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12Y1 - Pvc반자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Pvc반자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12Y1
KR0129512Y1 KR2019950002723U KR19950002723U KR0129512Y1 KR 0129512 Y1 KR0129512 Y1 KR 0129512Y1 KR 2019950002723 U KR2019950002723 U KR 2019950002723U KR 19950002723 U KR19950002723 U KR 19950002723U KR 0129512 Y1 KR0129512 Y1 KR 0129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fixed
half frame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067U (ko
Inventor
최해석
Original Assignee
최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석 filed Critical 최해석
Priority to KR2019950002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12Y1/ko
Publication of KR960029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04B9/06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with inverted T-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천정에 설치되는 내장판재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PVC반자틀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목재를 이용했기 때문에 일일이 못질을 해야 하는 불편은 물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었으나, 본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장판재를 수평 설치하기 위한 반자틀을 형성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반자틀을 구성하는 반자틀부재를 내장판재설치판과 고정편이 T자형상이 되게 PVC로 사출성형하며, 상기 반자틀의 외곽을 이루는 반자틀부재의 고정편을 일정 간격으로 잡아지지하고 일단이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반자틀부재외곽고정구와 상기 반자틀외곽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진 외관틀내에 가로또는 세로로 교호설치되는 각 반자틀부재의 고정편이 끼움홈내에 끼워고정되고 연결부분에 브라켓트가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지지하는 반자틀부재연결구 및, 상기 반자틀부재연결구에 의해 각 연결부위가 지지된 반자틀내에 교호로 설치되어진 각 반자틀부재의 적정지점에 배열고정되고 조절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봉을 돌려주면 이동체가 천정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축에 상, 하 이동되면서 반자틀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된 반자틀 수평상태조절 수단으로 구성 조립하여 주므로써 반자틀의 조립작업이 매우 신속 용이하게 조립 고정 시간이 단축될 뿐아니라 PVC재질에 따른 반자틀의 전체 하중이 경감되는 것은 물론 전체 반자틀의 수평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등의 작용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PVC반자틀 조립장치
제1도는 본고안에 따른 조립장치에 의해 짜여진 반자틀의 일예를 보인 계략저면도.
제2도는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제5도는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 부재 연결구의 사시도.
제6도의 (a)(b)도는 본고안의 반자틀 부재 연결구에 의해 반자틀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발췌 평면도로서, (a)도는 한부분의 연결상태를 보인 것이며, (b)도는 두부분의 연결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7도는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의 수평 조절 수단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수평상태 조절 수단의 조립 측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고안에 따른 고정판에 고정 설치되는 나사축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자틀 13 : 반자틀부재
14 : 반자틀부재외곽고정구 18, 24, 24A, 34 : 끼움홈
21 : 반자틀부재연결구 23 : 브라켓트
26 : 반자틀수평상태조절수단 28 : 고정판
29 : 나사축 30 : 삽입홈
31 : 이동체 37 : 가이드홈
38 : 관통공 39 : 조절봉
40 : 지지단관 42 : 너트
43 : 지지환턱 44 : 조절홈
