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32Y1 -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32Y1
KR200264132Y1 KR2020010033820U KR20010033820U KR200264132Y1 KR 200264132 Y1 KR200264132 Y1 KR 200264132Y1 KR 2020010033820 U KR2020010033820 U KR 2020010033820U KR 20010033820 U KR20010033820 U KR 20010033820U KR 200264132 Y1 KR200264132 Y1 KR 200264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fixing member
vertical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호
Original Assignee
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호 filed Critical 도준호
Priority to KR202001003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32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로서 사각형 판넬의 외주연에 형성된 "" 형 절곡단에 판넬의 수축과 팽창을 감안하여 일정한 스페이스를 갖고 끼움식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유삽하여 판넬을 외벽에 고정하므로서 동절기의 수축이나 하절기의 팽창으로 인해 판넬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앵글부재와 면접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볼트공을 천설한 사각형의 수직접면부와, 수직접면부의 일단에 연설된 수평지지부의 끝단에 판넬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수직접면부와 수평되게 돌출단을 돌설하여 판넬 절곡단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한 내측면 지지부와, 내측면 지지부의 끝단으로 부터 판넬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부에 수직접면부와 직교되게 수평으로 연설되어 판넬 절곡단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끼움식 고정부재가 제공되므로 동절기나 하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시공후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여 건물의 미관저하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안전상의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판넬 사이의 스페이스로 볼트공을 맞추기가 용이하므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A fixture of ornament pannel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로서 사각형 판넬의 외주연에 형성된 "" 형 절곡단에 판넬의 수축과 팽창을 감안하여 일정한 스페이스를 갖고 끼움식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유삽하여 판넬을 외벽에 고정하므로서 동절기의 수축이나 하절기의 팽창으로 인해 판넬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외관을 갖는 복식 고층건물들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장식판넬은 금속재 판체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표면이 페인팅으로 도색 처리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보다 깨끗하고 미려하게 장식하는 외장재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장식판넬은 통상 건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사각형 앵글부재를 장식판넬의 크기를 감안하여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하고 상기 앵글부재의 전면에 볼트공을 천설하여 이에 상기 앵글부재의 볼트공과 대응되는 볼트공이 천설된 고정부재를 판넬의 외주 절곡부에 부착한 일체형의 장식판넬을 볼트공에 맞추어 체결하므로서 벽면에 부착 고정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고정방식은 판넬과 고정부재가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시 볼트공을 맞추는 작업이 어려워 시공시간이 상당히 지연되고, 또한 벽면에 부착 고정된 후에는 동절기와 하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판넬의 수축과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되어 판넬이 변형되거나 고정볼트가 파손됨으로 인해 건물의 미관을 저하시킴은 물론 노후화를 촉진하고 아울러 안전상에도 상당히 큰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 앵글부재와 면접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볼트공을 천설한 사각형의 수직접면부와, 수직접면부의 일단에 연설된 수평지지부의 끝단에 판넬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수직접면부와 수평되게 돌출단을 돌설하여 판넬 절곡단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한 내측면 지지부와, 내측면 지지부의 끝단으로 부터 판넬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부에 수직접면부와 직교되게 수평으로 연설되어 판넬 절곡단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 지지부로 이루어진 끼움식 고정부재를 제공하므로서 동절기나 하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시공후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여 건물의 미관저하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안전상의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판넬 사이의 스페이스로 볼트공을 맞추기가 용이하므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한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가 판넬에 유삽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판넬의 부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부 요부 상세도
도 5는 벽면에 판넬을 부착한 사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각형 판넬 100': "" 형 절곡단 200 : 콘크리크 외벽
300 : 앵글부재 1,1': 볼트공 2 : 수직접면부
3 : 수평지지부 4 : 돌출단 5 : 내측면 지지부
6 : 상면 지지부 7 : 볼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가 판넬에 유삽된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판넬의 부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벽면에 판넬을 부착한 사용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사각형 판넬(100)의 크기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건축물의 외벽(200)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된 앵글부재(300)와 면접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볼트공(1)을 천설한 사각형의 수직접면부(2)와, 수직접면부(2)의 일단에 연설된 수평지지부 (3)의 끝단에 판넬(1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수직접면부(2)와 수평되게 돌출단(4)을 돌설하여 "" 형 판넬 절곡단 (100')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한 내측면 지지부(5)와, 내측면 지지부(5)의 끝단으로 부터 판넬(1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부에 수직접면부(2)와 직교되게 수평으로 연설되어 판넬 절곡단(1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 지지부 (6)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볼트공(1)(1')에 삽입되는 볼트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고정부재는 건축물의 외벽(200)에 부착되는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로서 사각형 판넬(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 형 절곡단 (100')에 판넬(100)의 수축과 팽창을 감안하여 일정한 스페이스를 갖고 끼움식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유삽하여 판넬(100)을 외벽(200)에 고정하므로서 동절기의 수축이나 하절기의 팽창으로 인해 판넬(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사용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제로 성형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충격성과 강도성이 요구되는데 특히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변형되지 않는 우수한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요구된다.
이와같이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본 고안의 고정부재를 판넬(100)에 끼워 사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외벽(200)에 사각형 판넬(100)의 크기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된 앵글부재(300)의 볼트공(1')의 수와 동일한 수로 본 고안의 고정부재를 판넬(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 형 절곡단(100')의 외측 끝단으로 부터 상기 앵글부재(300)와 볼트(8)로 체결할 수 있게 수직접면부(2)가 콘크리트 외벽(200)을 향하고 절곡단(100')의 외측면이 수직접면부(2)와 내측면지지부(5)의 돌출단(4)의 사이에 유삽되도록 상,하,좌,우측으로 차례로 끼운다.
