 범용의 판넬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발명에만 맞게 특성화된 것이면서, 그 구조가 독특하여 제작하기에도 아주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즉, 천정 판넬을 판넬 클립의 판넬 결합부에 끼워 넣은 다음 쉽게 아래로 빠져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천정 판넬의 수평판부를 2번 절곡하여 절곡부를 이루게 하고, 이 절곡부가 수직부를 이루게 하는 등의 구조 자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를 판넬의 수평판부와 수직부에 일체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현장까지 이동과 보관 및 조립 과정 등의 복잡하여 실체현장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실제 현실에 사용하기에는 곤란하게 된다.
한편, 국내 특허공개 10-2009-0084173 "천장재 몰딩 설치구조"의 발명이 선 출원되어 공개되어 있는바, 이 발명에 따른 천장재 몰딩 설치구조는 천장재라 칭하는 마감재 판넬의 양쪽 가장자리에 인너커버 몰딩이라는 커버 몰딩을 끼워 천장 마감재를 지지하게 하고, 상기 인너 커버 몰딩에 아우터 커버 몰딩이라는 또 다른 커버 몰딩을 결합한 다음, 상기 아우터 커버 몰딩에 고정구를 걸고, 이 고정구를 천장에 미리 설치된 수평 바에 걸어서, 천장에 설치된 수평 바(엠바)에 천장재(마감 판넬)을 설치해 주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기본적이 발명에 따른 몰딩 설치구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바, 첫째 천장재인 판넬을 별도로 지지하는 천장재 거치대 혹은 프레임을 갖추고 있지 않고, 인너 커버 몰딩 및 아우터 커버 몰딩이라 하는 몰딩으로 천장재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바, 천장재 판넬을 통상적으로 1200 × 300 혹은 600 × 300 또는 300 × 300(mm)의 크기로 규격화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발명에 따르면, 인너 커버 몰딩과 아우터 커버 몰딩이 천장재를 양쪽 변에서만 둘러싸서 지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천장재의 나머지 두 변은 지지해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 발명에서와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너 커버 몰딩과 아우터 커버 몰딩이 천장재 판넬의 4 변을 모두 감싸서 지지하게 한다고 추측할 수 있겠지만,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에서는 커버 몰딩이 서로 교차하기 때문에 그 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 발명에서는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상기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장재 판넬을 통상적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된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기다란 구조로 된 것이라 하여도, 결국 건물의 구조에 따라 천장의 가장자리에서는 커버 몰딩을 설치해 주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게 되므로, 미완성의 발명이거나 혹은 이론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겠고 범용적인 천정 판넬에는 적용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하겠다.
둘째, 상기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는 먼저 천장면에 설치된 수평 바에 고정구를 걸어서 고정구를 단단하게 체결시킨 다음, 천장 판넬을 끼운 인너 커버 몰딩을 상기 고정구에 걸어서 지지하게 한 다음, 아래쪽에서 아우터 커버 몰딩을 인너 커버 몰딩에 끼워 조립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고정구의 제작 치수가 정확하지 않으면 단단하게 결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는 고정구에 대해 인너 커버 몰딩과 아우터 커버 몰딩을 결합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구조가 단단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원1) 국내 특허등록 10-1487695 "천장재 탈부착구조" 2015. 01. 29. 공고 (특허문원2) 국내 특허등록 10-1737496 "천장재 부착구조" 2017. 05. 18. 공고 (특허문원3) 국내 특허등록 10-0933342 "천장재용 몰딩 설치구조" 2009. 12. 14. 공고 (특허문원4) 국내 특허등록 10-1133656 "천장마감재 설치구조" 2012. 04. 16. 공고 (특허문원5) 국내 특허등록 10-1548905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 천장재 고정장치" 2015. 09. 01. 공고 (특허문원6) 국내 특허공개 10-2009-0084173 "천장재 몰딩 설치구조" 2009. 08. 05.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 천장 판넬 설치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쓰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건물의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천장 판넬을 매달아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천장 판넬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부품의 제작도 용이하면서 튼튼하고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 장치는 건물의 실내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손으로 접어서 걸어줄 수 있게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클립 및, 건물의 실내 천장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판넬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립에 걸려져 장착되는 판넬 거치대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이루어져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간단하게 손가락만의 힘으로 고정 결합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은 브라켓과 완전히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설치홈 속에 끼워 지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은 브라켓과 다른 재질의 철판을 사용하여 만들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은 엠바에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 수가 있으며, 상기 클립은 판넬이 장착된 판넬 