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32Y1 -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32Y1
KR200284032Y1 KR2020020012506U KR20020012506U KR200284032Y1 KR 200284032 Y1 KR200284032 Y1 KR 200284032Y1 KR 2020020012506 U KR2020020012506 U KR 2020020012506U KR 20020012506 U KR20020012506 U KR 20020012506U KR 200284032 Y1 KR200284032 Y1 KR 200284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fixing member
building
exterior materi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12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32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판넬 등의 건축외장재를 건축 외벽에 부착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 크기 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외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로 이루진 1차 고정부재,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의 선단에 결합되며 그 선단의 상하에 접하는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 지지하는 2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정부재는 그 2차 고정부재가 고정하는 상,하 건축외장재의 각 접합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안치되어 그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 크기를 그 2차 고정부재의 두께 이하로 줄일 수 있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따르면, 건축외장재의 상하면에 형성된 안치홈의 가공깊이 조정으로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을 축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외장재들이 형성하는 건축외장에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BUILD OUTER PANEL F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석재판넬 등의 건축외장재를 건축 외벽에 부착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 크기 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의 외벽에 석재판넬이나 금속판넬 또는 타일 등과 같은 건축외장재를 부착하는데 사용되어 온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5237호, 제94-9191호, 제93-15082호, 제93-7741호, 제97-001721호나 국내특허출원 제93-3676호 등의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들의 경우 구성요소별 명칭은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벽면에 대하여 직접 부착되거나 처짐방지부재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고정되는 'ㄱ' 자형의 1차 고정부재,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선단에 종횡으로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핀 등을 매개로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는 2 차 고정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들로 건축외장재를 시공하는경우 2차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상하의 건축외장재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데 그 2차 고정부재의 두께로 인하여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의 틈인 줄눈의 크기를 2차 고정부재의 두께이하로는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건축물에 종래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외장재들을 부착하는 경우 건축외장재들 사이에 끼워진 2차 고정부재의 두께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줄눈으로 인하여 건축외장재들 사이가 시각적으로 단절되기 때문에 일체화된 건축외장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들이 가진 문제점들이 일소된 것으로, 건축외장재들을 그들 사이의 줄눈 크기를 조정하여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의해 건축외장재가 부착된 건축 외벽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의 완충케이스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1차 고정부재 1a : 부착판부
1b : 지지판부 2, 3 : 상,하부 패스너(2차 고정부재)
2a, 3a : 수평부 2b, 3b : 끼움부
4 : 완충케이스 4a : 고정홈
5 : 앵커볼트 6 : 너트
10 : 높이조정체결공 11 : 수평위치조정공
12, 13 : 압입돌기 20, 30 : 간격조정공
40 : 충전제 70 : 볼트
71 : 너트 100 : 건축외장재
100a : 매립홈 100b : 안치홈
101 : 건축 외벽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외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로 이루진 1차 고정부재,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의 선단에 결합되며 그 선단의 상하에 접하는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 지지하는 2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정부재는 그 2차 고정부재가 고정하는 상,하 건축외장재의 각접합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안치되어 그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의 크기를 그 2차 고정부재의 두께 이하로 줄일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정부재는 각각 수평부와 그 수평부 선단에서 수직 연장된 끼움부로 이루어져 그 각 끼움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고정되는 상,하부 패스너로 이루어져, 상,하부 패스너의 각 수평부가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고 그 각 끼움부에 상기 안치홈과 접하는 상,하 건축외장재의 고정홈이 끼워짐으로써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건축외장재 접합면의 상기 고정홈은 그 건축외장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매립홈 내에 충전제에 의해 매설된 완충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건축외장재 접합면의 상기 고정홈은 그 건축외장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매립홈에 이 매립홈과 같은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끼워지는 완충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게 된다.
