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61Y1 - 석재 부착 고정구 - Google Patents

석재 부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61Y1
KR930002861Y1 KR2019910002991U KR910002991U KR930002861Y1 KR 930002861 Y1 KR930002861 Y1 KR 930002861Y1 KR 2019910002991 U KR2019910002991 U KR 2019910002991U KR 910002991 U KR910002991 U KR 910002991U KR 930002861 Y1 KR930002861 Y1 KR 930002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member
stone
hardware
connecting hard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296U (ko
Inventor
김광육
Original Assignee
김광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육 filed Critical 김광육
Priority to KR2019910002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861Y1/ko
Publication of KR920018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재 부착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설치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철물 11 : 일단부
12 : 타단부 14 : 연결구멍
20 : 고정부재 21 : 고정지지부
22, 23 : 연결지지부
본 고안은 건축물 골조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적되는 석재들의 무거운 하중을 비교적 얇은 두께로서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석재 부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축물 골조부 외측에 조적되는 석재들을 건축물 골조부에 부착,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석재들의 수평줄눈들 사이에 수평띠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철물(10)의 일단부가 배치, 고정되도록 하고, 건축물 골조부에는 해당 위치마다 앵커볼트의 일단부가 매설 되도록 한 후에, 상기 연결철물의 타단부에는 그 수평부가, 상기 앵커볼트의 타단부에는 그 수직부가 볼트 결합되는 “L”형상의 고정부재가 석재들의 집중하중을 건축물 골조부에 전달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연결철물 및 고정부재는 석재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전달되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처짐현상에 저항하는 단면 2차 모멘트는 그 소재의 폭에는 단순 비례하지만 그 소재의 춤에는 3제곱 비례하는데, 종래의 연결철물 및 고정부재는 상대적으로 단순 비례되는 소재의 폭이 커지는 반면 3제곱 비례되는 소재의 춤, 즉 그 두께는 상대적으로 작게 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 연결철물 및 고정부재의 폭과 춤이 결정되는 종래의 석재 부착 고정구는 불필요하게 그 두께가 크게 되어 제작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결함이 있었다. 그 두께가 크게 되어 제작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철물과 고정부재를 연결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의 접합방향이 하중의 방향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건축물이 받게 되는 진동으로 너트가 풀려지면, 연결철물과 고정부재의 접합이 해체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 나사부의 풀림현상은 진동이 반복하여 발생할 경우 나가나는 것은 이미 자명한 사실인바, 건축물이 고층일 때 그 상부에는 매우 큰 폭의 진동이 계속 나타나 상기 나사부의 풀림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그 두께가 얇은 소재로서도 석재들로부터 전달되는 집중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에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그 제작 원자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줌과 동시 풀림의 염려를 배제하여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설치되는 석재 부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의 석재 부착 고정구에서 처짐현상을 억제하는데 비효율적인 연결철물 및 고정부재의 형태를 개량하는데 그 기술적 구성상에 주요 특징이 있다. 즉, 연결철물(10)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중간부(13)가 비틀려지도록 하여, 그 일단부(11)는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그 타단부(12)는 수직상태로 유지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개량된다. 여기에서 타단부(12)에는 연결구멍(14)이 뚫려져서 석재와의 고정길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정부재(20)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상태에서 그 양측하부들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을 가지는 중앙의 고정지지부(21)와 상기 고정지지부에 직각방향으로 그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모양을 가지는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들(22),(23)이 일체로 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개량된다.