본고안은 건물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내장판재를 평면으로 설치하기 위한 PVC반자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내장판재가 설치되는 반자틀을 형성함에 있어 각목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일일이 못질을 하여 일정형태의 반자틀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못질에 따른 반자틀의 설치작업이 느릴뿐아니라 반자틀의 전체 무개하중이 증가하고 오랜기간 설치사용시 건조해짐에 따라 뒤틀리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였고 미숙련자의 못질 경우 자칫 안전사고 발생 우려 등은 물론 단가가 비싼 목재를 사용하므로서 내장판재 설치에 따른 전체 소요경비가 증가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상기한 종래의 반자틀 경우 설치되는 목재 반자틀의 전체 평면상태를 자체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고 단순히 일정길이로 절단된 각목을 각요소에 수직으로 세워 주는 것으로서 만족하였기 때문에 반자틀 외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평면도가 반자틀설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일정치 않았을 뿐 아니라 이의 수정작업이 매우 곤란하였으며 그로인하여 내장판재의 평면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반자틀자체를 PVC로 제작하여 전체하중이 경감되고 반자틀부재의 연결작업이 간편하여 누구나가 신속한 조립작업을 할 수 있으며, 반자틀의 전체 평면상태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PVC반자틀 조립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PVC반자틀 조립장치의 특징은 내장판재를 수평설치하기 위한 반자틀을 형성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반자틀을 구성하는 반자틀부재를 내장판재 설치판과 고정편이 T자형상이 되게 PVC로 사출성형하며, 상기 반자틀의 외곽을 이루는 반자틀부재의 고정편을 일정간격으로 잡아지지하고 일단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와 상기 반자틀 외곽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진 외곽틀내에 가로 또는 세로로 교호설치되는 각 반자틀부재의 고정편이 끼움홈내에 끼워고정되고 연결부분에 브라켓트가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지지하는 반자틀부재연결구 및, 상기 반자틀부재연결구에 의해 각 연결부위가 지지된 반자틀내에 교호로 설치되어진 각 반자틀부재의 적정지점에 배열고정되고 조절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봉을 돌려주면 이동체가 천정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축에 상, 하 이동되면서 반자틀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된 반자틀 수평상태조절수단으로 조립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의 조립장치에 의해 짜여진 반자틀의 일예를 보인 저면도로서, 부호 10은 일측면으로 공지의 내장판재(A)가 고정설치되는 PVC반자틀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한 PVC반자틀(1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장판재설치판(11)의 중앙상부로 상단 양측면으로 받침돌조(121)가 형성된 고정편(12)이 일체로 T자 형상이 되게 사출형성되어진 반자틀부재(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반자틀부재(13)들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호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자틀 부재(13)들은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와, 반자틀부재연결구(21) 및 높이조절수단(26)에 의해 각각 일지점이 연결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는 제3도와 같이 고정못(15)에 의해 일측면이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면(16)에 대하여 받침면(17)이 일정높이를 갖도록 단차형성되어 있고 그 받침면(17)의 일측단으로는 끼움홈(18)이 형성되도록 지지편(19)이 연장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8)으로는 내측 양주벽으로 받침홈(181)을 대향 요설하여 반자틀 부재(13)의 고정편(12)에 형성된 받침돌조(121)가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한다.
한편 상기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의 끼움홈(18)은 벽체와 접촉하는 부착면(16)의 일측단부터의 폭이 제2도의 반자틀부재(13)에 있어 내장판재 설치판(11)의 일단과 고정편(12)까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자틀부재(13)의 고정편(12)이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의 끼움홈(18)에 정확히 끼워지는 상태에서 내장판재 설치판(11)의 일단이 벽체면과 밀접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반자틀부재(13) 조립시 끼움홈(18)에 끼워진 고정편(12)은 받침면(17)에 나사못(20)으로 체결 고정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는 제1도를 다시 참조하여 보면 반자틀(10)의 외곽을 이루고 있는 반자틀부재(13)들을 일정간격으로 