거치대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탄성과 힘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 수가 있어, 구조적 기능적으로 완전한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천장판넬을 직접 지지하는 판넬 거치대를 클립이 물어 잡게 하면서, 이 클립이 엠바에 걸쳐지는 브라켓과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 수가 있으므로, 엠바에 손으로 걸쳐지게 하는 브라켓은 연질인 알루미늄 판재로 만들고 클립은 단단한 강성을 가지면서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클립이 판넬 거치대를 효과적으로 물어 잡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클립에 걸쳐지는 판넬 거치대는 마감재인 판넬과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가장자리 테두리를 이루는 판넬 프레임이 있고, 이 판넬 프레임에 상기 클립과 결합되는 삽입핀과 걸림 고리가 각각 갖추어지게 함과 더불어, 이 판넬 거치대에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 판넬을 끼우거나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판넬 결합장치는 클립에 결합되는 판넬 거치대의 구조가 판넬 프레임에 삽입핀과 걸림 고리만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걸림 고리가 클립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별도의 돌출 걸림핀에 걸려져 단단하게 결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판넬 거치대를 클립에 끼워 넣기만 별도의 결속을 위한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결합 동작이 간단하여 조립현장에서의 작업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클립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면 2에 도시한 클립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클립이 브라켓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면 4의 상태에서 클립이 브라켓에 완전하게 장착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면 5와 같이 클립이 결합된 브라켓을 건물의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걸어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면서, 천장 마감재인 판넬을 직접 지지하는 판넬 거치대의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도면 7에 도시하여 나타낸 판넬 거치대의 삽입핀이 브라켓을 통하여 엠바에 매달린 행거에 끼워져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도면 8의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반대쪽 판넬 거치대의 삽입핀이 행거에 끼워져 완전하게 결합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건물 천장면을 완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천장용 판넬의 고정 장치는 건물의 실내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1)에 손으로 접어서 걸어줄 수 있게 된 브라켓(2)과, 상기 브라켓(2)에 장착되는 클립(3), 건물의 실내 천장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판넬(4)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립(3)에 걸려져 장착되는 판넬 거치대(5)로 구성된다.
상기 엠바(1)의 설치와 그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고, 일반적인 천정 판넬 설치구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엠바(1)는 건물의 천장면(11)에 앵커 볼트와 전산 볼트(12)라는 부품을 사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연결기구를 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은 도면 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판(21)과, 이 본체판(21)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22,23), 상기 본체판(21)의 중앙부에 펀칭으로 관통형성된 설치홈(24), 상기 양쪽 연장판(22,23)에 각각 형성된 펀칭홈(25,26) 및, 상기 펀칭홈(25,26)의 한쪽 선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판(27,28)을 갖추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판(21)에는 내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판(21)과 양쪽 연장판(22,23)은 본체판(2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평면 상태로 만들 수도 있으나, 도면 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 상태로 구부려진 상태로 성형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행거를 현장에서 사용하기가 더 편리하다.
한편, 상기 본체판(21)과 연장판(22,23)의 연결 부분에 절곡홈(29)을 형성시켜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보다 적어지게 되도록 해 줌으로써 절곡홈(29)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굽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하여 쉽게 구부릴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브라켓은 손가락의 힘으로 쉽게 구부려 조립할 수 있게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판(22,23)의 선단부(22a,23a)는 본체판(21) 보다도 폭을 좁게 형성시킴과 더불어, 이 선단부(22a,23a)에도 펀칭홈(26)을 형성시켜 단면적을 줄여 줌으로써, 상기 연장판(22,23)의 선단부(22a,23a)를 손가락의 힘만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게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은 엠바(1)에 설치할 때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판(22,23)의 선단부(22a,23a)를 손가락의 힘만으로 쉽게 구부려 고정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3)은 브라켓(2)의 설치홈(24)속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이 브라켓(2)의 설치홈(24)속으로 빠지지 않고 설치홈(24)의 안쪽 본체판(21)에 걸려져 지지되게 하는 지지판(31)과, 상기 설치홈(24)속으로 삽입되어 클립(3)이 설치홈(24)에 탄성적으로 걸려져 지지되게 하는 걸림턱(32)을 갖춘 좌우 탄성 걸림판(33), 상기 탄성 