여기에서 일측 연결지지부(22)와 타측 연결지지부(23) 사이에는 연결철물(10)의 타단부(12)가 끼워질 정도의 간격(A)이 유지되며, 일측 연결지지부(22) 또는 타측 연결지지부(23)의 최하단부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측 또는 일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부(27)가 절곡되어, 연결철물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22)(23)에는 연결구멍들(24)(25)이 대칭으로 뚫려진다. 이는 석재와의 고정길이에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고정부재(20)에 뚫려지는 고정용 연결 구멍을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부재들을 가지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은 종래의 것과 유사하다. 즉 석재들의 수평줄눈들 사이에 연결철물(10)의 일단부(11)가 배치, 고정되도록 하고, 건축물 골조부에는 해당 위치마다 앵커볼트(50)의 일단부가 매설되도록 한 후에, 상기 연결철물의 타단부(12)가 고정부재의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22)(23) 사이에 끼워져서, 볼트(30)가 그 연결구멍들(14)(24)(25)들을 관통하여 너트(40)와 볼트 접합되고, 고정부재의 고정지지부(21)는 앵커볼트(50)의 타단부에 볼트접합되어, 석재들의 집중하중이 건축물의 골조부에 전달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 연결철물(10)의 타단부(12) 및 고정부재의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22)(23)가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단면 2차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석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전달되는 집중 하중으로 인한 처짐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여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석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철물(10)의 직각 방향으로 고정부재(20)와의 연결을 위해 볼트(30) 및 너트(40)가 체결되므로, 하중의 지지는 연결철물(10)의 타단부(12) 저면에서 받쳐지게 하는 절곡부(27)와, 수직으로 세워지는 타단부(12)의 끝단면이 고정부재(20)의 고정지지부(21)에 밀착하게 되므로서, 일단부(11)에 가해지는 하중을 각기 분산하여 지지하여 전체적인 석재의 지지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30) 및 너트(40)를 이용한 나사체결부는 단지 연결철물(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이 있게 되며, 그 체결방향이 하중전달 방향과 무관하게 지각방향으로 위치되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하중지지로 인한 나사부의 풀림을 없앨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지지로 그 연결철물 및 고정부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그 제작원가를 절감시켜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석재들의 수평줄눈사이에 배치고정되는 연결철물, 건축물 골조부에 매립되는 앵커볼트 및 상기 연결철물과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고정부재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은 그 중간부가 비틀려져서 그 일단부는 수평상태로 그 타단부는 수직상태로 유지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평판모양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에 직각방향으로 그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모양을 가지는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들이 일체로 되는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부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 연결지지부와 타측 연결지지부들 사이에는 상기 연결철물의 타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며, 일측 연결부의 최하단부가 타측으로 수평하게 일체로 절곡되도록 하여 연결철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부착 고정구.
KR2019910002991U 1991-03-05 1991-03-05 석재 부착 고정구 KR930002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991U KR930002861Y1 (ko) 1991-03-05 1991-03-05 석재 부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991U KR930002861Y1 (ko) 1991-03-05 1991-03-05 석재 부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96U KR920018296U (ko) 1992-10-19
KR930002861Y1 true KR930002861Y1 (ko) 1993-05-24

Family

ID=1931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991U KR930002861Y1 (ko) 1991-03-05 1991-03-05 석재 부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8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96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861Y1 (ko) 석재 부착 고정구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251697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0284032Y1 (ko) 줄눈크기조정이 가능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205624Y1 (ko) 석재판넬 부착장치
KR0172037B1 (ko) 커튼월용 외벽판재의 고정구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JPH0311299Y2 (ko)
KR200174952Y1 (ko) 경량 철골 조립구조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3415722B2 (ja) 手摺又は飾り格子付き立上りalc壁構造
JPH08260658A (ja) 二重壁支持材料
KR200243466Y1 (ko) 커튼월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37599Y1 (ko) 천장등 지지구조
JPH0340974Y2 (ko)
JPH0229127Y2 (ko)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940003900Y1 (ko) 석판재 시공용 부착구
RU2105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JP2745380B2 (ja) ボルト取付構造
JP6886788B2 (ja) 耐震天井構造
JP6719944B2 (ja) 支柱受け床下地構造および支持部材
JP3607810B2 (ja) 外壁パネル下端の支持装置
JP2931561B2 (ja) 手摺り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