각각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자틀부재연결구(2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L자형의 판체(22)일단으로는 비교적 폭이 넓은상태의 브라켓트(23)가 직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그타단으로는 끼움홈(24)(24A)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25)(25A)이 모서리부가 절재되는 상태로하여 판체(22)의 외곽방향으로 연장절곡형성되어 있으며 그 끼움홈(24)(24A)의 내측주벽으로는 반자틀부재(13)의 조정편(12) 조립시 이에 형성된 받침돌조(121)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받침홈(241)(241A)이 각각 대향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된 상기 반자틀연결구(21)는 제6도의 (a)도와같이 한부분만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로 또는 세로로 교차조립되는 반자틀부재(13)의 교차부위에 하나의 반자틀연결구(21)를 이용하여 연결 조립되는 반자틀부재(13)의 각 고정편(12)을 끼움홈(24)(24A)에 각각 끼운다음 별도의 나사못(25)으로 판체(22)에 고정시켜주면 일체로 연결지지 되는 것이며, 이때 브라켓트(23)면은 내장판재설치판(11)과 접촉되어져 있어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6도의 (b)도와 같이 두부분이나 네개의 연결부분(도시 되지 않음)이 십자형태로 연결될때에는 두개의 반자틀연결구(21)를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킨 다음 반자틀부재(13)의 각 고정편(12)을 브라켓트(23)면이 내장판재설치판(11)과 접촉지지되는 상태로 해당끼움홈(24)(24A)에 각각 맞춰 끼운다음 나사못(25)을 이용하여 역시 판체(22)에 고정시켜 주면 견고하게 두지점의 반자틀 부재(13)가 연결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두부분이 교차 연결될때 끼움홈(24)(24A)의 모서리를 계단형태로 절제시켰기 때문에 반자틀연결구(21)는 상호 중첩됨 없이 끼워지고 각각의 반자틀부재(13)를 확실하게 연결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반자틀(10)의 교차연결지점을 고정하여주는 반자틀고정구(21)는 벽체등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각부재(13)들만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반자틀부재연결구(21)에 의해 일정길이와 폭으로 반자틀(10) 외곽내에 적정간격으로 연결설치되는 반자틀부재(13)들을 제1도와 같이 고정시켜 주므로서 반자틀(10)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상태조절수단(26)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정에 고정못(27)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28)의 중앙부로 단차형성된 볼트머리모양의 고정홈(281)과 관통공(282)내로는 일정길이를 갖는 나사축(29)의 머리부(291)가 상기 고정홈(281)에 걸리는 상태로 관통 형성되어지며, 일측단으로 삽입홈(30)을 갖는 이동체(31)로는 타단으로 브라켓트(32)가 직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32)의 상단으로는 지지편(33)의 절곡형성에 의해 끼움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끼움홈(34)의 내측 주벽으로는 받침홈(341)을 대향 형성하여 반자틀부재(13) 조립시 고정편(12)의 받침돌조(121)가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1)의 삽입홈(30)의 상단으로는 이와 연장해서 회동홈(35)이 단지게 연통형성되어 있고 그 회동홈(35)의 바닥면 중앙부로는 나사축(29)을 위한 축공(36)이 뚫어져 있으며, 삽입홈(30)의 하단 내측 양측벽면으로는 가이드홈(37)이 단지게 요설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는 상기 축공(36)과 동축상으로 관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31)의 삽입홈(30)내에 삽설되어지는 조절봉(39)의 상단으로는 지지단관(40)을 단지게 일체로 형성시켜 이의 내측 중앙부로는 안내홈(41)이 일정깊이 만큼 요설되어 있고 그 안내홈(41) 개구단부로는 너트(42)를 빠지지 않도록 매설하며 하단부로는 가이드홈(37)내에 끼워지는 지지환턱(43)이 환설되어 있고 그 지지환턱(43)의 중앙부로는 조절홈(44)이 요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봉(39)을 이동체(31)의 삽입홈(30)내에 끼우면 지지단관(40)과 지지환턱(43)은 각각 회동홈(35)과 가이드홈(37)내로 안내 삽입되어지고 삽입되는 조절봉(39)의 너트(42)와 축공(36)이 동축상으로 약간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지지환턱(43)에 형성된 조절홈(44)은 관통공(38) 부위에 위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상기 관통공(38)을 통한 조절공구(45)의 삽입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31)의 축공(36)을 통해 너트(42)의 암나사부에 고정판(28)의 나사축(29) 단부를 맞춘다음 관통공(38)을 통해 외부에서 일자드라이버 등의 조절공구(45)를 조절홈(44)내에 끼운 상태에서 일방으로 돌려주면 제8도에서와 같이 조절봉(39)은 