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199B1 -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199B1
KR102242199B1 KR1020210030423A KR20210030423A KR102242199B1 KR 102242199 B1 KR102242199 B1 KR 102242199B1 KR 1020210030423 A KR1020210030423 A KR 1020210030423A KR 20210030423 A KR20210030423 A KR 20210030423A KR 102242199 B1 KR102242199 B1 KR 10224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tone plate
support bar
trench
composi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무
Original Assignee
(주)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보 filed Critical (주)성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은, 천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10); 상기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에 접착되는 금속재의 서포트바(20); 상기 석재판 모듈(10)의 후방에 구성되는 단열재층(0); 상기 서포트바(20)와 상기 단열재층(30)을 감싸면서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후레싱(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바(20)에는 전산볼트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바(20)와 결합된 전산볼트는 상기 단열재층(30)과 상기 후레싱(4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Stone Composite Pan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석재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슬림한 석재판을 채용한 석재 복합패널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문헌과 같은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의 기술에서는, 외단열복합패널(300M; 이하 특허문헌상의 도면부호이다)이 건물의 외벽 벽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외단열복합패널(500M)과 연결되기 위하여 양측 중간지점에서 패널고정앵글(530)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외단열복합패널(300M)은 단열패널유닛(310)과 초슬림석재판(320)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단열복합패널(500M)은 단열패널유닛(510)과 초슬림석재판(520)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단열복합패널(300M)과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외단열복합패널(500M)의 결합은 단열패널유닛(310)의 하부에 형성된 패널걸림홈(311) 및 석재걸림홈(321)과, 단열패널유닛(510)의 상부에 형성된 패널걸림홈(511) 및 석재걸림홈(521)에 각각 하향걸이부용체결파스너(540)과 상향걸이부용체결파스너(550)가 끼워지고, 상기 하향걸이부용체결파스너(540)과 상향걸이부용체결파스너(550)에 패널고정앵글(530)이 결합되어 벽체(W)에 앵커볼트(56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특허문헌이 대별하는 이와 같은 복합패널 기술에서는 석재판의 두께가 슬림해지면 슬림해질수록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번째, 석재판('초슬림석재판'이라 지칭된 것이다)의 상하로 석재걸림홈(321 및 521)을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데, 주어진 석재판의 두께안에서 석재걸림홈(321 및 521)까지 형성해야하므로, 석재판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석재걸림홈 주변의 파손 위험성이 증가하여 실질적으로는 석재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제약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두번째로,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복합패널의 측면을 포함한 사방에 폴리머몰탈(3151,515)을 구성하고 석재판과 석재판 사이에는 밀봉 코킹부(3351)를 구성하는데, 이와 같은 폴리머몰탈 및 밀봉 코킹부는 작은 범위내에서는 신축성을 가지나, 지진과 같이 건물의 대규모 흔들림에 대해서도 완충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충분한 내진 성능을 가지기가 어렵다.
이상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특허 제1995382호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슬림한 석재판의 채용을 가능토록 하는 석재 복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진 성능이 우수한 석재 복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은, 천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접착되는 금속재의 서포트바; 상기 석재판 모듈의 후방에 구성되는 단열재층;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감싸면서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후레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바에는 전산볼트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바와 결합된 전산볼트는 상기 단열재층과 상기 후레싱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을 향하며, 길이바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1 트렌치와 이웃하여 구성되고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을 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트렌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렌치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상기 석재판모듈과 상기 서포트바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며, 상기 제 2 트렌치에는 노턴 테이프가 안착되어 상기 구조용 실리콘의 경화 과정중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서포트바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치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 1 트렌치이 하나씩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트렌치 및 상기 제 2 트렌치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된 돌출컬럼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컬럼에 상기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은,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수용하고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통형상이되,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과; 상기 플랩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플랩의 사이에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 본체의 4개 측면부에 접착되며, 이웃하는 후레싱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상기 배수채널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하는 탄성방수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 모듈들 사이는 오픈된 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ㅎ아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사각석재판은 박판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20)와 결합된 전산볼트(81)와 상기 전산볼트(81)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스너(7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 모듈은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사각석재판과 제 2 사각석재판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 1 사각석재판과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이 서로 연결된 부분의 배면에 접착되는 코너서포트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크리트 벽체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코너서포트바는, 상기 제 1 