걸림판(33)의 중간 일부분이 내측으로 펀칭 절곡되어 이루는 돌출 걸림핀(34), 상기 좌우 탄성 걸림판(33)의 하단에 판넬 거치대(5)가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구(35)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립(3)은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2)의 설치홈(24)속으로 끼워 넣은 다음 힘을 가하여 아래로 누르면 양쪽의 좌우 탄성 걸림판(33)이 안쪽으로 오므려 들면서 바깥쪽으로 볼록한 걸림턱(32)의 간격이 좁아져 양쪽 걸림판(33)이 설치홈(24)속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양쪽 걸림판(33)이 설치홈(24)속으로 삽입되면, 걸림판(33)을 누르는 힘이 사라짐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쪽 걸림판(33)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걸림턱(32)이 설치홈(24)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클립(3)이 다시 위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클립(3)은 판넬 거치대(5)가 끼워져 지지되게 하면서,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탄성 재질을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엠바(1)에 직접 걸쳐지는 브라켓(2)과 판넬 거치대(5)를 직접 지지하는 클립(3)이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들 브라켓(2)과 클립(3)을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 수가 있으므로 각기 부품의 기능에 따른 적절한 물성을 갖는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 전체적으로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3)에 걸려 지지되는 판넬 거치대(5)는 도면 7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천장 마감재 판넬(4)을 걸어지지 하기 위한 사각형의 프레임(51)과, 이 프레임(51)에서 수직으로 뻗어 올라온 삽입핀(52) 및, 상기 삽입핀(52)의 선단에 프레임(5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 걸림고리(53)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1)은 도면 7에서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마감재인 판넬(4)의 가장자리 선단을 끼워 지지하기 위한 판넬 삽입홈(54)과, 마감재 판넬(4)을 단순히 얹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55) 및, 상기 지지판(55)과 삽입핀(52)의 수직 교차 연결 부분에 설치된 보강 버팀대(56)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판(55)과 삽입핀(52)의 수직 교차 연결 부분에 설치된 보강 버팀대(56)를 설치해 줌으로써, 지지판(55)과 삽입핀(52)이 서로 튼튼하게 연결되어 판넬 프레임(51)의 전체 구조를 튼튼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버팀대(56)는 직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압출 성형할 때 용이하며, 도면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형태의 압출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뽑아 내어, 판넬(4)의 사이즈에 맞춘 길이만큼 적당하게 잘라서 사각형의 프레임을 만들 때 코너 부분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판넬 삽입홈(54)의 상하 폭은 판넬 프레임(5)을 이루는 압출 부재를 성형시킬 때 미리 사용하고자 하는 마감재 판넬(4)의 두께에 맞추어 성형 제작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 지지판(55)은 마감재 판넬(4)의 두께가 판넬 삽입홈(54)의 높이와 맞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마감재 판넬(4)의 두께가 판넬 삽입홈(54)의 높이보다 더 큰 경우에는 마감재 판넬(4)을 판넬 지지판(55)에 단순히 얹어 지지가 되게 하여도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판넬 거치대(5) 속에서 갇힌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고 지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판넬 삽입홈(54)속에 마감재 판넬(4)을 끼워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판넬 삽입홈(54) 상하벽이 마감재 판넬(4)을 지지해 줄 수가 있기 때문에, 두께가 아주 얇은 마감재 판넬(4)을 사용할 수가 있다는 이점에 있다.
또 상기 삽입핀(52)의 상단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된 화살촉과 같은 형상의 걸림고리(53)가 갖추어져 있는바, 이 걸림고리(53)는 클립(3)의 탄성 걸림판(33)의 일부가 펀칭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형성시킨 걸림핀(34)에 걸려져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먼저 도면 4와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브라켓(2)의 설치홈(24)속으로 클립(3)을 끼워 넣어 설치하는데, 도면 4와 같이 간단히 클립(3)을 끼워 넣은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힘을 가하여 아래로 누르면 양쪽 탄성 걸림판(33)이 안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끼워져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3)은 걸림턱(32)이 브라켓(2)의 설치홈(24)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상하로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지만, 설치홈(24)의 크기와 클립(3)의 크기 치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공차가 있기 때문에 이 공차를 통하여 클립(3)이 설치홈(24)속에서 좌우로 흔들리면서 움직이는 여유가 있게 된다.
이러한 클립(3)의 결합 여유는 이 클립(3)에 판넬 거치대(5)를 결합할 좌우로 약간씩 움직이면서 용이하게 결합하게 하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클립(3)과 브라켓(2)을 결합시키고 나면,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 천장면(11)에 설치된 전산 볼트(12)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는 엠바(1)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걸어 설치하는데, 브라켓(2)의 본체판(21)을 엠바(1)의 아래쪽 면에 밀착시키면서 본체판(21)의 양쪽에 연장 설치된 연장판(22,23)이 엠바(1)의 양쪽 측벽으로 올라가게 한다.
