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58Y1 -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58Y1
KR200203658Y1 KR2020000018587U KR20000018587U KR200203658Y1 KR 200203658 Y1 KR200203658 Y1 KR 200203658Y1 KR 2020000018587 U KR2020000018587 U KR 2020000018587U KR 20000018587 U KR20000018587 U KR 20000018587U KR 200203658 Y1 KR200203658 Y1 KR 200203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ed
bolt
cap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진
Original Assignee
박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진 filed Critical 박완진
Priority to KR202000001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4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ll the members being discontinuous and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목조틀에 의한 공법 및 경량 천장틀 공법에서는 공통적으로 시공후 소음이 발생되고, 습기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슬라브 앵커볼트 캡 공법은 일일이 수 많은 앵커볼트를 천장면에 볼링해야하는 문제가 있는 바, 본 고안은 건물 천장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고정행거볼트의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볼트캡과, 상기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볼트캡 사이에 결합되는 M-바 수평고정구와, 상기 M-바 수평고정구의 사방에 결합되는 M-바와, 상기 M-바에 삽입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M-바캡을 포함하여 천장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수 개의 캡을 수용하는 M-바를 고정행거볼트에 연결함으로써 천장면상에 고정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의 설치숫자보다 많은 숫자의 천장판넬 고정용 캡을 간편하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해지고, 시공비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한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Apparauts for constructing slave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판 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판넬을 부착하기 위한 수 개의 캡을 수용하는 M-바를 고정행거볼트에 연결함으로써 천장면상에 고정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의 설치숫자보다 많은 숫자의 천장판넬 고정용 캡을 간편하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해지고, 시공비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한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건물의 천장면에는 내장재로서 천장판넬을 시공하게 되는 바, 이를 크게 구별하면 목조틀에 의한 공법, 경량 천장틀 공법 및 슬라브 앵커볼트 캡 공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목조틀에 의한 공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의 슬라브(1)에 사각봉형상의 목재 지지대(2)를 못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설치하고, 지지대를 통해서 석고보드 등과 같은 천장판넬(3)을 못 또는 스크류 등으로 고정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조틀에 의한 공법은 목재재질의 지지대(2)를 슬라브의 천장면(1)에 고정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수평도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장기간 경과 후에 못 또는 스크류등의 고정부재의 부식으로 인해 천장판넬(3)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지지대(2)가 목재재질이기 때문에 온도변화와 습도 등으로 인해 뒤틀림이 발생되어 시공상태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천장판넬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장면(1)에 고정되는 고정구(4a)와, 고정구(4a)에 나사체결되는 받침구(4b)로 이루어는 어저스트 캡(4)을 천장면(1)에 고정부착한 후에 어저스트 캡(4)을 이용하여 천장판넬(3)을 시공하는 시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어저스트 캡(4)의 고정구(4a)를 다수개의 못이나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천장면(1)에 일일이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하고, 까다로울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어저스트 캡(4)은 천장면(1)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밀착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천장판넬(3)의 체결력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두종류의 시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공법이 제안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건물의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천장면(1)상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앵커볼트(5)를 타정총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하고, 앵커볼트(5)에 판체형 몸체의 일측에 보강리브(6a)에 의해 지지보강되는 체결봉으로 이루어진 어저스트 캡(6)을 나사체결하며, 어저스트 캡(6)에 천장판넬(3)을 부착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3의 종래 시공법에 의한 천장판 시공법은 전자의 두 종류 시공법의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하는 효과는 있으나, 천장면(1)에 고정되는 단위 천장판넬(3)이 체결되는 숫자만큼 천장면에 체결고정하는 앵커볼트(5)와, 이에 따른 어저스트 캡(6)의 숫자가 많아지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없다는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
또한,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천장판 시공에 소요되는 앵커볼트 및 어저스트 캡의 사용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량의 시공부품을 작업위치의 이동시마다 운반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다량의 시공부품의 사용으로 인해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면에 체결되는 시공부품의 설치숫자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킴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부품의 운반이 간편하도록 하여 작업을 간소화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부품을 간소화함으로써 전체 시공비를 절감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시공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재활용품으로 시공부품을 대체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는 건물 천장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고정행거볼트의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볼트캡과, 상기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볼트캡 사이에 결합되는 M-바 수평고정구와, 상기 M-바 수평고정구의 사방에 결합되는 M-바와, 상기 M-바에 삽입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M-바캡을 포함하여 천장면상에 고정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의 설치숫자보다 많은 숫자의 천장판넬 고정용 캡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바 수평고정구는 중앙에 볼트체결용 보스가 형성되고, 사방으로 M-바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M-바 결합부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분되어 수평부가 상기 M-바의 수평면을 지지하고, 수직부가 상기 M-바의 수직면을 가이드하며, 수직부의 단부에는 결합된 M-바의 디귿자형 절곡부가 M-바 결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천장판의 단면도.