사각석재판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트렌치;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트렌치; 상기 제 4 트렌치 및 상기 제 5 트렌치의 사이에 구성되되, 코너부분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트렌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렌치 및 상기 제 5 트렌치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코너서포트바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며, 상기 제 6 트렌치에는 노턴 테이프가 안착되어 상기 구조용 실리콘의 경화 과정중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코너서포트바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은, 상기 서포트바 및 상기 코너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수용하며,대략 'ㄱ'자로 꺽이고 개구된 통형상이되, 상기 제 1 사각석재판과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들과; 상기 플랩들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후레싱 본체와 상기 플랩들의 사이에,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석재 복합패널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 본체의 측면부에 접착되며, 이웃하는 후레싱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상기 배수채널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하는 탄성방수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판 두께내에 걸림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슬림한 석재판의 채용을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석재판 사이에 코킹재를 구성하고 않고 오픈된 유격을 가지며 탄성완충테이프를 가지므로 보다 내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지재의 구성에 따른 소요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건물의 낭비 면적을 줄이고 실효 면적을 늘릴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판과의 접합부분으로부터 단열재층을 관통한후 특수한 하스너(브라켓)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건축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안정적 지지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시공성 향상으로 인한 탈현장화 작업을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장식패널의 시공방법에서는 없던 코너용 복합 패널을 구비하여 안정적이고 미려한 엣지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코너하스너는 코너에서 복합 패널의 지지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외벽의 굴곡에 대응하여 평활도를 손쉽고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누수방지, 역류방지 및 열교차단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상기한 효과의 자세한 설명과 기타의 효과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관한 설명에서 보완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서포트바(20)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 및 도 5(b)는 서포트바(20)에 구조용 실리콘(51)과 노턴 테이프(52)가 충진 및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c) 및 도 5(d)는 이들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d)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에서 서포트바(20)의 주변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스너(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석재 복합패널(100')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서포트바(20) 및 코너스포트바(25)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5(a),(b)는 구조용 실리콘(51)과 노턴 테이프(52)가 충진 및 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c)는 코너스포트바(25)에서 구조용 실리콘(51)과 노턴 테이프(52)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석재 복합패널(100')이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너하스너(9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는 다른 형태의 서포트바(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8(a)는 단면도이고, 도 18(b)는 구조용 실리콘 및 노턴 테이프가 충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과 석재 지지 시스템에 관한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은 석재판 모듈(10), 하나 이상의 서포트바(20), 단열재층(30), 후레싱(40) 및 탄성방수테이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가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석재판 모듈(10)은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사각석재판은 천연석이나 인조석으로 된 것일 수 있으며, 선호되기로 사각석재판은 박판 세라믹이다. 도시에서 석재판 모듈(10)은 정사각이나 직사각을 포함한 여하한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석재판 모듈(10)은 사각석재판의 전면에 미관을 위하여, 또는 배면에 접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코팅층 또는 접착층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서포트바(20)는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에 접착되며 대략 금속재의 바형상으로서, 하나의 석재판 모듈(10)당 2개이상이 접착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서포트바(20)는 제 2 트랜치(23)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2개의 제 1 트렌치(22-1,22-2)가 하나씩 평행하게 병렬로 구성된다(도 5 참조). 제 1 트렌치(22-1, 22-2)는 그 단면이 사각형인 트렌치로서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길이바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 2 트렌치(23)는 그 단면이 사각형인 트렌치로서 제 1 트렌치(22-1, 22-2)와 이웃하여 구성되고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어느 한쪽의 제 1 트렌치(22-1)와 제 2 트렌치(23)는 하나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다른 쪽의 제 1 트렌치(22-2)와 제 2 트렌치(23)는 다른 하나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있다.
2개의 제 1 트렌치(22-1,22-2)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석재판모듈(10)과 서포트바(20) 사이의 구조적 접착(장기적 또는 항구적 접착)이 수행되는데, 구조용 실리콘은 흔히 '구조용 코킹'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제 2 트렌치(23)에는 노턴 테이프가 안착되어 구조용 실리콘의 경화 과정중 석재판 모듈(10)과 서포트바(20)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한다. 노턴 테이프 대신 에폭시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조용 실리콘은 5℃에서 24시간당 1mm 씩 경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전체가 경화되기까지 수일 내지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상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고 제조 과정이나 이송중 정렬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용 실리콘과 노턴 테이프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제 1 트렌치(22-1,22-2) 및 제 2 트렌치(23)가 형성되는 면(즉, 석재판 모듈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돌출컬럼(24)이 형성되는 데, 돌출컬럼(2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된 것으로서, 이에 전산볼트(81)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공(21)이 상·하 2개 형성된다. 돌출컬럼(24)은 적정한 깊이의 나사공(21)이 형성될 두께를 제공하고 구조를 보강한다.
