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32Y1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32Y1
KR200255532Y1 KR2020010025595U KR20010025595U KR200255532Y1 KR 200255532 Y1 KR200255532 Y1 KR 200255532Y1 KR 2020010025595 U KR2020010025595 U KR 2020010025595U KR 20010025595 U KR20010025595 U KR 20010025595U KR 200255532 Y1 KR200255532 Y1 KR 200255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urtain wall
plate portion
free end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용 이
Original Assignee
기 용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용 이 filed Critical 기 용 이
Priority to KR2020010025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32Y1/ko

Link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튼월 유니트를 건물 구조체에 연결하여 지지시키는데 사용하는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슬래브(S)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10)과,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결착되면서 상기 제1브래킷(10)에 다시 결착되는 제2브래킷(20)으로 구성되어, 커튼월 유니트(40)의 하중을 슬래브(S)에 전달시켜 지지하도록 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10)은 수평한 베이스판부(11)와 그 베이스판부(11)와 직각을 이루는 수직판부(12)와 그 수직판부(12)에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하게 생긴 1~2개의 안내홈(13)을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20)은 상기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부착되는 고정단부(21)와 그 고정단부(21)와 일체로 외향 연장되어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 (13)에 끼워져 상하 방향의 이동이 자유롭게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맞물리는 자유단부(22)와 그 자유단부(22)의 끝단부에 일체화되는 너트부(23)를 구비하며, 상기 너트부(23)에는 레벨링 볼트(30)를 나사결합시키되 그 레벨링 볼트 (30)의 하단부가 상기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에 접지되어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A Fastner for Fixing Curtain wall}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기 위한 커튼월 유니트를 건물 구조체에 연결하여 지지시키는데 사용하는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스너 부재들의 현장 용접을 배제하고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레벨링 볼트를 통해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 위치에 따른 높낮이 조절을 정밀하면서도 폭넓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튼월을 건물 구조체에 지지시킴에 있어서 도1a, 도1b, 도1c의 도시와 같이, 단위 패널 형태로 조립되어진 커튼월 유니트(1)를 앵커바(2)와 제1·2앵글 (3)(4)을 통해 슬래브(5)로 전달시켜서 지지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슬래브(5)의 가장자리에 C형홈(2a)이 형성된 앵커바(2b)를 매립시켜 정착하고, 수직장공(3a)이 형성된 제1앵글(3)을 상기 앵커바(2)에 볼트조립하여 고정한 후, 수평장공(4a)이 형성된 제2앵글(4)을 상기 제1앵글(3)에 볼트조립하여 고정하고, 커튼월 유니트(1)의 수직부재(1a)를 제2앵글(4)에 볼트조립하여 장착한 다음, 최종적으로 제1앵글(3)과 제2앵글(4)을 용접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은 시공과정에서 건물 구조체의 시공 및 변형에 의한 오차를 커튼월 유니트(1)의 설치시 좌우, 상하,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면서 맞추어 정렬하게 되는데,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은 앵커바(2)의 C형홈(2a)내에서 체결볼트와 제1앵글(3)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맞추며, 상하방향의 위치조절은 제1앵글(3)의 수직장공(3a)내에서 체결볼트와 제2앵글(4)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맞추고, 전후방향의 위치조절은 제2앵글(4)의 수평장공(4a)내에 끼워진 체결볼트를 중심으로 제2앵글(4)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맞추며, 위와 같이 커튼월 유니트(4)를 정렬한 다음에는 유동되지 않도록 제1앵글(3)과 제2앵글(4)을 용접하여 완전히 고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월 지지방식은 커튼월 고정용 제1·2앵글(3)(4)에 응력이 주어지는 전방향으로 수직 및 수평장공(3a)(4a)을 형성하고 이 구멍들을 통해 오차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고, 제1·2앵글(3)(4)을 일단 볼트체결시킨 후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현장 용접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들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진다.