먼저, 건축외장재의 상,하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고정홈의 안쪽부분에 안치홈을 가공한다. 한편으로는 앵커볼트를 건축 외벽에 매립 고정한 다음, 그 앵커볼트에 상기 1차 고정부재를 끼우고(이 때 처짐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그 처짐방지부재를 1차 고정부재에 이어 끼운다), 상기 앵커볼트에 대한 상기 1차 고정부재의 높이를 조정한 후 - 처짐방지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처짐방지부재의 위치도 함께 조정하여 1차 고정부재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1차 고정부재를 고정한다. 이어 상,하부 패스너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지지판부에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앞서 고정홈과 안치홈 가공이 완료된 건축외장재의 고정홈을 안치홈에 상기 상,하부 패스너의 수평부가 안치되게 하면서 상,하부 패스너의 끼움부에 끼워 상,하 건축외장재를 상기 상,하부 패스너에 각각 결합시키면, 상,하 건축외장재를 그들 사이의 상기 상,하부 패스너의 두께 보다 작은 줄눈을 가지도록 건축 외벽에 부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의한 건축외장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의해 건축외장재가 부착된 건축 외벽의 측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100) 고정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부착판부(1a)와 상기 부착판부(1a)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1b)로 이루어진 1차 고정부재(1), 상기 1차 고정부재(1)에 결합되어건축외장재(100)를 직접 지지하는 2차 고정부재인 상,하부 패스너(2)(3), 그리고, 건축외장재(100)를 상,하부 패스너(2)(3)에 결합하기 위하여 각 건축외장재(100) 상하면의 매립홈(100a)에 매립되는 완충케이스(4)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들 각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1차 고정부재(1)는 중앙에 상하방향의 길이를 갖는 높이조정체결공(10)이 형성된 수직판인 부착판부(1a)와 상기 부착판부(1a)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어 그 선단 부분에 폭방향의 길이를 갖는 수평위치조절공(11)이 형성된 지지판부(1b)로 구성된 'ㄱ' 자형의 강판으로, 이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부착판부(1a)의 높이조정체결공(10)을 통하여 건축 외벽(101)에 매립된 앵커볼트(5)에 끼워져 높이가 조정된 다음 앵커볼트(5)의 선단에서부터 체결되는 너트(6)에 의해 부착판부(1a)를 건축 외벽(101)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2차 고정부재(2,3)는, 건축외장재(100)를 상기 1차 고정부재(1)에 대하여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수평부(2a,3a)와 그 수평부(2a,3a) 선단에서 수직 연장된 끼움부(2b,3b)로 이루어져 끼움부(2b,3b)가 대향하도록 수평부(2a,3a)끼리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1차 고정부재(1)의 지지판부(1b)에 결합되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두 개의 'ㄱ' 자형의 강판인 상,하부 패스너(2)(3)로 구성된다. 상,하부 패스너(2)(3)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1차 고정부재(1)의 지지판부(1b)에 얹어진 다음 그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간격조절공(20)(30)과 1차 고정부재(1)의 지지판부(1b)의 수평위치조절공(11)의 교차점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70)와 너트(71)에 의해 상기 1차 고정부재(1)에 결합되는데, 그 간격조절공(20)(30)과 1차 고정부재(1)의 수평위치조절공(11)이 각각 종방향과 횡방향의 길이를 가짐에 따라 1차 고정부재(1)에 대하여 종,횡으로 그 위치가 조정된 후 결합된다. 따라서, 건축외장재(100)를 시공할 때 건축외벽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나 또는 조립공차 누적으로 줄눈(J)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 이들 상,하부 패스너(2)(3)를 그 위치를 종횡으로 움직여 1차 고정부재(1)에 대한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건축외장재(100)들을 그들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게 하면서 줄눈을 일정하게 하여 고정 부착할 수 있다.