도 18는 다른 형태의 서포트바(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8(a)는 단면도이고, 도 18(b)는 구조용 실리콘 및 노턴 테이프가 충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형태의 서포트바(20")는 전술한 서포트바(20)와 유사하게 나사공(21")과 제 1 트렌치(22-1", 22-2") 및 제 2 트렌치(23")를 구비한다.
2개의 제 1 트렌치(22-1", 2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 1 트렌치(22-1")에서는 2개의 측벽중 한쪽(바깥쪽 측벽)이 오픈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측방으로부터 구조용 실리콘을 충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구조용 실리콘과 석재판 모듈(10) 사이의 접착면적은 [구조용 실리콘의 충진증가폭(L) X 서포트바의 길이] 만큼 더 증가하므로 접착강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다.
단열재층(30)은 단열을 위하여 석재판 모듈(10)의 후방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레싱(40)의 내측에 구성된다. 단열재층(30)을 구성하는 단열재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폴리스틸렌, 우레탄, 폴리페닐, 석면, 유리섬유, PF보드, 세라크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층(20)은 복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는데, 첫번째층은 서포트바(20), 후술할 배수 채널(41) 등에 의한 불규칙면에 대한 적응성(충진용이성)을 가진 소재로 선택하고 두번째층은 단열성능이 보다 우수한 소재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층(30)은 석재판 모듈(10)과 이에 접착되는 후레싱(40)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후레싱(4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포트바(20)와 단열재층(30)을 감싸면서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후레싱(40)과 단열재층(30) 사이에 접착제(또는 실링재)를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이에 더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전산볼트(81)에 채워지는 너트(82c)에 의하여 눌려 고정된다(도 2 참조). 후레싱은 예를 들어 C/S 후레싱이다.
후레싱(40)은 금속 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가공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후레싱(40)은 그 내부의 단열재층(30)을 보호하여 단열재층(30)이 수분등에 의하여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포트바(20)와 결합된 전산볼트(81)는 이러한 단열재층(30)과 후레싱(4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후레싱(4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포트바(20)와 단층 또는 다층으로 된 단열재층(30)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사각 통형상이다. 후레싱(40)은 석재판 모듈(10)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42)을 구비하는데, 띠모양인 플랩(42)의 평면은 단열재층(30)과 평행한 평면을 이룬다. 그리고 후레싱(40)은 이러한 플랩(42)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43)를 구비하는데, 후레싱 본체(43)의 후방은 후레싱을 폐색하는 평면으로서 이 평면에는 전산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후레싱 관통홀(44)을 구비한다.
후레싱(40)은 후레싱 본체(43)와 플랩(42)의 사이에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41)을 형성하는 데, 배수채널(41)의 일 측벽은 플랩(42)으로 구성되며, 마주하는 측벽은 후레싱 본체(43)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배수채널(41)은 후레싱(40)을 구성하는 금속 판재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배수채널(41)은 석재 복합패널의 4개 측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방수테이프(60)는 후레싱 본체(43)의 4개 측면부(45)에 접착되며, 이웃하는 후레싱(40)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배수채널(41)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외측의 눈, 비, 수분 또는 습기가 콘크리트 벽체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석재 복합패널들이 바둑판처럼 2차원 배열될때, 이웃하는 석재 복합패널들 사이에서는 모두 탄성방수테이프(60)가 약간 압축되면서 개재되어 있으므로, 배열된 석재 복합채널 사이의 정렬오차를 어느 정도 완충하면서(공차를 가지면서) 그 내부로의 방수를 도모한다. 탄성방수테이스(60)는 예를 들어 EPDM 방수테이프이다. 도면에서는 탄성방수테이프(60)가 일체로 도시되었으나, 4개 측면의 방수테이프가 각각 구성되고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웃하는 석재판 모듈들 사이에는 일정한 유격(D)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재료로 충진되지는 않는데(도 7 및 도 8 참조), 이와 같이 오픈된 유격(D)을 이용하여 배수채널(4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전면으로 흘러나올 수 있다. 또한, 지진과 같은 심한 진동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석재판 모듈들 사이의 오픈된 유격(D)은 석재판 모듈의 파손 또는 크랙을 방지한다. 가정하여 석재판 모듈들 사이를 코킹재로 충진하는 경우 지진과 같은 진동요인에 의하여 비교적 작은 코킹재의 수축가능범위를 벗어날 확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석재판 모듈이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 주로 도 2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스너(70) 등을 이용하여 석재 복합모듈(100)을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하는 석재 지지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지지 시스템은 천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포트바(20)와, 이와 결합된 전산볼트(81)와, 이러한 전산볼트(81)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스너(7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다.
