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80Y1 - 레벨 브라켓 - Google Patents

레벨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80Y1
KR200331280Y1 KR20-2003-0022893U KR20030022893U KR200331280Y1 KR 200331280 Y1 KR200331280 Y1 KR 200331280Y1 KR 20030022893 U KR20030022893 U KR 20030022893U KR 200331280 Y1 KR200331280 Y1 KR 200331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fixed
leve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멈
Priority to KR20-2003-0022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47G1/161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종합적으로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벨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 상기 구조물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조절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절호울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구조물측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로부터 융기 형성되며 그 융기면상에 탭호울을 갖추고 있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1브라켓; 상기 시설물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호울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탭호울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를 구비한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레벨 브라켓{Level Bracket}
본 고안은 레벨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벽체나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가구를 비롯한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주거용/사무용 건물을 비롯한 각종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는 가구 혹은 그 밖의 실내 시설물들이 배치되며, 이 때 이들 시설물은 벽체나 바닥 또는 천정 등에 대하여 일정한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상태로 고정이 된다.
특히,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를 일정하게 또는 균일하게 하기 위해 벽체나 바닥 또는 천정 등과의 사이에 침목(枕木)을 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순히 침목을 괴는 데에 그칠 뿐,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더욱이, 침목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를 한꺼번에 모두 조절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각종 치수의 침목을 일일이 준비할 수도 없기 때문에, 원하는 정도로 시설물의 레벨을 맞추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 침목 이외에 별도의 레벨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하더라도,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중 어느 한 가지만을 조절할 수 밖에 없을 뿐이고,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도 기대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종합적으로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벨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요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브라켓 11 : 안착부
11a : 조절호울 12 : 돌출부
12a : 탭호울 20 : 제2브라켓
21 : 본체부 21a : 고정호울
22 : 조절볼트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은,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한다.
즉, 상기 구조물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조절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절호울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구조물측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로부터 융기 형성되며 그 융기면상에 탭호울을 갖추고 있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1브라켓; 상기 시설물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호울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탭호울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를 구비한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절호울은,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특히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브라켓은, 침목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침목과 함께 상기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벨 브라켓은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브라켓(10)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나 바닥 또는 천정 등에 고정이 되는 요소이고, 제2브라켓(20)은 제1브라켓(10)에 결합됨과 아울러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을 상대로 설치될 가구와 같은 시설물측에 고정이 되는 요소로서,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브라켓(10)은 안착부(11)와 돌출부(12)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안착부(11)는 벽체 ·바닥 ·천정의 표면에 안착되는 부분이고, 돌출부(12)는 제2브라켓(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특히, 안착부(11)는 돌출부(12)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돌출부(12)는 이들 한쌍의 안착부(11) 사이에서 일정 높이로 융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돌출부(12)의 융기 정도는 도 2와 도 3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구조물(100)에 대한 시설물(200)의 배치 간격을 고려하여 다양한 치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11)에는 각각 하나씩의 조절호울(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조절호울(11a)에 체결구가 관통 및 체결됨으로써 제1브라켓(10)이 구조물측에 고정이 된다. 특히,제1브라켓(10)이 구조물상에 고정이 될 때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중 임의의 방향으로 그 고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호울(11a)의 형태가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위치 조절이 모두 가능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부(12)의 융기면 중앙에는 나선이 가공된 탭호울(1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탭호울(12a)에는 후술하는 제2브라켓(20)의 조절볼트(22)가 체결된다.
다음으로, 제2브라켓(20)은 본체부(21)와 조절볼트(22)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체부(21)는 시설물측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조절볼트(22)는 앞서 언급한 제2브라켓(20)의 탭호울(12a)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특히, 본체부(21)에는 한쌍의 고정호울(21a)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고정호울(21a)을 통해 체결구가 관통 및 체결됨에 따라 제2브라켓(20)이 시설물측에 고정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체결구가 볼트일 경우에는 고정호울(21a)에 탭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22)는 본체부(2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본체부(21)의 중앙 부위에 용접 또는 그 밖의 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욱이, 조절볼트(22)의 길이는, 제1브라켓(10)의 탭호울(12a)에 조절볼트(22)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구조물(100)과 시설물(200)간의 간격 조절이 충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을 구성하는 주 요소는 아니나, 제1브라켓(10)의 조절호울(12a)과 제2브라켓(20)의 고정호울(21a)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로서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볼트(31,34)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브라켓(20)측의볼트(34)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22)에는 체결 고정 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한 너트(34a,32)가 부속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시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레벨 브라켓을 이용하여 욕실의 타일 벽체에 대형 거울 조립체를 설치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타일 벽체에 대한 거울 조립체의 설치 시공에 본 고안의 레벨 브라켓이 적용된 경우만을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겠으나, 본 고안이 적용되는 범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할 때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구조물(100) 즉 타일 벽체에 먼저 제1브라켓(10)을 설치하는데, 이 때 안착부(11)의 조절호울(11a)로 볼트(31)를 관통시켜 타일 벽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고정시에 조절호울(11a)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제1브라켓(10)을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또는 수직 위치 및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조절이 된 상태에서 볼트(31)를 완전히 조인다. 이어서, 제1브라켓(10)의 돌출부(12)에 형성되어 있는 탭호울(12a)에 제2브라켓(20)의 조절볼트(22)를 삽입함으로써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이 체결되도록 한다. 이 때, 제2브라켓(20)의 본체부(21)를 잡고서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절볼트(22)의 삽입 길이가 조절되므로, 이러한 조작을 통해 타일 벽면에 대한 시설물(200) 즉 거울 조립체의 간격을 사전에 쉽게 조절해 둘 수 있다. 이렇게 조절볼트(22)의 삽입 길이 조절을 통해 타일 벽면에 대한 거울 조립체의 간격 설정이 완료되면, 조절볼트(22)의 끝부분으로부터 너트(32)를 체결하여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한다. 다음으로, 제2브라켓(20)을 거울 조립체측에 조립하되, 도면에서와 같이, 거울 조립체의 후방에 보강목(210)과 함께 침목(22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침목(220)에 제2브라켓(20)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침목(220)의 전방으로부터 제2브라켓(20)의 본체부(2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호울(21a)로 볼트(34)를 삽입하고 너트(34a)로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침목(220)과 제2브라켓(20)이 먼저 조립되도록 한다. 이어서, 보강목(210)의 전방으로부터 침목(220)을 향해 볼트(33)를 체결하여 보강목(210)과 침목(22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브라켓(20)에 대한 거울 조립체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을 매개로 하여 구조물(100)에 시설물(200)이 설치됨으로써, 구조물(100)에 대한 시설물(200)의 평형상태를 시공자가 원하는 바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벽체에 대한 시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벽체뿐만 아니라 바닥면이나 천정에 대해서도 본 고안의 레벨 브라켓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브라켓(10)을 바닥이나 천정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브라켓(10)에 제2브라켓(20)을 체결하되 조절볼트(22)의 삽입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제2브라켓(20)에 조립되는 시설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레벨 브라켓을 사용함에 있어서, 제1브라켓(10)이 고정되는 구조물의 재질로는 목재나 콘크리트 등 어느 것에나 모두 적용할 수가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벨 브라켓의 적용을 통하여,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각종 시설물을 설치할 때에 해당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시공자가 원하는 바대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 설치시 외관미를 저해하지 않고 적절한 공간 인테리어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구조물의 벽체 ·바닥 ·천정 등을 상대로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수평 ·수직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
    상기 구조물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조절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절호울을 관통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구조물측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로부터 융기 형성되며 그 융기면상에 탭호울을 갖추고 있는 돌출부를 구비한 제1브라켓;
    상기 시설물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호울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의 탭호울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를 구비한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벨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호울은,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호울은, 십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침목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침목과 함께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브라켓.
KR20-2003-0022893U 2003-07-15 2003-07-15 레벨 브라켓 KR200331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93U KR200331280Y1 (ko) 2003-07-15 2003-07-15 레벨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893U KR200331280Y1 (ko) 2003-07-15 2003-07-15 레벨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80Y1 true KR200331280Y1 (ko) 2003-10-23

