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489A -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489A
KR20190084489A KR1020180002307A KR20180002307A KR20190084489A KR 20190084489 A KR20190084489 A KR 20190084489A KR 1020180002307 A KR1020180002307 A KR 1020180002307A KR 20180002307 A KR20180002307 A KR 20180002307A KR 20190084489 A KR20190084489 A KR 2019008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nishing material
vertical fram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18000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489A/ko
Publication of KR2019008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끼움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앵글부재;를 마련하여 수평프레임에 목재, 시트판, 석재 등의 마감재를 자유로이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고, 중량물인 석재를 고정용 앵글로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마감재를 용접없이 시공할 수 있어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건축물의 외면 및 내면에 자유로이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Construction Member for Finish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재를 용접 없이 설치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해소시킨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포함한 건축물의 외벽에는 건물의 외벽을 보호하고, 외벽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로 된 외벽용 마감재를 부착한다.
종래 건축물의 외벽에 마감재를 부착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 및 그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즉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마감재 그리고 마감재 후벽에 고정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마감재를 외벽에 고정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타일, 석재, 금속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외벽 마감재는 낱개를 접착제나 시멘트 몰탈 등으로 건축물 표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또는 건축물의 외벽면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에 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하나씩 각각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한다.
또한 근래에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용 재질 및 모양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특히 인테리어 장식이 가미된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세련된 감각과 예술성을 갖는 외벽 마감재가 생산 및 시공되고 있다.
이렇게 근래에 제작된 외벽 마감재는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 등과 같은 재료를 성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성형물로 이루어진 외벽 마감재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외벽 마감재는 외벽에 낱개로 각각 고정해야 하므로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고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들은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의 조립작업으로 인해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마감재의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마감재는 부착공사를 진행할 때 마감재가 외벽 또는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품에 부딪히게 되면 쉽게 파손되거나 또는 시공 후에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두께가 매우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 작업이 쉽지 않은 단점과 아울러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는 건물 또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옹벽의 외벽에서 앵커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플랜지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양 측벽 각각에 요입부 및 돌출부가 형성된 레일,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후면 양측에서 접착고정과 볼트조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착되며 상기 요입부 및 돌출부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요입부 및 돌출부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부재로 이루어진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체 상에 단열재에 시공된 구조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용 데파 캡, 상기 단열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체 지지용 모듈, 상기 구조체 지지용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는 열 차단용 소켓, 상기 단열재의 파손 없이 상기 구조체 지지용 모듈의 상기 열 차단용 소켓을 지나 상기 구조용 데파 캡에 체결되는 구조용 데파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용 데파볼트를 고정시키는 구조용 데파너트 및 상기 구조체 지지용 모듈과 논슬립 상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외벽 마감재가 지지되는 마감재 지지용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용 데파 캡은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의 캡 바디, 화살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캡 바디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화살촉 돌출부 및 상기 화살촉 돌출부의 이웃된 영역에서 캡 바디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캡 홀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5993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0634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09031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는 마감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용접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용접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감재를 용접으로 설치함에 따라 마감재의 재질이 금속으로 제한되며,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재의 설치에 따른 화재 위험을 해소시킨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 외에도 목재, 석재, 합성수지판재, 시트판 등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졀의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재가 설치되는 시공부재를 규격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재가 설치되는 시공부재를 규격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끼움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구멍; 상기 앵글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벽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끼움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본체; 상기 앵글본체가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앵커볼트; 상기 수직프레임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은 상기 고정구멍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구멍;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앵글본체가 가변되게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 벽체에 앵글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앵글부재 및 벽체에 맞닿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수직프레임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마감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고정용 앵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용 앵글에 마감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수평프레임에 목재, 시트판, 석재 등의 마감재를 자유로이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고, 중량물인 석재를 고정용 앵글로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마감재를 용접없이 시공할 수 있어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건축물의 외면 및 내면에 자유로이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석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석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및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구멍(11)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10), 상기 끼움구멍(1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 상기 수직프레임(10)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 측면에 설치되는 앵글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는 건축물의 벽체 외면과 내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용접 작업 없이 건축물의 마감재를 시공함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를 용접 없이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 및 상기 수직프레임(10)을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는 앵글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건축물의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직프레임(10)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각형, ?각형, 팔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수평프레임(20)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구멍(11), 상기 앵글부재(3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벽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끼움구멍(1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멍(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에는 수평프레임(20)이 설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끼움구멍(11) 및 고정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구멍(11)은 수평프레임(2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멍(12)은 수직프레임(10)을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구멍(11) 및 고정구멍(12)은 소정의 높이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수평프레임(20)이 결합되면 끼움구멍(11)이고, 앵글부재(30)가 결합되면 고정구멍(12)으로써, 끼움구멍(11) 및 고정구멍(12)은 수평프레임(20) 또는 앵글부재(30)의 결합 여부로 정해지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끼움구멍(11) 및 고정구멍(12)은 수직프레임(10)의 양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이는 수평프레임(20)이 결합되게 함은 물론 앵글부재(30)가 수직프레임(1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 및 상기 프레임본체(21)의 양단에 상기 끼움구멍(11)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와 상기 프레임본체(21)의 양단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본체(21)는 수직프레임(10)을 이격시키고자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수직프레임(10)을 이격시키고자 하는 적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0)은 끼움구멍(11) 또는 고정구멍(1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는 필요에 따라 수평프레임(20)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수평프레임(20)은 설치하고자 하는 마감재를 적정 높이에 위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고정구멍(12)에 설치되는 앵글부재(30)에 의해 벽체(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앵글부재(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본체(31), 상기 앵글본체(31)가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앵커볼트(32), 상기 수직프레임(1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체(33)를 포함한다.
상기 앵글부재(3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본체(31)와 수직프레임(10)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32) 및 수직프레임(10)과 앵커볼트(3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체(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볼트(32)는 앵글본체(31)의 일면을 벽체에 고정시키며, 고정볼트체(33)는 볼트(34)와 너트(35)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10)의 양면에 설치되는 2개의 앵글본체(31)를 고정시킨다.
한편 앵글본체(31)는 수직프레임(10)의 일면 및 벽체에 각각 맞닿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상기 고정구멍(1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구멍(36),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상기 앵글본체(31)가 가변되게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구멍(27)을 포함한다.
상기 앵글본체(31)에는 벽체 또는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구멍(36, 37)이 형성된다. 즉, 앵글본체(31)에는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구멍(36)과 상기 제1 구멍(36)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2 구멍(37)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 벽체에 앵글부재(30)를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앵글부재(31) 및 벽체에 맞닿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10)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의 수평프레임(20)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수평프레임(20) 및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면에 마감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앵글부재(30)를 벽체에 고정한다. 즉, 앵글본체(31)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앵글본체(31)의 일면을 벽체(미도시)에 맞댄 상태에서 앵커볼트(32)로 고정시킨다.
상기 앵글본체(31)에는 수직프레임(10)의 고정구멍(12)을 맞댄 상태에서 볼트(34)와 너트(35)로 이루어진 고정볼트체(33)를 고정한다.
즉, 수직프레임(10)을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앵커볼트(32)로 앵글본체(31)를 고정시키며, 상기 앵글본체(31)에 수직프레임(10)의 고정구멍(12)을 맞댄 상태에서 고정볼트체(33)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볼트체(34)는 볼트(34)와 너트(35)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직프레임(10) 및 고정볼트체(33)는 볼트(34)와 너트(35)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수직프레임(10)은 수평프레임(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이격시키고자 하는 간격으로 이격되며, 수평프레임(20) 또한 이격시키고자 하는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수직프레임(10) 사이에는 수평프레임(20)을 끼워 결합한다. 이때 수평프레임(20)의 고정돌기(22)는 수직프레임(10)의 끼움구멍(1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수평프레임(20)은 끼움구멍(1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프레임(20)은 끼움구멍(11) 내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마감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수평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끼움구멍(11) 내에 간격조절구(미도시) 등을 끼워 수평프레임(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 및 수평프레임(20)의 일면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마감재(4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재(40)로는 목재, 석고, 시트판 등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40)는 수직프레임(10) 및 수평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판(20)은 상하로 이격된 2개의 수평프레임(20)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마감재(40)를 수직프레임(10) 및 수평프레임(2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감재(4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볼트 또는 피스 등을 고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목재, 시트판, 석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는 마감재(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 또는 피스 등을 고정시킴에 따라 안정되게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석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에 석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석재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고정용 앵글(41)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용 앵글에 마감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벽체에 앵글부재(3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앵글부재(30) 및 벽체에 맞닿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10)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의 수평프레임(20)을 결합한다. 한편 수직프레임(10)에는 끼움구멍(11) 및 고정구멍(12)을 서로 교차되게 형성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수평프레임(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는 석재를 지지하는 고정용 앵글(41)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용 앵글(41)은 앵글부재(30)와 동일하게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고정용 앵글(41)의 일측은 마감재인 석재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 앵글(41)은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 맞댄 상태에서 고정볼트체(33)로 고정하며, 상기 고정용 앵글(41)의 상면에는 석재를 안정되게 올려놓게 된다.
아울러 석재는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즉, 석재의 외면 둘레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석재를 고정부재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는 건축물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를 자유로이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수직프레임 11: 끼움구멍
12: 고정구멍
20: 수평프레임 21: 프레임본체
22: 결합돌기
30: 앵글부재 31: 앵글본체
32: 앵커볼트 33: 고정볼트체
34: 볼트 35: 너트
36: 제1 구멍 37: 제2 구멍