전산볼트(81)는 그 일측이 서포트바(20)의 나사공(21)에 나사결합하며, 타측은 하스너(70)에 결합하고 있다. 하스너(70)는 전산볼트(81)의 타측과 결합하고 앵커(8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다. 서포트바(20)는 구조용 실리콘으로써 석재 복합패널(100)의 사각석재판(10)을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다시 서포트바(20)는 전산볼트(81)와 하스너(70) 및 앵커(8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하스너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부품을 볼트등으로 결합하는 구조(예를 들면, 1차 하스너와 2차 하스너가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구조)가 아니며, 그러면서도 3축 방향의 설치 자유도를 가지도록 한다(3축 방향의 설치 위치 조정이 가능토록 한다).
하스너(70)는 벽체밀착 플레이트(71) 및 볼트고정편(72)이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도 9 참조). 벽체밀착 플레이트(71)는 앵커(85)를 이용하여 콘트리트 벽체에 밀착하고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금속판으로서, 이러한 앵커(85)가 삽통되는 가로방향의 장공(73)을 구비한다. 볼트고정편(72)은 대략 'ㄴ'자 모양의 절곡된 사각 금속편으로 구성되며, 일측이 벽체밀착 플레이트(73)를 가로질러 일체로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타측에는 전산볼트(81)가 거치되는 볼트거치슬릿(74)이 구성된다. 볼크거치슬릿(74)은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방을 통하여 상기 전산볼트(81)가 손쉽게 도입될 수 있다. 하스너(70)는 금속 판재의 절단, 절곡 및 용접등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석재판 모듈(10)을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할 때, 앵커(85)가 하스너(70)의 장공(73)에 삽입된 후 장공(73)의 길이를 이용하여 하스너(70)를 좌·우로 이동설치 가능함으로써 석재판 모듈(10)은 좌·우 방향의 설치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볼트거치슬릿(74)은 상·하로 연장되는데, 이를 따라 전산볼트(81)는 상·하로 이동설치 가능함으로써, 석재판 모듈(10)은 상·하 방향의 설치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산볼트(81)에 나사결합하고 볼트거치슬릿(74)의 앞·뒤로 채워지는 한쌍의 너트(82a,82b)를 구비하는데, 이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석재판 모듈(10)은 전·후방향의 설치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공장에서 제조된 석재판 모듈(10)을 현장에서 시공할 때에는, 먼저 전산볼트(81)의 일단이 후레싱(40)의 후레싱 관통홀(44)과 단열재층(30)을 관통되게 한 후 서포트바(20)의 나사공(21)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평화셔(84), 스프링와셔(83) 및 너트(82c)를 체결하여 후레싱(40)과 전산볼트(81) 사이의 고정을 도모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85)를 설치한 후, 앵커(85)의 볼트가 하스너(70)의 장공(73)을 관통하게 한후 와셔 및 앵커너트 등을 이용하여 1차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산볼트(81)의 타단에 일정간격(예를 들면 볼트 고정편의 두께이상)을 두고 2개의 너트(82a,82b)를 채운후, 석재판 모듈에 결합된 전산볼트를 하스터(70)의 개방된 볼트거치슬릿(74)으로 들어가게 한다. 일단 전산볼트가 볼트거치슬릿(74)으로 들어가게 되면, 작업자의 외력을 제거해도 석재판 모듈이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73), 볼트거치슬릿(74) 및 2개의 너트(82a,82b)를 이용하여 석재판 모듈이 정확한 자기 위치에 있도록 3축 방향의 조정을 수행한 후 최종 고정할 수 있다. 보통 콘크리트 벽체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약간의 오차를 가지는 굴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굴곡면이 있더라도 배열되는 전체 석재판 모듈들을 정확히 정렬시키는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석재 복합패널(100')과 석재 지지 시스템에 관한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 및 석재 지지 시스템과 비교하여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 복합패널(100')은 석재판 모듈(10'), 하나 이상의 서포트바(20), 하나 이상의 코너서포트바(20'), 단열재층(30'), 후레싱(40') 및 탄성방수테이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코너용 석재 복합패널(100')에는 서포트바(20)와 코너서포트바(25)가 모두 내장되는데, 서포트바(20)는 제 1 실시예의 서포트바(2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코너용 석재판 모듈(10')은 콘크리트 벽체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박판 세라믹과 같은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사각석재판(10a)과 제 2 사각석재판(10b)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코너서포트바(25)는 제 1 사각석재판(10a)과 상기 제 2 사각석재판(10b)이 서로 연결된 코너부분(모서리부분)의 배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대략 바형상의 금속재로 구성된다. 