이렇게 연장판(22,23)이 엠바(1)의 양쪽 측벽을 타고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연장판(22,23)의 선단부(22a,23a)를 엠바(1)의 상단 모서리에 대고 손가락에 힘을 주어 구부리면, 상기 선단부(22a, 23a)의 일부분이 엠바(1)의 상단 모서리에 지탱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쉽게 구부려져서, 도면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바(1)의 상단에 걸쳐지게 되면서 연장판(22,23)에 선단 쪽에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걸림판(28)이 엠바(1)의 상단에 걸려져 브라켓(2)과 엠바(1)가 단단하게 결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엠바(1)에 브라켓(2)이 결합되면, 브라켓(2)의 본체판(21)에 내측을 향해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싱 돌기(21a)가 엠바(1)의 저면에 맞닿게 되므로,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 돌기(21a)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엠바(1)의 바닥면과 브라켓(2) 사이에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여유 공간은 브라켓(2)의 설치홈(24)속에 끼워져 결합된 클립(3)의 지지판(31)이 엠바(1)와 브라켓(2) 사이에서 밀착되어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인것이다.
이와 같이 클립(3)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여유공간이 필요한 이유는 나중에 더욱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클립(3)에 천장 마감재인 판넬(4)을 장착한 판넬 거치대(5)가 끼워져 결합될 때 필요에 따라 좌우로 흔들면서 결합을 용이하게 하거나 미세한 결합오차를 자체 조정해 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3)이 세팅된 브라켓(2)을 엠바(1)에 장착하고 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판넬 거치대(5)에 판넬(4)을 설치한 후 한쪽 판넬 거치대(5)의 삽입핀(52)을 클립(3)의 삽입구(35)속으로 밀어 넣으면, 도면 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3)의 양쪽 탄성 걸림판(33)이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상기 삽입핀(52)이 클립(3) 속으로 들어가서 삽입핀(52)의 선단에 마련된 걸림고리(53)가 클립(3)의 걸림핀(34)에 걸려져 결속되게 된다.
이렇게 한쪽의 판넬 거치대(5)를 장착한 다음, 다시 반대쪽의 판넬 거치대(5)를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클립(3) 속에 끼워 넣어 하나의 클립(3)에 좌우 한 쌍의 판넬 거치대(5)가 결합되어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좌우로 반복 되풀이하여, 건물의 실내 천장면 전체에 실내 마감재인 판넬(4)을 배열 설치해 주는 것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천장면을 완성시킨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상기 브라켓(2)가 판넬 프레임(5)의 중간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여러 개의 판넬 프레임(5)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천장용 판넬 장치는 별도의 조립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손가락 작업과 끼움 작업만으로 천장 마감재 판넬을 엠바에 간단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게 하면서, 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과 클립을 각기 별개의 부품으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그 기능에 맞추어 재질은 서로 다르게 사용할 수가 있어 기능을 증진시킬 수가 있으며, 클립에 결합되는 판넬 거치대가 별도의 판넬을 끼우거나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클립에 결합되는 삽입핀과 걸림 고리 등과 같은 걸림 수단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판넬 거치대는 일반적인 천장 마감재 판넬을 그대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가 있으며, 클립과 판넬 거치대의 결합 동작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1 - 엠바 2 - 브라켓
3 - 클립 4 - 판넬
5 - 판넬 거치대 11 - 천장면
12 - 전산 볼트 21 - 본체판
21a - 엠보싱돌기 22, 23 - 연장판
22a, 22b - 선단부 24 - 설치홈
25 - 펀칭홈 26 - 펀칭홈
27, 28 - 걸림판 31 - 지지판
32 - 걸림턱 33 - 탄성 걸림판
34 - 돌출 걸림핀 35 - 삽입구
51 - 프레임 52 - 삽입핀
53 - 걸림고리 54 - 판넬 삽입홈
55 - 지지판 56 - 보강 버팀대

Claims (3)

  1. 건물의 실내 천장면에 설치된 엠바에 손으로 접어서 걸어줄 수 있게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브라켓에 끼워져 장착되는 클립 및, 건물의 실내 천장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판넬을 지지하면서 상기 클립에 걸려져 장착되는 판넬 거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사각형 알루미늄 철판으로 만들어지면서, 중앙부분인 본체판과, 이 본체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 상기 본체판의 중앙부에 펀칭으로 관통형성된 설치홈, 상기 양쪽 연장판에 각각 형성된 펀칭홈 및, 상기 펀칭홈의 한쪽선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판을 갖추어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은 브라켓의 설치홈속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클립이 브라켓의 설치홈 속으로 빠지지 않고 설치홈의 안쪽 본체판에 걸려져 지지되게 하는 지지판과, 상기 설치홈속으로 삽입되어 클립이 설치홈에 탄성적으로 걸려져 지지되게 하는 걸림턱을 갖춘 좌우 탄성 걸림판, 상기 탄성 걸림판의 중간 일부분이 내측으로 펀칭 절곡되어 이루는 돌출 걸림핀, 상기 좌우 탄성 걸림판의 하단에 판넬 프레임이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구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 