첫째, 장공의 형성으로 인한 부재의 단면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제1·2앵글을 두꺼우면서 크게 형성해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바닥 볼트를 체결한 후 고공에서 작업자들이 커튼월 유니트를 들고 전후·상하방향의 오차조절을 하면서 볼트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시공이 어렵고 정밀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건물의 고층부로 올라갈수록 높낮이 오차범위가 점점 더 커지게 마련이고, 특히 철골기둥과 콘크리트 기둥을 혼합하여 시공하는 건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기둥은 거의 변형되지 않는데 비해 철골기둥은 변형되므로 높낮이 오차가 큰데, 이와 같이 높낮이 오차범위가 클 경우 수직장공만으로는 오차범위를 흡수하기가 불가능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거나 또는 레벨을 제대로 맞춰 주지 못함으로써, 커튼월 구조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커튼월 유니트와 슬래브의 사이가 협소하여 용접 작업능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열로 인한 제1·2앵글들의 강도 손상 및 용접불똥으로 인한 커튼월 유니트의 표면손상 등 하자가 발생하며, 용접부위와 그 주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라인더로 일일이 갈아내고 녹막이 칠을 다시 해야 하므로 대단히 번거롭고, 이를 철저히 관리 감독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로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어 좋은 품질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설치 후 강접합된 제1·2앵글의 용접부위에 축력과 전단력에 의한 복합적이고 지속적인 응력이 작용하여 종국에는 용접부위의 파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벨링 볼트를 통해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 위치에 따른 높낮이 조절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건물 구조체의 변형 또는 불규칙한 층간변위에 따른 큰 폭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건물의 고저층부에 관계없이 전체적인 커튼월 유니트의 레벨링 조절이 용이하고, 미세조정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후 미끄러짐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보다 고품질의 커튼월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화스너 구성 부품을 최적의 상태로 소형화시켜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커튼월 유니트 설치시 현장에서의 용접이 전혀 불필요하고 조립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분리사시도
도1b는 도1a의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1c는 도1a의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2a는 본 고안의 제1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분리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의 제1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2c는 본 고안의 제1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제2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분리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의 제2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제3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분리사시도
도4b는 본 고안의 제3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4c는 본 고안의 제3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5a는 본 고안의 제4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분리사시도
도5b는 본 고안의 제4설치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설치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1브래킷 11:베이스판부 12:수직판부
13:안내홈 14:전후장공 15:요철부
20:제2브래킷 21:고정단부 22:자유단부
23:너트부 24:볼트구멍 25:날개벽
26:체결볼트 30:레벨링 볼트 40:커튼월 유니트
41:수직부재 42:수평부재 43:패널재
50:앵커바 51:C형홈 52:앵커링 볼트
53:4각와셔 S:슬래브
본 고안의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는, 건물의 슬래브(S)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10)과,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결착되면서 상기 제1브래킷 (10)에 다시 결착되는 제2브래킷(20)으로 구성되어, 커튼월 유니트(40)의 하중을 슬래브(S)에 전달시켜 지지하도록 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10)은 상기 슬래브(S)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수평한 베이스판부(11)와 그 베이스판부(11)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상향 연장되는 수직판부 (12)와 그 수직판부(12)에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하게 생긴 1~2개의 안내홈 (13)을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20)은 상기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부착되는 고정단부(21)와 그 고정단부(21)와 일체로 하여 외향 연장되어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에 끼워져 상하 방향의 이동은 자유롭고 나머지 방향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맞물리는 자유단부(22)와 그 자유단부 (22)의 끝단부에 일체화되어 그 나사홀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너트부(23)를 구비하며,
상기 너트부(23)에는 레벨링 볼트(30)를 나사결합시키되 그 레벨링 볼트(30)의 하단부가 상기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에 접지되어 지지되게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에 제2브래킷(20)의 자유단부(22)를 끼워 맞춰 상호 맞물리게 조립하고, 상기 레벨링 볼트 (30)를 상기 제2브래킷(20)의 너트부(2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2브래킷(20)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그것에 결착되어 지지되는 커튼월 유니트(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설치예들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의 실시예들 및 그것을 이용한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예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각 실시예들 및 설치예에 의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명칭이 부여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1브래킷(10)은 베이스판부(11)와 수직판부(12)로 이루어지는 앵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1)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2개의 전후장공(14)이 형성되며, 전후장공(14)의 주변의 상면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내어지는 요철부(15)가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부(12)에는 그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하게 절개되어 거의 베이스판부(11)의 상면까지 다다르는 안내홈(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1개 또는 2개가 형성된다.
도2a 및 도4a에 도시되는 제1브래킷(10)의 일 실시예는 상기 수직판부(12)의 중앙부에 1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며,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은 1개의 안내홈(13)에 1개의 제2브래킷(20)만을 걸어서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3a 및 도5a에 도시되는 제1브래킷(1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수직판부(12)의 양측부에 2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며,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은 2개의 안내홈(13)에 각각 1개씩의 제2브래킷(20)을 걸어서 2개를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브래킷(20)은 상기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부착되는 고정단부(21)와,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맞물리는 자유단부(22)와, 그 자유단부(22)의 끝단부에 일체화 되는 너트부(2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단부(21)의 상하부 중앙에는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와 볼트결합시켜 부착하기 위한 볼트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부(2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 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날개벽(25)들이 형성되어서, 그 날개벽(25)들 사이에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 주변이 끼워져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제2브래킷(20)의 자유단부(22)가 맞물리게 하고 있다.
상기 너트부(23)는 그 나사홀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부 (22)의 끝단부에 용착되어 일체화된다.