코너서포트바(25)는 'ㄱ'자로 꺽여져 있는 코너용 석재판 모듈(10')의 구조를 보강하며, 모서리에 가해지는 외력등에 저항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너서포트바(25)(도 15 참조)는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27a, 27b)를 이용하여 제 6 트렌치(27)를 구성하며, 제 6 트렌치(27)는 제 4 트렌치(26a) 및 제 5 트렌치(26b)의 사이에 구성되되, 코너부분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6 트렌치(27)에는 노턴 테이프(52)가 안착되어 구조용 실리콘(51)의 경화 과정중 석재판 모듈(10')과 코너서포트바(25)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제 6 트렌치(27)의 한쪽 측방에는 이와 이웃하게 제 4 트렌치(26a)가 형성되는데, 제 4 트렌치(26a)는 제 1 사각석재판(10a)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6 트렌치(27)의 다른쪽 측방에는 이와 이웃하게 제 5 트렌치(26b)가 형성되는데, 제 5 트렌치(26b)는 제 2 사각석재판(10b)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트렌치(26a) 및 제 5 트렌치(26b)는 서로 직각인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제 4 트렌치(26a) 및 제 5 트렌치(26b)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석재판 모듈(10')과 상기 코너서포트바(25)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도록 한다.
단열재층(30')은 단열을 위하여 석재판 모듈(10')의 후방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레싱(40')의 내측에 구성된다. 단열재층(30')을 구성하는 단열재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폴리스틸렌, 우레탄, 폴리페닐, 석면, 유리섬유, PF보드, 세라크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층(20')은 복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단열재층(20')의 전체적 모양은 석재판 모듈(10')처럼 'ㄱ'자로 꺽여 있는 모양이지만 서포트바(20) 및 코너서포트바(25) 등에 따른 불규칙면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레싱(40')은 서포트바(20) 및 코너서포트바(25)와 단열재층(30')을 수용하며, 대략 'ㄱ'자로 꺽이고 석재판 모듈(10')을 향하는 방향에서는 개구된 통형상으로서, 제 1 사각석재판(10a)과 제 2 사각석재판(10b)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들(42')과, 이러한 플랩들(42')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43')를 구비한다. 후레싱 본체(43')의 배면은 2개의 사각평면이 연결된 형상으로서, 전산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h)을 구비하며 콘크리트 벽체의 모서리에 있는 2개 평면에 대응한다. 후레싱 본체(43')와 플랩들(42')의 사이에는,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41')이 형성되는 데, 석재판 모듈(10')과의 접착을 위한 플랩(42')은 배수채널(41')의 일측 측벽을 구성하게 된다. 석재 복합모듈의 상방 및 하방에 형성되는 배수채널(41')은 석재판 모듈(10')에 대응하여 역시 'ㄱ'자로 꺽여 있으며, 석재 복합모듈의 측방에 형성되는 배수채널(41')은 일직선으로 뻗어 있다.
탄성방수테이프(60')는 후레싱 본체(43')의 측면부(45')를 포함하는 사방(상·하·좌·우)에 접착되며, 사방에서 이웃하는 후레싱(40')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배수채널(41')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하는 데, 배수채널(41')에 들어온 눈, 비, 습기, 수분이 그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석재 복합패널들이 바둑판처럼 2차원 배열될때, 이웃하는 석재 복합패널들 사이에서는 모두 탄성방수테이프(60)가 약간 압축되면서 개재되어 있으므로, 배열된 석재 복합채널 사이의 정렬오차를 어느 정도 완충하면서(공차를 가지면서) 그 내부로의 방수를 도모한다. 탄성방수테이스(60')는 예를 들어 EPDM 방수테이프이다. 또한, 이웃하는 석재판 모듈들 사이에는 일정한 유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재료로 충진되지는 않는데, 이와 같이 오픈된 유격을 통하여 배수채널(41)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은 전면으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극심한 진동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석재판 모듈들 사이의 오픈된 유격은 석재판 모듈의 파손 또는 크랙을 방지한다.
