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075B1 -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 Google Patents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075B1
KR101841075B1 KR1020170165808A KR20170165808A KR101841075B1 KR 101841075 B1 KR101841075 B1 KR 101841075B1 KR 1020170165808 A KR1020170165808 A KR 1020170165808A KR 20170165808 A KR20170165808 A KR 20170165808A KR 101841075 B1 KR101841075 B1 KR 10184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fixed
bui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조
Original Assignee
김명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조 filed Critical 김명조
Priority to KR102017016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7Supporting consoles, e.g. adjustable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한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bracket}
본 발명은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한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이중으로 구성하고 그 외부에 장식판넬을 부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장식판넬을 벽면에 이중으로 장식하여야 하며 단열과 외벽의 마감을 별도로 진행함으로 시공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건축물의 외벽 외측면에 단열재를 고정하고 단열재의 외측면에 여러 가지 종류의 마감재를 적층 또는 부착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과 외벽마감을 한꺼번에 진행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외벽마감용 단열재는 공개특허 10-2006-0124093호에 건축물의 외벽에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등록특허 10-0917866호에 건축물 외벽의 외측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고정된다. 건축물의 외벽은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굴곡이 형성됨으로 굴곡이 형성된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고정할 경우 단열재와 단열재의 외측면에 시공되는 마감재 역시 굴곡을 이루게 되어 외관을 해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공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내외측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및 고정대(10)의 관통홀(18)과 외측지지대(20)의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내외측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범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및
고정대(10)의 관통홀(18)과 외측지지대(20)의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4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연장지지대(4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관통홀(28')과 관통홀(4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3)의 삽입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1);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1)의 돌기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에 삽입홀(26)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3);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4);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및 고정대(10)의 관통홀(18)과 외측지지대(20)의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4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연장지지대(4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관통홀(28')과 관통홀(4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3)의 삽입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1);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1)의 돌기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에 삽입홀(26)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3);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4);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져 있어 외벽의 굴곡에 따라 지지대를 내외측으로 위치 조절하여 지지대에 고정되는 평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10: 고정대 20: 외측지지대
100: 장식마감판재
200: 고정파이프 300: 외벽

Claims (6)

  1.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및 고정대(10)의 관통홀(18)과 외측지지대(20)의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2.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3.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4.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쪽 단부에서 절곡된 양측면으로 이루어진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돌기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의 하부면에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관통홀(28, 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1);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4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연장지지대(4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관통홀(28')과 관통홀(4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5.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지지대(20-3)의 삽입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1);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10-1)의 돌기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에 삽입홀(26)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3);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6. 건축물의 외벽(30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300)에 설치되는 외벽 마감재를 고정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는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밑면과 밑면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양측면이 형성된 "ㄷ"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외벽(300)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300)에 부착되는 한쪽 측면에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10);
    고정파이프(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밑면과 한쪽 측면으로 이루어진 "ㄴ" 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의 한쪽에 연결홀(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지지대(20-4);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장식마감판재(100, 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에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지지대(30) 및 관통홀(18)과 관통홀(28), 연결홀(24)과 연결홀(3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볼트(90)와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트.













KR1020170165808A 2017-12-05 2017-12-05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KR10184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08A KR101841075B1 (ko) 2017-12-05 2017-12-05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08A KR101841075B1 (ko) 2017-12-05 2017-12-05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075B1 true KR101841075B1 (ko) 2018-03-23

Family

ID=6191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08A KR101841075B1 (ko) 2017-12-05 2017-12-05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7464A1 (de) * 2021-02-03 2022-08-11 Ulrich Wagner Wandhalter für eine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und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19B1 (ko) 2009-08-26 2010-10-19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101341799B1 (ko)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200475755Y1 (ko) 2014-06-09 2014-12-31 조우익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200482121Y1 (ko) 2016-08-11 2016-12-16 주식회사 운형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19B1 (ko) 2009-08-26 2010-10-19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101341799B1 (ko)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200475755Y1 (ko) 2014-06-09 2014-12-31 조우익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200482121Y1 (ko) 2016-08-11 2016-12-16 주식회사 운형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7464A1 (de) * 2021-02-03 2022-08-11 Ulrich Wagner Wandhalter für eine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und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810B2 (en) Building wall system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KR20180085556A (ko)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EP3698057B1 (en) Fastening unit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US200201848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ing a frame/panel to a substrate
KR200264132Y1 (ko)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JP2010013872A (ja) 外壁構造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2017141655A (ja) 物支持部材の支持構造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JP2006299778A (ja) 天井パネルと壁パネルの接合構造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JP6057236B2 (ja)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引戸用戸袋の取付構造
US20150276123A1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nd support
KR200152672Y1 (ko) 강재 천정틀
JP5884522B2 (ja) ユニットルーム
JP3559124B2 (ja) ランナー固定金具の取付構造
AU2009100758A4 (en) Bracket and mounting arrangement
JP2006257850A (ja) 断熱材固定金物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JP6534635B2 (ja) 浴室の曲面壁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浴室
KR200317010Y1 (ko) 천정 마감패널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