Family

ID=4933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893U KR200331280Y1 (ko) 2003-07-15 2003-07-15 레벨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69B1 (ko) * 2019-04-08 2020-01-16 주식회사 선정퍼니처 내진 보강 구조를 가지는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69B1 (ko) * 2019-04-08 2020-01-16 주식회사 선정퍼니처 내진 보강 구조를 가지는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622A (ko)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KR200331280Y1 (ko) 레벨 브라켓
JP2004270193A (ja) 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及び化粧パネル材の取付金物製造方法
JPH04315646A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JPH0229127Y2 (ko)
KR200196201Y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JPH0617625B2 (ja) 外装板の取付装置
KR102459251B1 (ko) 건축물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JPH0319775Y2 (ko)
JPH0648040Y2 (ja) 外壁のコンクリート製出隅コーナパネル取付構造
JPH0319586Y2 (ko)
KR200196181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 패널의 결합구조
JPS6322245Y2 (ko)
KR20010037599A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H0113131Y2 (ko)
JP2591861Y2 (ja) フラワーボックス
JPH09144185A (ja) 建物ユニットの外壁材の取付け構造
JP2000274005A (ja) 天井野縁構造
JPH0734084Y2 (ja) カーテンウォール用パネル
JP2001182284A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建築に用いる外壁持出金物及びパネル製造方法
JP3895116B2 (ja) 鉄骨系住宅における出隅パネルの取付構造
JPS5922030B2 (ja) プレハブコンクリ−トによる物置の構築法
KR20210026682A (ko) 단열 브라켓, 이를 이용한 하지틀 구조 및 시공방법
JPS6471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