이하, 주로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스너(70) 및 코너하스너(90) 등을 이용하여 석재 복합모듈(100')을 콘크리트 벽체의 코너부분에 고정하는 석재 지지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 지지 시스템은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10')을 지지하기 위한 으로서, 서포트바(20)와, 이와 결합된 전산볼트(81)와, 이러한 전산볼트(81)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스너(70) 및 코너하스너(9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다.
특히, 코너하스너(90)는 제 1 사각석재판(10a)과 제 2 사각석재판(10b) 사이의 모서리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 1 사각석재판(10a)에 접착된 서포트바(20)(이하 '제 1 서포트바'라 한다)와 상기 제 2 사각석재판(10b)에 접착된 서포트바(20)(이하 '제 2 서포트바'라 한다)의 모두를 한꺼번에 지지한다.
코너하스너(90)는 벽체밀착 플레이트(91), 제 1 볼트고정편(92) 및 제 2 볼트고정편(95)을 포함하여 모두 일체로 구성되는데, 벽체밀착 플레이트(91)는 콘트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앵커(85)가 삽통되는 가로방향의 장공(93)을 구비하고 콘크리트 벽체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 1 볼트고정편(92)은 대략 'ㄴ'자 모양의 금속편으로 구성되며, 일측이 벽체밀착 플레이트(73)를 가로질러 일체로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타측에는 제 2 서포트바에 결합된 전산볼트가 거치되는 제 1 볼트거치슬릿(94)이 구성된다. 제 2 볼트고정편(95)은 일측이 제 1 볼트고정편(92)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데, 제 1 볼트고정편(92)으로부터 상방으로 꺽여서 연장되며, 타측에는 제 1 서포트바에 결합된 전산볼트가 거치되는 제 2 볼트거치슬릿(96)이 구성된다. 제 1 볼트고정편(92) 및 제 2 볼트고정편(95)는 단일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손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제 1 볼트거치슬릿(94) 및 제 2 볼트거치슬릿(96)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개방된 상방을 통하여 전산볼트(81)가 손쉽게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서 입면도상 앵커의 설치 위치만 나오면 빠른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과정은 단열재 설치 후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 모듈러 방식의 형태로 대부분의 구성이 공장에서 제조된 후 간단히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ㅁ자파이프(각파이프)로 구성되는 트러스 구조체와 같은 하지재의 구성에 따른 소요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건물의 낭비 면적을 줄이고 실효 면적을 늘릴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재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없어짐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구성되는 낭비 면적을 줄여 하지재로 인한 두께를 최소화하여 건물의 연면적 증가의 효과를 만든다. 또한 박판 세라믹과 같이 그 두께가 매우 얇은 석재판이나 인조 석재판을 채용하는 것도 용이하므로, 다양한 석재판에의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석재류 박판의 단점인 깨짐에 대한 단점은 후면에 구성되는 서포트바 또는 코너서포트바와 후레싱등에 의한 구조적 보강을 통하여 보완되며, 나아가 석재 복합패널의 지지를 위한 기능을 병행해서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합 단열재를 내장함으로써 단열성 향상과 화재에 강한 외장재를 만들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판과의 접합부분으로부터 단열재층을 관통한후 특수한 하스너(브라켓)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건축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안정적 지지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시공성 향상으로 인한 탈현장화 작업을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용 실리콘을 위한 트렌치를 구성함으로써 구조용 실리콘의 사용량을 줄이고 안정적인 줄라인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재를 현장에서 작업자의 기준에 따라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화된 접착라인(트렌치)에 정해진 깊이로 충진하면 되므로 안정적인 접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보장할 노턴 테이프(에폭시)용 접착라인(트렌치)도 병행해서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장식패널의 시공방법에서는 없던 코너용 복합 패널을 구비하여 안정적이고 미려한 엣지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코너하스너는 코너에서 복합 패널의 지지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스너 및/또는 코너 하스너를 이용하여 외벽의 평활도를 손쉽에 조절 할 수 있게 하는데, 특히, 전산볼트의 길이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정밀 시공을 할 수 있게 만들며, 기타 좌우 조정과 상하 조정까지 가능케함으로써 전방향에서의 정밀조정을 가능케하는 장점이 있다. 