도 1b는 종래 다른 시공법에 의해 시공된 천장판의 단면도.
도 1c는 종래 또 다른 시공법에 의해 시공된 천장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공법에 의해 시공된 천장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M-바 수평고정구와 고정행거볼트 및 볼트캡의 분해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품의 사시도.
도 6a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천장판넬이 시공된 상태도.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하여 천장판넬이 시공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천장면 3 ; 천장판넬
10 ; 고정캡 20 ; 고정행거볼트
30 ; 제1 볼트캡 40 ; M-바 수평고정구
50 ; M-바 60 ; M-바캡
70 ; 제2 볼트캡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례는 건물 천장면(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캡(10)과, 고정캡(10)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20)와, 고정행거볼트(20)에 체결고정되는 제1 볼트캡(30)과, 고정행거볼트(20)와 제1 볼트캡(30) 사이에 결합되어 M-바(50)가 결합되는 M-바 수평고정구(40)로 구성되어 있고, M-바(50)에는 수 개의 M-바캡(60)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캡(10)은 내주면에 고정행거볼트의 상측 나사부(22)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수지재이고, 고정행거볼트(20)는 상측중간부에 구획판(21)이 형성되어 있어 구획판의 상하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하측에 형성된 나사부(23)의 직경이 상측에 형성된 나사부(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볼트캡(30)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볼트체결보스(31)가 형성되어 있고, 원형 패널고정원판(32)이 볼트체결보스(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M-바 수평고정구(40)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볼트체결보스(41)가 형성되어 있고, 사방에 M-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M-바 결합부는 수평부(42)와 수직부(43)로 구분되어 수평부(42)가 M-바의 수평면(51)을 지지하고, 수직부(43)가 M-바의 수직면(52)을 가이드하며, 수직부(43)의 하단부는 상향절곡된 절곡부(44)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된 M-바의 디귿자형 절곡부(53)가 M-바 결합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M-바(50)에는 천장판넬을 부착하기에 적절한 간격으로 M-바캡(60)이 M-바의 절곡부(53)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M-바캡(60)은 도 5c에서와 같이, 몸체 중앙에는 U자형 홈(61)이 요입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양측 하부에는 M-바의 절곡부(53)가 가이드되도록 안내홈(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하단에 원형 패널고정판(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고정행거볼트(20)에 직접 체결되는 제2 볼트캡(70)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보스(71)가 형성되어 있고, 패널고정판(72)의 외주면에는 요철(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천장판 시공장치에 의하여 천장판을 시공하는 공정을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물 천장면(1)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캡(10)을 설치하고, 이 고정캡(10)에 고정행거볼트(20)를 나사체결하여 결합한다. 이 공정은 종래 앵커볼트를 천장면에 체결하는 공정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간소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앵커용 볼트인 고정행거볼트(20)가 천장면(1)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캡(10)에 체결된 고정행거볼트의 하측 나사부(22)에 M-바 수평고정구의 관통공이 형성된 볼트체결보스(41)를 삽입하여 고정행거볼트(20)가 M-바 수평고정구(40)를 관통하도록 하고, M-바 수평고정구(40)가 고정행거볼트(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행거볼트의 하측 나사부(23)에 제1 볼트캡(30)을 체결한다.
이와 같이 고정행거볼트(20)와 제1 볼트캡(30) 사이에 M-바 수평고정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M-바 수평고정구의 사방에 형성된 M-바 결합부에 각각 M-바를 삽입하는데, M-바 수평고정구의 상향절곡부(44)의 상측에 M-바의 디귿자형 절곡부(53)가 얹혀진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M-바(50)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M-바캡(6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M-바캡(60)을 M-바(50)에 삽입시는 M-바캡의 안내홈(62)이 M-바의 디귿자형 절곡부(53)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이처럼 고정된 제1 볼트캡(30) 및 M-바캡(60)에 천장판넬(3)을 타거핀 등의 간편한 체결부품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나의 고정행거볼트(20)가 천장면(1)에 고정체결되면 4개의 M-바(50)가 결합된 M-바 수평고정구(40)가 고정행거볼트(20)에 결합되므로 1개의 M-바(50)에 각각 2개의 M-바캡(60)을 삽입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천장판넬(3)이 부착될 수 있는 캡은 제1 볼트캡(30)을 포함하여 9개가 되는 것이다.