이때 판넬 절곡단(100')이 유삽되는 수직접면부(2)와 내측면지지부(5)의 돌출단(4)의 사이와 상면지지부(6)의 사이의 스페이스가 판넬(100)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있으므로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보통 사각형 판넬(100)의 일측 절곡단(100')에 끼워지는 고정부재의 수는 판넬(100)의 좌, 우,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3∼4개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고정부재가 사각형 판넬(100)의 상,하,좌,우측의 "" 형 절곡단 (100')에 끼워진 상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측에 끼워진 고정부재는 수평지지부 (3)가 아래를 향하고, 하측에 끼워진 고정부재는 수평지지부(3)가 위를 향하며, 좌측에 끼워진 고정부재는 수평지지부(3)가 우측을 향하고, 우측에 끼워진 고정부재는 수평지지부(3)가 좌측을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판넬(100)의 상,하,좌,우측의 "" 형 절곡단(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판넬(100)을 콘크리트 외벽(200)에 판넬(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된 앵글부재(300)의 각 칸에 맞추고, 상측에 위치한 앵글부재(300)에 천설된 볼트공(1')과 판넬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유삽된 고정부재의 수직접면부(2)에 천설된 볼트공(1)이 서로 일치하도록 고정부재의 위치를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앵글부재에 천설된 볼트공(1')과 고정부재의 수직접면부(2)에 천설된 볼트공(1)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조정이 완료되면 각각의 볼트공(1)에 볼트(7)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와같은 과정으로 하,좌,우측의 고정부재를 차례로 고정한다.
이때 판넬의 상, 하, 좌,우측의 고정부재에 유삽된 판넬(100)은 고정부재의 수직접면부(2)와 내측면지지부(5)의 돌출단(4)의 사이와 상면지지부(6)의 사이가 판넬(100)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스를 통해 유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볼팅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콘크리트 외벽(200)에 사각형 판넬 (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된 앵글부재(300)의 각 칸에 고정부재를 볼트(7)로 체결하여 판넬(100)을 고정하므로서 도 5와 같이 시공을 완료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이 시공완료된 건축용 장식판넬은 판넬(100)과 고정부재 사이의 스페이스를 통해 동절기나 하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시공후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여 건물의 미관저하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안전상의 문제도 일소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부재는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변형되지 않는 우수한 내열성 및 내한성 합성수지제를 사용하므로 고정부재를 통해 실외온도가 건물내벽으로 전도되어 단열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제거하므로 단열효과를 보다 증강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로서 판넬 외주연에 형성된 "" 형 절곡단에 판넬의 수축과 팽창을 감안하여 일정한 스페이스를 갖고 끼움식으로 구성된 합성수지제의 고정부재를 유삽하여 판넬을 고정하므로서 동절기나 하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시공후 판넬의 변형을 방지하여 건물의 미관저하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안전상의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판넬과의 스페이스로 볼트공을 맞추기가 용이하므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사각형 판넬(100)의 크기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건축물의 외벽(200)에 일정간격으로 종,횡으로 설치 고정된 앵글부재(300)와 면접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볼트공(1)을 천설한 사각형의 수직접면부(2)와, 수직접면부(2)의 일단에 연설된 수평지지부 (3)의 끝단에 판넬(1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수직접면부(2)와 수평되게 돌출단(4)을 돌설하여 "" 형 판넬 절곡단(100')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한 내측면 지지부(5)와, 내측면 지지부(5)의 끝단으로 부터 판넬(1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부에 수직접면부 (2)와 직교되게 수평으로 연설되어 판넬 절곡단(1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 지지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KR2020010033820U 2001-11-05 2001-11-05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KR200264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20U KR200264132Y1 (ko) 2001-11-05 2001-11-05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20U KR200264132Y1 (ko) 2001-11-05 2001-11-05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32Y1 true KR200264132Y1 (ko) 2002-02-19

Family

ID=7307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820U KR200264132Y1 (ko) 2001-11-05 2001-11-05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3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95A (ko) * 2002-07-23 2003-03-29 이상욱 화장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장 패널을 갖는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
KR200446351Y1 (ko) 2008-08-27 2009-10-22 주식회사 세보메탈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외장패널 조립체
KR100987172B1 (ko) * 2007-11-22 2010-10-12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
KR101198726B1 (ko)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100960A (ko) * 2017-03-03 2018-09-12 김범진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408249B1 (ko) * 2021-12-22 2022-06-22 (주)영남유리산업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용 복합패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95A (ko) * 2002-07-23 2003-03-29 이상욱 화장 패널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장 패널을 갖는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그 시공 방법
KR100987172B1 (ko) * 2007-11-22 2010-10-12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
KR200446351Y1 (ko) 2008-08-27 2009-10-22 주식회사 세보메탈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외장패널 조립체
KR101198726B1 (ko)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100960A (ko) * 2017-03-03 2018-09-12 김범진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045614B1 (ko) * 2017-03-03 2019-11-15 김범진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408249B1 (ko) * 2021-12-22 2022-06-22 (주)영남유리산업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용 복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US7051485B2 (en) Ceiling panel system
KR200264132Y1 (ko)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KR10225827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CA2255245C (en) Mounting system for panels for use in facade cladding on buildings
WO2006090195A1 (en) Support structure and profile rail therefore
KR20110098533A (ko) 조립식 울타리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102133938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AU2018212423B2 (en) Support for fastening facade elements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0557478B1 (ko)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KR20200052054A (ko) 외장 패널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20042188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98409Y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0219015Y1 (ko) 평면연결용 브래킷 및 코너연결용 브래킷으로 벽파넬을 연결하여 만든 조립식 욕실용 벽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KR2003665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