종래 브라켓을 1,2,3차로 연결 해야만 가능했던 시공을 1차 브라켓 1개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사용함에 있어 외장 시공의 가장 큰 퀄리티인 줄눈(메지라인)의 선형성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판 사이의 유격을 가진 안정적 구조이면서도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내진 성능이 우수한 외장재를 구현한다. 또한 건물 외벽의 경량화로 인한 구조재의 절감과 시공단계 축소로 인한 시공성 향상등을 가져온다. 현실적으로 인원 투입 대비 채산성이 악화되는 건설업의 상황에서 투입인원의 감소를 가져오며 공사를 조기 마감할 수있는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판 모듈에 서포트바가 구조용 실리콘으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구조를 공장 제작공정에서 수행가능하므로 작업공정을 관리하기 쉽고 품질 관리가 용이하며, 현장 작업자에 의한 접착제 시공에 비하여 고품질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지속적인 단열성을 위하여 단열재층을 후레싱으로 마감함으로써 기존 알루미늄 호일이나 페브릭 계열의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누수 및 직사광선등에 의한 단열효과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의 가장 중요한 누수 방지를 위한 WATER LINE(배수채널)을 판재에 구성함으로써 건물 내부로의 누수를 사전 방지한다. 또한 C/S 후레싱 위에 누수방지를 위한 탄성방수테이프(EPDM 테이프)를 올려 내진, 여유공차의 확보, 역류방지 및 열교차단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및 강풍에 의한 이탈 방지하는 안정적 구조를 달성하며 기반 설치 방법과 구조프레임의 최소화로 건물의 연면적 증가 및 시공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10,10' : 석재판 모듈 20 : 서포트바
25 : 코너서포트바 30,30' : 단열재층
40,40' : 후레싱 51 : 구조용 실리콘
52 : 노턴 테이프 60,60' : 탄성방수테이프
70 : 하스너 81 : 전산볼트
90 : 코너하스너 100, 100' : 석재 복합패널

Claims (15)

  1. 삭제
  2. 천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접착되는 금속재의 서포트바;
    상기 석재판 모듈의 후방에 구성되는 단열재층;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감싸면서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후레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바에는 전산볼트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바와 결합된 전산볼트는 상기 단열재층과 상기 후레싱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을 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트렌치와,
    상기 제 1 트렌치와 이웃하여 구성되고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을 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트렌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 복합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렌치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상기 석재판모듈과 상기 서포트바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며,
    상기 제 2 트렌치에는 노턴 테이프가 안착되어 상기 구조용 실리콘의 경화 과정중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서포트바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하는,
    석재 복합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치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제 1 트렌치가 하나씩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트렌치 및 상기 제 2 트렌치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된 돌출컬럼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컬럼에 상기 나사공이 형성되는,
    석재 복합패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은,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수용하고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통형상이되,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과;
    상기 플랩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플랩의 사이에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을 형성하는,
    석재 복합패널.
  6. 청구항 2에 있어서,
    후레싱 본체의 4개 측면부에 접착되며, 이웃하는 후레싱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배수채널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하는 탄성방수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 복합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 모듈들 사이는 오픈된 유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패널.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각석재판은 박판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패널.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20)와 결합된 전산볼트(81)와 상기 전산볼트(81)의 타단에 결합하는 하스너(7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석재 복합패널.