일례로 종래 앵커볼트와 어저스트 캡을 사용하여 천장면에 천장판넬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천장판넬(3)을 천장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천장면에 35개소의 앵커볼트(5)가 체결고정되며, 이에 따라 35개의 어저스트 캡(6)을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에 따른 시공부품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 6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천장면에는 9개소의 고정행거볼트(20)만을 체결하더라도 고정행거볼트(20)에 직접 체결되는 제1 볼트캡(30)이 9개, M-바(50)에 삽입된 M-바캡(60)이 24개이므로 천장판넬을 부착시킬 수 있는 33개의 캡(30)(60)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천장판넬의 고정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M-바와 M-바 사이의 공간에 4개소의 고정행거볼트(20)를 체결고정하여 4개의 제2 볼트캡(70)을 추가로 체결고정하더라도 모두 13개소의 고정행거볼트만을 천장면에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약1/3에 해당되는 앵커용 볼트인 고정행거볼트만을 천장면에 체결하고, 그에 따라 M-바 수평고정구(40)와 제1 볼트캡(30)만을 체결고정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아울러 시공비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천장판 시공장치의 적용되는 커텐박스와 L-바 돌림대의 구조를 도 2에서 설명한다.
커텐박스(80)의 상부측에는 M-바(50)가 고정되는 M-바 고정홈(8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천장판넬(3)이 고정되는 천장판넬 고정홈(82)이 형성되어 있으며, M-바 고정홈(91)이 형성되어 벽측에 고정된 고정대(1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L-바 돌림대(90)는 천장판넬 고정홈(82)이 형성되어 있고, 최하단의 반대측에 벽지마감홈(93)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10은 몰딩재이다.
이러한 커텐박스(80) 및 L-바 돌림대(90)는 시공되는 건물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는 천장면에 직접 체결되는 앵커용 볼트인 고정행거볼트의 설치개소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볼트의 체결에 대한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전에 미리 M-바에 M-바캡을 삽입한 상태로 작업위치에 따라 고정행거볼트, M-바 수평고정구, 제1,2 볼트 캡 및 M-바를 운반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부품의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M-바 및 M-바캡 등은 건물의 철거 또는 보수공사시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부품을 재활용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어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건물 천장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고정행거볼트의 하단에 체결고정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볼트캡과, 상기 고정행거볼트와 상기 볼트캡 사이에 결합되는 M-바 수평고정구와, 상기 M-바 수평고정구의 사방에 결합되는 M-바와, 상기 M-바에 삽입되어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M-바캡을 포함하여 천장면상에 고정체결되는 고정행거볼트의 설치숫자보다 많은 숫자의 천장판넬 고정용 캡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바 수평고정구는 중앙에 볼트체결용 보스가 형성되고, 사방으로 M-바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M-바 결합부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분되어 수평부가 상기 M-바의 수평면을 지지하고, 수직부가 상기 M-바의 수직면을 가이드하며, 수직부의 단부에는 결합된 M-바의 디귿자형 절곡부가 M-바 결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향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KR2020000018587U 2000-06-29 2000-06-29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0203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7U KR200203658Y1 (ko) 2000-06-29 2000-06-29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7U KR200203658Y1 (ko) 2000-06-29 2000-06-29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58Y1 true KR200203658Y1 (ko) 2000-11-15

Family

ID=1966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87U KR200203658Y1 (ko) 2000-06-29 2000-06-29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605A (zh) * 2019-06-04 2019-08-16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封边固定构件及使用方法
CN110173068A (zh) * 2019-06-04 2019-08-27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吊装系统及施工方法
CN110130605B (zh) * 2019-06-04 2024-05-28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封边固定构件及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605A (zh) * 2019-06-04 2019-08-16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封边固定构件及使用方法
CN110173068A (zh) * 2019-06-04 2019-08-27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吊装系统及施工方法
CN110130605B (zh) * 2019-06-04 2024-05-28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封边固定构件及使用方法
CN110173068B (zh) * 2019-06-04 2024-05-28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天花装饰玻璃的吊装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20200048894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20060032157A1 (en) Seismic wall system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8028481B2 (en) Caisson ceiling system
KR20060042558A (ko) 단열벽 고정구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JP2008144492A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JP4426715B2 (ja) 区画壁の固定構造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JP4026180B2 (ja) 木造建物における断熱材及び表面材の支持ブラケット
KR102123691B1 (ko) 보조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창호브라켓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100462148B1 (ko) 천장틀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US20220356701A1 (en) Method and device in a floor structure drying process
KR200193188Y1 (ko) 가설구조용 빔 받침대
KR101935422B1 (ko) 줄눈환기형 외벽체
KR200375978Y1 (ko) 단열벽 고정구
JP6450228B2 (ja) 真壁の耐震改修方法及び大壁の耐震改修方法
JP2601641Y2 (ja) 床パネル構造
KR0129512Y1 (ko) Pvc반자틀 조립장치
JP4207214B2 (ja) 内外装下地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工法
JP2580333B2 (ja) 間仕切壁を形成する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