거치대는 직사각형의 천장 마감재 판넬을 걸어지지 하기 위한 사각형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서 수직으로 뻗어 올라온 삽입핀 및, 상기 삽입핀의 선단에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고리를 갖추어 이루어진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에 내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간극 유지용 엠보싱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천장 마감재인 판넬이 끼워져 지지되는 판넬 삽입홈과, 천장 마감재 판넬을 단순히 얹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삽입핀의 수직 교차 연결 부분에 설치된 보강 버팀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20180055607A 2017-07-21 2018-05-15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2094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2828 2017-07-21
KR1020170092828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15A true KR20190010415A (ko) 2019-01-30
KR102094074B1 KR102094074B1 (ko) 2020-03-26

Family

ID=652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607A KR102094074B1 (ko) 2017-07-21 2018-05-15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56A (ko) * 2021-11-24 2023-05-31 안병곤 천장재 어셈블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173A (ko) 2008-01-31 2009-08-05 김성주 천정재 몰딩 설치구조
KR100933342B1 (ko) 2007-11-02 2009-12-22 김성주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101133656B1 (ko) 2010-05-25 2012-04-16 신영재 천정마감재 설치 구조
KR101487695B1 (ko) 2013-06-07 2015-01-29 김성주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101548905B1 (ko) 2015-05-26 2015-09-01 김미성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101710378B1 (ko) * 2016-12-08 2017-02-28 주식회사 진흥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7-05-18 김성주 천정재 부착 구조
KR101751649B1 (ko) * 2016-11-04 2017-06-28 (주)유창 내진 성능이 향상된 금속 타일 및 그 체결구조
KR101797048B1 (ko) * 2017-04-28 2017-11-13 김명열 스크린 루버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42B1 (ko) 2007-11-02 2009-12-22 김성주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20090084173A (ko) 2008-01-31 2009-08-05 김성주 천정재 몰딩 설치구조
KR101133656B1 (ko) 2010-05-25 2012-04-16 신영재 천정마감재 설치 구조
KR101487695B1 (ko) 2013-06-07 2015-01-29 김성주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101548905B1 (ko) 2015-05-26 2015-09-01 김미성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7-05-18 김성주 천정재 부착 구조
KR101751649B1 (ko) * 2016-11-04 2017-06-28 (주)유창 내진 성능이 향상된 금속 타일 및 그 체결구조
KR101710378B1 (ko) * 2016-12-08 2017-02-28 주식회사 진흥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KR101797048B1 (ko) * 2017-04-28 2017-11-13 김명열 스크린 루버 설치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56A (ko) * 2021-11-24 2023-05-31 안병곤 천장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074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445B1 (ko) 마감패널 고정장치
RU2622415C2 (ru) Фиксатор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его прогона решетки с полоской, расположенной по периметру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KR20080026077A (ko) 천장 마감용 클립 및 찬넬 연결구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190010415A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1810812B1 (ko) 엘리베이터 벽면장식판재의 고정장치
KR101947325B1 (ko) 액자 와이어 걸이장치
KR200484378Y1 (ko)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US20080041539A1 (en) Device for Separating Zones of a Room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KR101857233B1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TW201536225A (zh) 模組框架總成及其使用方法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101797048B1 (ko) 스크린 루버 설치용 브라켓
CN103090519A (zh) 换气装置安装结构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RU175138U1 (ru) Кронштейн подвесной
US20140361128A1 (en) Support Bracket and Screen and Assemblies and Accessories for the Use Therewith
JP2018071338A (ja) 天井構造、天井板取付部材および天井構造の施工方法
JPS6224682Y2 (ko)
KR101580525B1 (ko) 가변형 액자 거치대
JP2009013620A (ja) 間仕切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5356B1 (ko)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