  10. 천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사각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판 모듈;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접착되는 금속재의 서포트바;
    상기 석재판 모듈의 후방에 구성되는 단열재층;
    상기 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감싸면서 상기 석재판 모듈의 배면에 고정되는 후레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바에는 전산볼트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이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바와 결합된 전산볼트는 상기 단열재층과 상기 후레싱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석재판 모듈은 인조석으로 구성되는 제 1 사각석재판과 제 2 사각석재판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 1 사각석재판과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이 서로 연결된 부분의 배면에 접착되는 코너서포트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크리트 벽체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패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너서포트바는,
    상기 제 1 사각석재판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트렌치;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의 배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트렌치;
    상기 제 4 트렌치 및 상기 제 5 트렌치의 사이에 구성되되, 코너부분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트렌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 복합패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렌치 및 상기 제 5 트렌치에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코너서포트바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며,
    상기 제 6 트렌치에는 노턴 테이프가 안착되어 상기 구조용 실리콘의 경화 과정중 상기 석재판 모듈과 상기 코너서포트바 사이의 임시 접착을 도모하는,
    석재 복합패널.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은, 상기 서포트바 및 상기 코너서포트바와 상기 단열재층을 수용하며, 대략 'ㄱ'자로 꺽이고 개구된 통형상이되,
    상기 제 1 사각석재판과 상기 제 2 사각석재판의 배면에 접착되는 띠모양의 플랩들과;
    상기 플랩들과 연결되는 후레싱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후레싱 본체와 상기 플랩들의 사이에, 유입된 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도랑 모양의 배수채널을 형성하는,
    석재 복합패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 본체의 측면부에 접착되며, 이웃하는 후레싱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워 완충하고, 상기 배수채널과 콘크리트 벽체앞의 공간을 분리하는 탄성방수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재 복합패널.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렌치는 구조용 실리콘이 충진되어 상기 석재판모듈과 상기 서포트바 사이의 구조적 접착이 수행되되, 상기 제 1 트렌치의 한쪽 측벽은 오픈되어 있는 트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복합패널.
KR1020210030423A 2021-01-12 2021-03-08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KR102242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180A KR20210011466A (ko) 2021-01-12 2021-01-12 석재류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고정 방법
KR1020210004180 2021-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199B1 true KR102242199B1 (ko) 2021-04-20

Family

ID=7457144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180A KR20210011466A (ko) 2021-01-12 2021-01-12 석재류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고정 방법
KR1020210030423A KR102242199B1 (ko) 2021-01-12 2021-03-08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KR1020210030424A KR102242092B1 (ko) 2021-01-12 2021-03-08 석재 지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180A KR20210011466A (ko) 2021-01-12 2021-01-12 석재류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고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424A KR102242092B1 (ko) 2021-01-12 2021-03-08 석재 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114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64B1 (ko) * 2022-04-21 2022-11-01 중동건설(주) 외장패널용 조정식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117A (ko) * 2004-04-28 2005-11-02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9180B1 (ko) * 2018-09-20 2019-03-29 서두석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KR101995382B1 (ko) 2018-09-27 2019-10-01 권혁준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102049405B1 (ko) * 2019-06-12 2019-11-28 신헌봉 단열재 및 불연보드 일체형 경량 석재 패널 구조체
KR200491614Y1 (ko) * 2018-05-30 2020-05-08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117A (ko) * 2004-04-28 2005-11-02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91614Y1 (ko) * 2018-05-30 2020-05-08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939180B1 (ko) * 2018-09-20 2019-03-29 서두석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KR101995382B1 (ko) 2018-09-27 2019-10-01 권혁준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102049405B1 (ko) * 2019-06-12 2019-11-28 신헌봉 단열재 및 불연보드 일체형 경량 석재 패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466A (ko) 2021-02-01
KR102242092B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3360B2 (en) A structural infill wall panel module
US7658045B2 (en) Wall structure for protection against wind-caused uplift
JP3426444B2 (ja) 外壁板の取付構造
CN109972765B (zh) 三墙两空式装配式墙体体系、墙体主板及安装方法
US10246882B2 (en) Structural wall panel system
KR102242199B1 (ko)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US20210310298A1 (en) Modular System for Glazing and Other Infill Panels
JP5080191B2 (ja) 外壁施工構造
CN111315943A (zh) 利用形成有楔形结合部的砌块和框架的墙体结构及利用其的墙体施工方法
EP0195662A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cladding panels
KR100191887B1 (ko) 외벽패널과 그 지지구조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US20200131761A1 (en) Wall system
JPH08312042A (ja) Alcパネル壁の取付構造
JP2000297490A (ja) 壁構築方法およびその壁構造
JP7141840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断熱材の設置方法
KR101272990B1 (ko) 에이엘씨 벽 패널과 슬래브를 연결하는 엘형 클립앵글
JP6889028B2 (ja) 建物の外壁支持構造
JP5080190B2 (ja) 外壁施工構造
CN117027202A (zh) 一种用于复合外墙板的连接构造
GB2619081A (en) A wall panel assembly
WO2019140514A1 (en) Exterior thermal insulated wall system for buildings
JPH0663291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2002294976A (ja) 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