회동하게되고 나사축(29)과 너트(42)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동체(31)는 결국 나사축(29)을 따라 상, 하로 자유로이 이동되어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체(31)내의 삽입홈(30)내에 삽설된 조절봉(39)은 약간 헐거운 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조절공구(45)로 회동시 잘 회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구성되어진 수평상태조절수단(26)은 결국 제1도에서와 같이 반자틀(10)의 외곽틀을 이루는 반자틀부재외의 나머지의 종횡으로 각각 연결된 반자틀부재의 적정지점에 고정못(46)으로 천정에 나사축(29)이 설치된 고정판(28)을 먼저 고정설치한 다음 이동체(31)를 나사조립하고 조립된 이동체(31)의 끼움홈(34)내로 해당부위의 반자틀부재(10) 고정편(12)을 끼운다음 브라켓트(32)상에 나사못(47)으로 박아 고정하면 반자틀(10)의 외곽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반자틀부재 역시 상기 높이조절수단(26)에 의해 천정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간편하게 고정설치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어서 반자틀(10) 전체가 확실하게 지지됨은 물론 조립과정에서 반자틀(10)의 전체 수평면이 맞지 않을 경우 조절공구(45)를 이용하여 이동체(31)를 상, 하로 이동시켜주면 간편하게 수평상태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수평상태조절이 완료된 다음 내장판재(A)를 반자틀부재(13)의 내장판재 설치판(11)의 일측면에 대고 하방에서 고정시켜주면 수평상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9도에서와 같이 나사축(29)을 천정이나 벽체등에 고정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고정판(28)을 별도로 분리형성하고 이에 상기 나사축(29)이 회전되지 않도록 관통설치시켜 사용하므로서 작업공간에 관계없이 나사축(29)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반자틀(10)의 설치 작업이 그만큼 신속 용이하게 되는 편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에 있어서 반자틀부재외곽고정구(14)와 반자틀부재연결구(21) 및 수평상태 조절수단(26)에 의해 지지되는 반자틀부재(13)는 고정편(12)의 받침돌조(121)가 각 끼움홈(18, 24, 24A, 34)의 받침홈(181, 241, 241A, 341)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쉽게 이탈 되지 않는 것이어서 반자틀부재(13)를 잡지 않고서도 나사박음 작업을 보다 쉽게할 수 있고,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안에 따른 반자틀(10)이 상기의 구조들에 의해 조립되는 일예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천정의 외곽테두리면으로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를 이용하여 일정길이로 절단된 반자틀부재(13)를 고정시킨다음 적정한 간격 즉 내장판재(A)의 면적을 고려하여 각각의 반자틀부재(13)들을 반자틀부재연결구(21)로서 각 교차점을 연결고정하고 연결고정된 반자틀(10)의 각 요소요소에 수평상태조절수단(26)을 설치하여 천정에 고정된 나사축(29)에 조립하면 최종적으로 하나의 반자틀(10)이 완성조립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안은 상기 과정에 의해 반드시 조립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나 작업환경에 따라 그 조립과정은 편리하게 변형실시를 해도 무방한 것이며, 어느 특정한 조립과정으로 반드시 조립하지 않아도 신속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고안 작업시 고정못이나 나사못 등은 종래처럼 망치를 이용하여 때려박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박는 기구를 이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설치작업이 훨씬 쉽고 연결부위만 조립하면 되는 것이어서 그만큼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간편용이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PVC재질로 반자틀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반자틀의 전체 하중도 가벼울 뿐아니라 종래 목재 이용시의 뒤틀림등의 변형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반자틀부재(13)를 PVC로 형성하여 주므로서 목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전체 비감 효과는 물론 재활용 차원에서 자연환경보호등의 경제적 잇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본고안에서는 반자틀(10)을 실내 천정에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내장판재(A)의 설치가 요구되는 어느 부위에든지 조립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비록 본고안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변경 및 수정이 있을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내장판재를 