도2a 및 도3a에 도시되는 제2브래킷(20)의 일 실시예는 상기 고정단부(21)와 자유단부(22)가 상호 하나의 수직면을 이루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예시하며,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은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4a 및 도5a에 도시되는 제2브래킷(2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고정단부(21)와 자유단부(22)가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용착되는 것을 것을 예시하며,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은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 측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레벨링 볼트(30)는 머리부를 갖는 일반적인 장볼트가 사용된다.
이 레벨링 볼트(30)는 상기 제2브래킷(20)의 너트부(23) 전장보다는 훨씬 긴 길이의 것을 사용하여서, 그 하단부가 상기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에 접지되어 지지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스너 부재를 이용해 건물의 외측에 커튼월 유니트를 설치하는 작업과정을 제1설치예에 따른 도2a, 도2b 및 도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 도2b 및 도2c에 도시되는 제1설치예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과,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 1개를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커튼월 유니트(40)는 수직부재(41)와 수평부재(42)가 조립되어 격자형상의 틀체를 이루며, 그 틀체의 전면에 알루미늄판 또는 유리판 등의 패널재(43)가 부착되는 조립패널 형태로 미리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우선, 본 고안을 이용해 커튼월 유니트(40)를 설치하기에 앞서서 건물의 슬래브(S) 가장자리에 C형홈(51)이 형성된 앵커바(50)를 매립시켜 정착한다.
그리고, 제2브래킷(20)을 상기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 전면에 체결볼트(26)로 조립하여 부착하며, 이때 제2브래킷(20)의 너트부(23)에 레벨링 볼트 (30)를 결합시켜 놓는다.
위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슬래브(S)에 정착된 앵커바(50)의 C형홈(51)내에 앵커링 볼트(52)의 머리부를 삽입하고, 그 앵커링 볼트(52)의 나사축부에 제1브래킷(10)을 가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앵커바(50)의 C형홈(51)내에는 2개의 앵커링 볼트(52)를 설치하며,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에 형성된 2개의 전후장공(14)에 상기 앵커링 볼트(52)의 나사축부를 각각 관통시킨 후, 그 앵커링 볼트(52)의 단부에 4각와셔 (53)와 너트를 체결하여 임시 고정한다.
상기 4각와셔(53)의 하면에는 상기 전후장공(14)의 주위에 형성된 요철부 (15)와 끼워 맞춰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서, 그것들의 완전 조립후 슬라이딩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브래킷(10)을 앵커바(50)에 임시 고정한 다음에는 제2브래킷(20)과 레벨링 볼트(30)가 부착된 커튼월 유니트(40)를 설치 위치로 들어 올리고, 제2브래킷(20)의 날개벽(25) 사이의 자유단부(22)를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 상부에 대고 아래로 내리면서 끼워 맞추고, 제2브래킷(20)의 너트부(23)에 결합되어진 레벨링 볼트(30)의 하면을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 상면에 얹혀서 지지시킨다.
그리고 나서, 최종적으로 건물 구조체의 시공 및 변형에 의한 오차를 조절하여 커튼월 유니트(4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고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좌우방향의 위치조절은 앵커바(50)의 C형홈(51)내에서 상기 앵커링 볼트(52)와 제1브래킷(10)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맞추며, 전후방향의 위치조절은 상기 앵커링 볼트(52)를 중심으로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맞춘다.
그리고, 상하방향의 위치조절은 제2브래킷(20)의 너트부(23)에 결합되면서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 상면에 얹혀져 지지되어 있는 레벨링 볼트(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브래킷(20)이 레벨링 볼트(30)를 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브래킷(20)의 상하이동에 따라 그것에 부착된 커튼월 유니트(40)가 같이 이동하게 되므로, 용이하면서도 미세한 부분까지 정밀하게 맞출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브래킷(20)의 전장 대부분에 걸쳐 레벨링 볼트(30)를 이동시켜 가며 높낮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건물 구조체의 변형 또는 불규칙한 층간변위에 따른 시공오차가 크더라도 이를 모두 수용하면서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a 및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 2개를 이용한 커튼월 유니트의 제2설치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4a, 도4b 및 도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 1개를 이용한 커튼월 유니트의 제3설치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브래킷(10)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래킷(20) 2개를 이용한 커튼월 유니트의 제4설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2, 제3 및 제4설치예는 앞서 설명한 제1설치예에 따르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장 조립되는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부재들의 용접을 배제하고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토록 하며, 레벨링 볼트를 통해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 위치에 따른 높낮이 조절을 수행토록 한 본 고안의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스너 구성 부재를 최적의 상태로 소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재비용을 절감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재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커튼월 설치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커튼월 유니트 설치시 현장에서의 용접이 전혀 불필요하고 조립이 간단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셋째, 건물 구조체의 변형 또는 불규칙한 층간변위에 따른 큰 폭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건물의 고저층부에 관계없이 전체적인 커튼월 유니트의 레벨링 조절이 용이하다.