Claims (7)

  1.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끼움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구멍;
    상기 앵글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벽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끼움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앵글본체;
    상기 앵글본체가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앵커볼트;
    상기 수직프레임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고정구멍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구멍;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앵글본체가 가변되게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6. (a) 벽체에 앵글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b) 상기 앵글부재 및 벽체에 맞닿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수직프레임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마감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고정용 앵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용 앵글에 마감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KR1020180002307A 2018-01-08 2018-01-08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190084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07A KR20190084489A (ko) 2018-01-08 2018-01-08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07A KR20190084489A (ko) 2018-01-08 2018-01-08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89A true KR20190084489A (ko) 2019-07-17

Family

ID=6751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07A KR20190084489A (ko) 2018-01-08 2018-01-08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169A (ko) * 2019-08-01 2021-02-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31U (ko)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근협플라테크 건축물 외벽 마감재용 연결구
KR20110059937A (ko) 2009-11-30 2011-06-08 정진호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101706346B1 (ko) 2016-06-09 2017-03-13 서동균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31U (ko)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근협플라테크 건축물 외벽 마감재용 연결구
KR20110059937A (ko) 2009-11-30 2011-06-08 정진호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101706346B1 (ko) 2016-06-09 2017-03-13 서동균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169A (ko) * 2019-08-01 2021-02-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간 벽체형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225827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CA2666284C (en) Caisson ceiling system
KR101137960B1 (ko) 트러스 조립체
KR101706564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EP3272959B1 (en) Building wall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150019937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1115411B1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JP2003074137A (ja) パネル取り付け構造
JPH02225745A (ja) 外壁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2474849B1 (ko) 개별 외장 패널 탈부착용 브라켓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2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31

Effective date: 202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