수평설치하기 위한 반자틀(10)을 형성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반자틀(10)을 구성하는 반자틀부재(13)를 내장판재설치판(11)과 받침돌조(121)가 양측면으로 돌설된 고정편(12)이 T자형상이 되게 일체로 사출성형하며, 상기 반자틀(10)의 외곽을 이루는 반자틀부재(13)의 고정편(12)을 일정간격으로 잡아지지하고 일단이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반자틀부재 외곽고정구(14)와, 상기 반자틀 외곽 고정구(14)에 의해 고정되어진 외곽틀내에 가로 또는 세로로 교호설치되는 각 반자틀부재(13)의 고정편(12)이 끼움홈(24)(24A)내에 끼워고정되고 연결부분에 브라켓트(23)가 접촉하는 상태로 체결지지하는 반자틀부재연결구(21) 및, 상기 반자틀 부재연결구(21)에 의해 각 연결부위가 지지된 반자틀(10)내에 교호로 설치되어진 각 반자틀부재(13)의 적정지점에 배열고정되고 조절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봉(39)을 돌려주면 이동체(31)가 고정판(28)에 의해 천정이나 벽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진 나사축(29)에 상, 하 이동되면서 반자틀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된 반자틀 수평상태 조절수단(26)으로 조립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자틀부재외곽고정구(14)의 받침면(17) 일단으로는 지지편(19)을 연장형성하여 끼움홈(18)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자틀연결부재(21)의 판체(22)는 직각으로 형성되고 각단부 외측에 끼움홈(24)(24A)이 각각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반자틀수평상태조절수단(26)의 이동체(31)에 형성된 삽입홈(30)내로 약간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는 조절봉(39)의 안내홈(41) 단부로는 너트(42)를 매설하여 고정판(28)에 설치된 나사축(29)과 나사 결합시키되 조절홈(44)이 관통공(38)부위에 위치되게하여 외부에서 조절공구(45)로 조절봉(39)의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이동체(31)의 삽입홈(30) 일측 내주 벽면으로는 조절봉(39)의 지지환턱(43)이 안내되는 가이드홈(37)을 일정깊이 만큼 대향 형성하여 잘끼워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틀부재외곽고정구(14)와, 반자틀부재연결구(21) 및 수평상태조절수단(26)의 각 끼움홈(18, 24, 24A, 34) 내측주벽으로는 받침홈(181, 241, 241A, 341)이 대향으로 요설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28)의 중앙부로는 볼트머리모양의 고정홈(281)과 관통공(282)을 단차 형성하여 이에 관통설치된 나사축(29)을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PVC반자틀조립장치.
KR2019950002723U 1995-02-20 1995-02-20 Pvc반자틀 조립장치 KR012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723U KR0129512Y1 (ko) 1995-02-20 1995-02-20 Pvc반자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723U KR0129512Y1 (ko) 1995-02-20 1995-02-20 Pvc반자틀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67U KR960029067U (ko) 1996-09-17
KR0129512Y1 true KR0129512Y1 (ko) 1998-12-15

Family

ID=194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723U KR0129512Y1 (ko) 1995-02-20 1995-02-20 Pvc반자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67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01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0129512Y1 (ko) Pvc반자틀 조립장치
KR20070072357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1078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892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910000281Y1 (ko) 천정재의 부착구조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200231715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JP2501652B2 (ja) フェンス類用支柱装置
KR200194928Y1 (ko) 천정재 부착 구조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100455560B1 (ko) 건축용 석재판넬의 위치결정 고정장치
JPS5911522Y2 (ja) 間柱の取付け構造
KR10066105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601641Y2 (ja) 床パネル構造
JP3343641B2 (ja) 濡れ縁の取付構造
KR200331280Y1 (ko) 레벨 브라켓
KR920004105Y1 (ko) 수장재를 부착하는 구조장치
JP2512170B2 (ja) 柱用パネル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