넷째, 레벨링 볼트를 통해 미세한 높낮이 조정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커튼월 유니트의 설치후 미끄러짐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커튼월 구조체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커튼월 공사에 있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이 제고되며,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보다 고품질의 커튼월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건물의 슬래브(S)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10)과,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결착되면서 상기 제1브래킷(10)에 다시 결착되는 제2브래킷(20)으로 구성되어, 커튼월 유니트(40)의 하중을 슬래브(S)에 전달시켜 지지하도록 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10)은 상기 슬래브(S)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수평한 베이스판부(11)와 그 베이스판부(11)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상향 연장되는 수직판부 (12)와 그 수직판부(12)에 상단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하게 생긴 1~2개의 안내홈 (13)을 가지며,
    상기 제2브래킷(20)은 상기 커튼월 유니트(40)의 수직부재(41)에 부착되는 고정단부(21)와 그 고정단부(21)와 일체로 하여 외향 연장되어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에 끼워져 상하 방향의 이동은 자유롭고 나머지 방향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맞물리는 자유단부(22)와 그 자유단부 (22)의 끝단부에 일체화 되어 그 나사홀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너트부(23)를 구비하며,
    상기 너트부(23)에는 레벨링 볼트(30)를 나사결합시키되 그 레벨링 볼트(30)의 하단부가 상기 제1브래킷(10)의 베이스판부(11)에 접지되어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20)의 자유단부(22) 양측면에는 상기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 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날개벽(25)들이 형성되어서, 그 날개벽(25)들 사이에 상기 제1브래킷(10)의 안내홈(13)주변이 끼워져 제1브래킷(10)의 수직판부(12)와 제2브래킷(20)의 자유단부(22)가 맞물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20)의 고정단부(21)와 자유단부(22)는 상호 하나의 수직면을 이루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20)의 고정단부(21)와 자유단부(22)는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KR2020010025595U 2001-08-23 2001-08-23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KR200255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95U KR200255532Y1 (ko) 2001-08-23 2001-08-23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95U KR200255532Y1 (ko) 2001-08-23 2001-08-23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32Y1 true KR200255532Y1 (ko) 2001-12-13

Family

ID=7306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595U KR200255532Y1 (ko) 2001-08-23 2001-08-23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3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85B1 (ko) 2009-08-26 2012-06-18 김명근 높이조절이 가능한 커튼월유니트 설치용 고정구
KR101412086B1 (ko) 2013-02-15 2014-06-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레벨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고정 장치
KR101615126B1 (ko) 2014-02-11 2016-04-25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CN107916734A (zh) * 2017-11-28 2018-04-17 中国建筑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侧挂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000619B1 (ko) * 2018-05-11 2019-07-17 (주)유원산업 인도교의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1608304A (zh) * 2020-05-28 2020-09-01 金鹏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幕墙连接组件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85B1 (ko) 2009-08-26 2012-06-18 김명근 높이조절이 가능한 커튼월유니트 설치용 고정구
KR101412086B1 (ko) 2013-02-15 2014-06-26 주식회사 케이씨씨 레벨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고정 장치
KR101615126B1 (ko) 2014-02-11 2016-04-25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CN107916734A (zh) * 2017-11-28 2018-04-17 中国建筑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侧挂系统及其施工方法
CN107916734B (zh) * 2017-11-28 2024-01-12 中国建筑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侧挂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000619B1 (ko) * 2018-05-11 2019-07-17 (주)유원산업 인도교의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1608304A (zh) * 2020-05-28 2020-09-01 金鹏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幕墙连接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161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可変型ファスナー
US20030033765A1 (en) Apparatus for securing curtain wall supports
KR200255532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커튼월 고정용 화스너
JP3762689B2 (ja) 壁枠パネルと床スラブ基礎との結合構造
JP2002146800A (ja) 上部構造物と基礎杭との結合構造および支持金物
JP4355680B2 (ja) 耐震補強装置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CN115075600A (zh) 一种用于alc板门洞口的加固方法
JP3659766B2 (ja) 柱を建込むための定盤の施工方法および装置
JPH10325193A (ja) 外壁パネルの土台および外壁土台部構造
KR100672071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판넬 고정장치
JP3734571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5127064A (ja) 柱脚用金物
KR200358594Y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판넬 고정장치
JP5203052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5095424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585991Y2 (ja) 横張り方式による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CN216109016U (zh) 一种装配式外墙与基础梁的连接结构
KR100466695B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구조체와 벽체 간의 결합구조 및 방법
CN219863564U (zh) 一种可双向调节的金属墙板与混凝土结构连接构造
JP6067438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RU2105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JP3100101B2 (ja) 建築の基礎構造物
CN112746693A (zh) 墙板连接节点及建筑
KR200257175Y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구조체와 벽체 간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