완충케이스(4)는 건축외장재(100)의 상하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매립홈(100a)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에폭시제 충전제(40)에 의해 매립되어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 패스너(2)(3)의 끼움부(2b)(3b)에 끼워지는 고정홈(4a)을 형성한다. 이에, 건축외장재(10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충전제(40)로써 완충함과 아울러 서로 분리되어 위치가 각기 조정되는 상,하부 패스너(2)(3)와 함께 건축외장재(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정홈(4a)이 상,하부 패스너(2)(3)의 끼움부(2b)(3b)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조립여유를 가짐으로써 건축외장재(100)를 상,하부 패스너(2)(3)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100) 고정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 외에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0-7106호 '건축 외장재의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에 나타난 처짐방지부재(공보상의 명칭 : 조정판(2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처짐방지부재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앞서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0-7106호와 동일한 구조가 채용된다. 처짐방지부재는 1차 고정부재(1)의 부착판부(1a) 앞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1차 고정부재(1)와 함께 앵커볼트(5)에 끼워진 후 건축 외벽에 1차 고정부재(1)와 함께 부착되어 1차 고정부재(1)의 처짐을 억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과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축외장재(100)의 상,하면 완충케이스(4) 일측에는 상기 상,하부 패스너(2)(3)의 두께보다 낮은 깊이(D)를 갖도록 안치홈(100b)이 가공되는데, 이는 상기 완충케이스(4)에 끼움부(2b)(3b)가 끼워지는 상기 상,하부 패스너(2)(3)의 수평부(2a)(3a)를 수용하여 그 수평부(2a)(3a)의 두께(도 5의 부호 t1 및 t2)로 인해 형성되는 상,하 건축외장재(100) 사이의 간격 즉 줄눈(도 5의 부호 J)을 축소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안치홈(100b)는 상하 건축외장재(100) 사이의 줄눈(J)의 크기를 상,하부 패스너(2)(3)의 수평부(2a)(3a)들 두께를 합한 값(t1+t2) 이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여 건축외장재(100)들이 외관상으로 일체화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100)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외장재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건축외장재(100)는 석재가공공장에서 드릴로써 건축외장재(100)의 상,하면에 두께를 가진 반원형 형상의 매립홈(100a)이 가공되고 그 매립홈(100a)에 완충케이스(4)가 완충제(40)에 의해 매립되어 고정된 상태로 가공 완료되어 현장에 반입된다. 아울러 앵커볼트(5)는 건축 외벽 시공시 건축 외벽(101)에 매립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로 가공 완료되어 반입된 상기 1차 고정부재(1)는 현장에서 앵커볼트(5)에 끼워진다. 이어 상기 1차 고정부재(1)의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앵커볼트(5)에 너트(6)를 체결하여 1차 고정부재를 건축외벽에 고정한 다음,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하부 패스너(2)(3)를 끼움부(2b)(3b)가 서로 대향하도록 맞댄 상태에서 상기 1차 고정부재(1)의 지지판부(1b)에 볼트(70)와 너트(71)로써 가결합하고 그에 앞서 현장에 반입된 건축외장재(100)를 그 완충케이스(4) 내 고정홈(4a)을 상기 상,하부 패스너(2)(3)의 각 끼움부(2b)(3b)에 끼워 상,하부 패스너(2)(3)에 결합한다. 이 때, 상,하부 패스너(2)(3)의 수평부(2a)(3a)를 고정홈(4a)의 일측의 안치홈(100b)에 안치되도록 하면 상하 건축외장재(100) 사이의 줄눈(J)의 크기는 상,하부 패스너(2)(3) 두께의 합한 값(t1+t2) 보다 작아진다. 상,하 건축외장재(100) 사이의 줄눈(J)은 상,하부 패스너(2)(3)의 두께의 합(t1+t2)에서 안치홈(100b)의 깊이(D)를 뺀 값으로 결정되며, 그 크기는 앞서 건축외장재(100) 가공시 안치홈(100b)의 가공깊이(D)로써 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접한 다른 건축외장재(100)의 위치나 건축 외벽의 상태에 따라 가조립된 상,하 패스너(2)(3)를 일체 또는 분리 이동시켜 그 패스너(2)(3)에 결합된 건축외장재(100)가 인접한 다른 건축외장재(10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하면서 균일한 줄눈(J)을 형성하도록 건축외장재(10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상,하부 패스너(2)(3)를 가조립하고 있는 볼트(70)와 너트(71)를 완전히 조이면, 건축외장재(100)는 상기 건축외벽면에 다른 건축외장재(100)와의 줄눈(J)이 균일하게 조정된 상태에서 건축외벽(101)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의 완충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외장재(100)의 상,하면에 가공된 반원형 형상의 매립홈(100a)에 완충케이스(400)가 매립 설치되는데, 완충케이스(400)의 매립홈(100a)에 삽입되는 측은 매립홈(100a)의 반원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완충케이스(400)의 매립 설치 후에 상기 상,하부 패스너(2)(3)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4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케이스(400)는 그 표면에 접착제(미도시) 또는 충전제(미도시)가 소량 도포된 후에 건축외장재(100)의 매립홈(100a)에 간편하게 삽입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패스너(2)(3)가 상기 완충케이스(400)의 고정홈(400a)에 끼워짐으로써 건축외장재(100)는 건축외벽(101)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 기술의 핵심은 상,하 건축외장재에 개재되어 그들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2차 고정부재를 그 상,하 건축외장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안치되게 함으로써 그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의 간격 즉 줄눈을 2차 고정부재의 두께 이하로 축소할 수 있다는 점에 있는 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1, 2차 고정부재 등으로 인해 축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따르면, 2차 고정부재가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에서 그 각 건축외장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수용되므로 줄눈의 크기를 안치홈의 가공깊이 조정으로 상,하 패스너의 두께를 합한 값 이하 범위에서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건축외장재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축외장재를 부착하는 경우 줄눈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으로 건축외장재들을 일체화하여 건축 외관미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4)

  1. 건축외벽에 부착되는 부착판부와 상기 부착판부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지지판부로 이루진 1차 고정부재,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의 선단에 결합되며 그 선단의 상하에 접하는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 지지하는 2차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정부재는 그 2차 고정부재가 고정하는 상,하 건축외장재의 각 접합면에 형성된 안치홈에 안치되어 그 상,하 건축외장재 사이의 줄눈의 크기를 그 2차 고정부재의 두께 이하로 줄일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정부재는 각각 수평부와 그 수평부 선단에서 수직 연장된 끼움부로 이루어져 그 각 끼움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1차 고정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고정되는 상,하부 패스너로 이루어져, 상,하부 패스너의 각 수평부가 상기 안치홈에 안치되고 그 각 끼움부에 상기 안치홈과 접하는 상,하 건축외장재의 고정홈이 끼워짐으로써 상,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건축외장재 접합면의 상기 고정홈은 그 건축외장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매립홈 내에 충전제에 의해 매설된 완충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건축외장재 접합면의 상기 고정홈은 그 건축외장재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매립홈에 이 매립홈과 같은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끼워지는 완충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20020012506U 2002-04-24 2002-04-24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284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06U KR200284032Y1 (ko) 2002-04-24 2002-04-24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06U KR200284032Y1 (ko) 2002-04-24 2002-04-24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32Y1 true KR200284032Y1 (ko) 2002-07-31

Family

ID=7312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506U KR200284032Y1 (ko) 2002-04-24 2002-04-24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3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14B1 (ko) 2005-04-18 2007-05-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부착물 부착이 용이한 석재 패널과 이를 이용한 도어 벽체시스템
KR101868944B1 (ko) * 2016-10-11 2018-06-19 주포산업(주)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190019553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200142351A (ko) 2019-06-12 2020-12-22 신성한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20200142354A (ko)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102341833B1 (ko) * 2020-12-09 2021-12-22 (주)산돌기업 외장재용 내진 접합유닛
KR102516970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14B1 (ko) 2005-04-18 2007-05-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부착물 부착이 용이한 석재 패널과 이를 이용한 도어 벽체시스템
KR101868944B1 (ko) * 2016-10-11 2018-06-19 주포산업(주)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190019553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1988725B1 (ko) * 2017-08-18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외장패널 지지장치
KR20200142351A (ko) 2019-06-12 2020-12-22 신성한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20200142354A (ko)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102341833B1 (ko) * 2020-12-09 2021-12-22 (주)산돌기업 외장재용 내진 접합유닛
KR102516970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291B1 (ko)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S60261846A (ja) フアサードなどの板石被覆用アンカー
KR100191887B1 (ko) 외벽패널과 그 지지구조
KR100462150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102242199B1 (ko)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JPH04315644A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KR200255532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H08312042A (ja) Alcパネル壁の取付構造
JP3081161B2 (ja) 手摺り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付け構造
KR200196181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 패널의 결합구조
JPH04142B2 (ko)
JP3486643B2 (ja) 硬質壁材の端部固定構造
JPH11117384A (ja) ベランダ手摺壁の連結部材の取付け方法
JPH045618Y2 (ko)
KR100695815B1 (ko) 사각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S6128798Y2 (ko)
KR200164477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 패널의 결합구조
JPH0210167Y2 (ko)
JP2768717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S6113058B2 (ko)
JPH083563Y2 (ja) パネル取り付け金具
KR930002861Y1 (ko) 석재 부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